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172

Western Han-era Gold Discs [금병金餠] 금병金餠 서안시西安市 미앙구未央區 당가향潭家鄕 동쪽 10리 포촌鋪村 출토. 섬서역사박물관陕西历史博物馆 소장 gold discs, western han dynasty(206 bc~8 ad), excavated from dongshilipu village, tanjia town, weiyang district, xian city, china. Housed at Shaanxi History Museum 병금餠金이라고도 한다. 도합 219매枚가 출토됐다. 각 매당 무게는 227.6~254.6g, 총중량 54116.1g이다. 서한시대 금병 출토량 중 단일 유적으로 최대다. 금병 대부분에는 문자나 부호, 혹은 인장 등이 확인된다. 이들이 화폐로 유통된 것은 아니며 단순히 선물 같은 걸로 활용됐다. (이상은 섬서성박.. 2024. 3. 2.
베트남역사박물관 소장 798년작 동종 정원貞元 14년이라 하니 798년 작 동종이다. 성덕대왕 신종보다 제작 시기는 조금 늦다. 8세기대 동종이 세계를 통털어 몇 점 되지 않는다. 개중 한 점이 이곳 베트남역사박물관에 소장 중이다. 사진 촬영은 불허하며 큰 카메라는 못 가져 들어가게 하는 바람에 폰카로 몰래 몇 장을 찍었다. 찍어도 그리 정색하며 제지하진 않는다. 이 역사박물관엔 제법 볼 만한 것들이 있으나, 전시 환경이 좋지는 않다. (2017. 3. 2) 2024. 3. 2.
[박물관 현황과 연혁] 동백지구 개발의 적자 용인시박물관 용인시박물관은 인구 백만을 상회해 이른바 특례시가 된 경기 용인시 유일한 공립박물관이다. 이 박물관은 태생 배경으로 따지면 바로 앞에서 살핀 송파책박물관과 비슷한 개발에 따른 기부채납 형식이지만 사정은 조금 다른 구석이 있어, 이 경우는 동백 택지개발지구사업을 진행하면서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 LH가 지어 용인시에다가 기부채납함으로써 역사에 이름을 드러낸다. 이런 대규모 국책 사업지구에서 이런 기부채납 박물관이 더러 생기는데, 용인시박물관은 같은 구역 안 동백도서관과 더불어 같이 세트로 기부채납되었다. 그런 까닭에 본래 이름이 동백문화유적전시관이었고 나중에 용인문화유적전시관이 되었다가 2018년 현재의 간판으로 바꿔 단다. 전시관이라면 박물관과 비슷한 문화시설이지만 한 단계 낮은 시설로 치부하는 경.. 2024. 2. 29.
[202401 독일풍경..마지막] (11)베를린 ⑤ 베를린 돔 from 장남원 서울 사람들이 평생 남산타워에 몇 번이나 갈까. 63빌딩에는 몇 번이나 올랐을까. 베를린 사람들도 그럴 것 같다. 용기를 내서 돔 꼭대기에 올라가기로 했다. 높이 133m 웅장한 건물 280여개 좁고 가파른 계단을 숨도 쉬지 않고 올라가야 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Berlin_Cathedral Berlin Cathedral - Wikipedia Lutheran church in Berlin Berlin Cathedral bells ringing The Berlin Cathedral (German: Berliner Dom), also known as the Evangelical Supreme Parish and Collegiate Church, is a monumenta.. 2024. 2. 29.
[국내 박물관 현황과 연혁] 아파트재건축 기부채납으로 탄생한 송파책박물관 서울 송파구립인 송파책박물관은 박물관이라면 으레 상상하는 그런 전형의 박물관은 아니다. 분명 박물관이라 했지만, 실제 그 현장 양상을 보면 언뜻 도서관인지 박물관인지 구분이 쉽지 않고, 더욱 정확히는 사람들한테는 박물관보다는 도서관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한 게 아닌가 한다. 그렇지만 박물관에서는 한사코 박물관임을 주창한다. 우린 뼛속까지 박물관임을 각인하려 한다. 그래서 더 전시회도 많이 하는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도서관이면 어떻고 박물관이면 어떤가? 모로 가건 바로 가건 서울만 가면 장땡이다. 이용객은 많다. 그럴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인구 60만을 상회하는 초거대 기초자치단체 송파구가 운영하는 유일한 박물관이요, 또 그것이 자리한 데도 인구 초밀집 지역이니, 같은 박물관이라 하지만 같은 송파구에 위치.. 2024. 2. 29.
감악산에 오른 날 2004년 무렵인가? 내가 백산학보에 진흥왕 순수비가 제왕이 산상에서 지내는 제왕의 천신제인 봉선의 기념물이라는 기념비적인 논문을 발표할 적에 주변을 살폈더니 의외로 비봉 순수비 현장을 가본 적 있는 고대사학도가 가뭄에 콩나듯 한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현장에 가보고, 그에서 천길 낭떠러지 암반 꼭대기에 선 기념물이 소위 진흥왕 순수비임을 알면 이를 두고 추사 이래 지껄인 소리들이 다 개소리임을 단박에 알겠거니와 그것을 보고 그 비봉 꼭대기에 오르고서도 선학들이 한 말을 앵무새 되뇌이듯 지껄일 수는 없다. 비봉 올라 눈이 있거든 보라. 더 오를 곳도 없으니 이곳에 올라 진흥왕은 하늘과 접신했다. 어제 내가 감악산에 올랐다. 이 감악산비에 대해선 나 역시 진흥왕 봉선비임을 의심했지만 가서 본 적.. 2024. 2.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