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노년의 연구324

[연구실소식] 논문 신간 소개: 임피군 김백룡 치사사건에 대한 법의학적 분석 2025년 1월 논문 신간 소개:98-5 [김창영·홍성욱·기호철·이숭덕·신동훈] 대한제국시대 검험에서 사망원인 규명 과정의 일례 –임피군 김백룡 치사사건에 대한 법의학적 분석을 중심으로–조선시대 검안에 대한 법의학적 분석으로 이전에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었던 의학적 고찰에 중점을 둔 논문이다. " data-og-host="cms.dankook.ac.kr" data-og-source-url="https://cms.dankook.ac.kr/web/-oriental/-74?p_p_id=Bbs_WAR_bbsportlet&p_p_lifecycle=0&p_p_state=normal&p_p_mode=view&p_p_col_id=column-2&p_p_col_count=1&_Bbs_WAR_bbsportlet_curPa.. 2025. 2. 3.
항상 긴장케 하는 당시唐詩 전철을 타고 오갈 때 벗 삼을 만한 것으로 당시 만한 것이 없다. 당시를 읽을 때는 항상 긴장한다. 다음 구절에서 무슨 말이 나올지를 모르기 때문이다. 같은 구나 같은 련 안에서도 놀라게 하는 표현들이 훅 들어온다. 그러면서도 배배 꼬아놨다는 생각이 안든다. 정신적으로 항상 긴장하게 만들면서도 몇 분 안에 단막극처럼 막을 내리는 당시야말로 전철 독서에 특화한 작품들이다. 당시는 동아시아의 보물이다. 그 어떤 문학작품도 당시를 따라 갈 수는 없다. 동아시아 낭만주의의 아버지이자모든 이 지역 문학작품의 어머니다. 2025. 1. 16.
혼자 일하는 자가 (늘그막에) 강하다 인간은 누구가 갈 때 되면 혼자서 가게 된다. 그리고 그렇게 가기 전에 이미 점점 혼자에 가까운 삶으로 걸어간다. 나이 60 이후의 인생은 조감하건데, 집을 지탱하는 기둥이 하나씩 부러지는 것과 같다. 무너지는 기둥이 집 구조를 지탱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빠지게 되면 일찍 문을 닫게 될 것이고 아슬아슬하면서도 오래 버티게 된다면 정신적 생산활동이 오래오래 전개될 것이다. 나이 60이 넘어가면 따라서 혼자 일하는 데 무조건 익숙해져야 한다. 주변을 보면 퇴직 이전까지 열심히 일하던 연구자가 그 후 그냥 뒷방 늙은이로 늙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혼자 일하는데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 무조건 혼자 일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요즘은 이렇게 일할 때 좋은 작업 파트너가 있다. AI라고.. AI와의 협업.. 2025. 1. 16.
제러드 다이아몬드 글에 대한 평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최근 제래드 다이아몬드 책들을 통독하고 있는데 이전에 단편적으로 이해하던 것보다 훨씬 잘 쓴 책이라는 것을 통감하고 있다. 이 양반 책은 그냥 여기저기서 줏어 듣고 떠드는 이야기가 아니라 자신의 오랫동안 필드웍에서 얻은 경험을 확지충지하면서 나온 책이라 최근 다이아몬드 흉내를 내서 책을 좀 팔아 먹었던 "유발 어쩌고"하는 친구의 책과는 차원이 다른 책이다. 여러 권의 책을 내는데 전체 주제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도 매우 탄탄하고 글을 보면 하루이틀 준비해서 쓴 글이 아니며, 지식 이전에 오랫동안 사색의 결과라 여느 범부들이 평가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는 생각이다. 대략 그가 지금까지 쓴 책들을 보면 자신이 젊은 시절 축적했던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다 했다는 생각이다. 인생에 있어.. 2025. 1. 15.
비로소 읽어보는 문명 비평서들 Personal Journal of D.H. SHINProfessor, Dept of Anatomy and Cell Biology/Institute of Forensic and Anthropologic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03 Daehak-ro, Jongno-gu, Seoul 03080, South Korea. E-mail: cuteminjae@gmail.compaleoshin.blogspot.com필자의 연구편력 블로그 필자는 세간에 유명한 문명비평서는 거의 읽어보지 않았다. 일단 의대를 졸업한 후 대학원에 들어가서부터 지금까지문명비평서를 읽을 정도의 시간 여유가 없었다. 정확히 말하면 전혀 안 본 것은 아닌데 예를 .. 2025. 1. 11.
학자로서 생명이 긴 인문학자 필자는 의대, 의과학 자연과학자로 입신했기 때문에 아무래도 이쪽 전통을 이었다고 볼 수 있고 나이 60 이후 인문학을 파고 든다고 여러 번 선언했지만 아무래도 곁다리 공부라 한계는 있을 것이라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무리해서 이쪽 연구로 넘어가고자 하는 이유는 애초에 의과학은 60 이후 사실상 연구가 종지부를 찍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 분야는 실험실 작업을 바탕으로 하는지라 실험실을 정년 이후 유지하기가 힘든 탓에 아주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65세를 넘기기 힘든다. 최근에는 이것도 몇 년 더 연장한다는 사람들도 보는데필자가 보기엔 별 의미가 없다.무엇보다 이 분야는 연구 발전 흐름이 매우 빨라서 젊은이가 아니면 따라가기 힘든다. 실험실 작업이란 것도 젊은 연구자들의 놀이터이지나이 60이 넘.. 2025. 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