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2896

궁금한 건 못참아, Aksum Kingdom 얼마 전 방한한 인도 고고학도 만지리 Manjil라는 친구를 만났다 했거니와, 그러면서 그의 전공 중 하나가 지금의 아프리카 에티오피아 지방에 흥성한 악숨 왕조(Aksum or Axum Kingdom) 고고학이라 했으니, 그의 이런 설명을 들으면서 내가 각중에 에티오피아를 가고 싶단 생각이 들었단 말을 한 적이 있음을 당신들은 기억하리라. 그때는 무심해 넘겼으니, 도대체 왜 인도 친구가 악숨 고고학일까 의아해 했거니와, 이 지도를 보니 로마와 인도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지점 홍해 연안에 위치한 곳이 바로 악슘 왕조임이 여실함을 안다. 그랬다. 바로 이 교통로 격절지점을 인도 친구가 전공으로 택한 까닭이 바로 이것이었다. 로마와 인도간 접촉을 논할 때, 나는 막연히 이란 고원을 관통하는 북로만 생각했더니, .. 2020. 12. 19.
목은 선생 연보 牧隱先生年譜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 연보 - 出《牧隱集목은집》 천력(天曆) 원년 무진(1328, 충숙왕15) ○ 5월 신미일에 공이 태어났다. 지정(至正) 원년 신사(1341, 충혜왕 복위 2) ○ 가을에 송당 선생(松堂先生) 삼사 우사(三司右使) 김공 광재(金公光載)가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로 성균시(成均試)를 관장하였는데, 공은 나이 14세로 그 시과(詩科)에 합격하였다. 지정 3년 계미(1343, 충혜왕4) ○ 5월에 별장(別將)에 보임되었다. 지정 6년 병술(1346, 충목왕2) ○ 권씨(權氏)에게 장가들었다. 지정 8년 무자(1348, 충목왕4) ○ 국자감 생원(國子監生員)이 되어 도성(都城)에 가서 입학(入學)하였다. 지정 9년 기축(1349, 충정왕1) ○ 국자감에 있었다. 지정 10년 경.. 2020. 12. 16.
익재선생 연보 益齋先生年譜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1288~1367) 연보다. 그의 문집에서 전재한다. 부록 / [익재선생연보] 익재선생 연보 益齋先生年譜 지원(至元) 24년 충렬왕(忠烈王) 14년 정해 12월 경진일에 선생이 탄생했다. 25년 무자 선생 2세 26년 기축 선생 3세 27년 경인 선생 4세 28년 신묘 선생 5세 29년 임진 선생 6세 30년 계사 선생 7세 31년 갑오 선생 8세 원정(元貞 원 성종(元成宗)의 연호) 원년 을미 선생 9세 2년 병신 선생 10세 대덕(大德 원 성종(元成宗)의 연호) 원년 정유 선생 11세 2년 무술 선생 12세 3년 기해 선생 13세 4년 경자 선생 14세 5년 신축 선생 15세 공(公)은 어릴 때부터 뛰어나게 영리하여 성인(成人)과 같았고, 글을 지을 줄 알고부터는 이미 작가(作家.. 2020. 12. 16.
심사자를 엿먹인 수정후 게재 무령왕릉 묘권의 '大墓'와 관련해 내가 제출한 논문심사 보고서가 나한테 들어왔다. 결론을 요약하면 '수정후 게재'였다. 세 사람 중 한 사람은 수정없이 게재였고 다른 한 사람도 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한데 마지막 한 사람이 수정후 게재 의견을 낸 것이다. 그가 문제삼은 대목은 이랬다. 무령왕령 묘권에 보이는 구절 중 '登冠大墓'라는 말이 보이니 나는 이 구절의 '등관'은 지명이며 그것이 곧 백제 당시 지금의 공주 송산리 고분군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보았던 것이다. 이에 따른다면 무령왕과 무령왕비가 죽어 3년상을 지낸 다음 그것을 등관이라는 백제 왕가의 공동묘역에 안치했다는 뜻이 된다. '등관'이 지명이라는 주장은 이미 무령왕릉 발견 직후 청명 선생이 제기한 적이 있지만, 이후 아무도 거들떠 보지를 .. 2020. 12. 14.
《유종원집柳宗元集》 완역과 무령왕릉의 大墓대묘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동서양고전명저번역총서 중 '동양편'에 포함되어 《유종원집柳宗元集》이 완역돼 나오기는 2009년 7월이다. 이 동양편은 재단과의 계약에 따라 도서출판 소명출판에서 출판을 전담한다. 《유종원집》은 번역본 기준으로 전 4권. 역주자는 오수형(서울대)·이석형(중앙대)·홍승직(순천향대) 교수다. 이에 의하면 번역 저본은 오문치吳文治 등이 점교點校해 1979년 중화서국中華書局에서 나온 《유종원집》(전 4책)이라 한다. 이 《유종원집》은 그것을 받아든 내가 근 1주일만에 미친 듯이 읽은 기억이 있다. 한데 이 《유종원집》에 수록된 글 중에서도 죽은사람을 애도한 행장에 속하는 글을 읽으면서 내가 내심 놀라자빠진 데가 있다. 자꾸만 '大墓대묘'라는 표현이 보였기 때문이다. 이 大墓는 다름 아닌 무.. 2020. 12. 14.
13세에 즉위해 18살에 친정한 진평 신라 제26대 진평왕眞平王은 재위 기간이 물경 53년(579∼632)에 달하니, 60년을 재위한 시조 혁거세에 이어 신라왕으로서는 두 번째로 긴 기간 왕위에 있었다. 그의 재위 마지막 해가 그가 죽은 해지만, 그가 언제 태어났는지는 사서에서는 누락되었다. 다만 그가 어린나이에 즉위했을 것이라는 근거는 우선 재위기간이 지나치게 긴 데다가, 그의 계보를 검토할 때도 그러하다. 삼국사기 그의 본기에는 그에 대한 정보를 약술하기를 “이름은 백정白淨이며, 진흥왕眞興王의 태자 동륜銅輪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김씨 만호부인萬呼夫人으로 갈문왕 입종立宗의 딸이다. 왕비는 김씨 마야부인摩耶夫人으로 갈문왕 복승福勝의 딸”이라고 했다. 나아가 체구가 거대한 듯 “임금은 태어날 때부터 생김새가 기이하고 체구가 장대하였으며, 뜻이.. 2020. 1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