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2896 2013년 장성택 처형에 즈음한 북한의 성명 전문 그제 같더니 벌써 7년이다. 그날 북한 장성택이 처형되었다. 당시 조선중앙통신은 2013년 12월 13일 북한이 전날 국가안전보위부 특별군사재판을 열어 장성택 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에 대해 '국가전복음모행위' 혐의로 사형을 판결하고 즉시 집행했다고 보도했다. 이로써 김정은 정권의 2인자로까지 불렸던 장성택은 지난 8일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반당반혁명종파행위자'로 낙인찍혀 끌려나간 지 나흘 만에 생을 마감했다. 다음은 조선중앙통신의 보도 전문이다. 『천하의 만고역적 장성택에 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안전보위부 특별군사재판 진행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확대회의에 관한 보도에 접하여 반당반혁명종파분자들에게 혁명의 준엄한 심판을 내려야 한다는 우리 군대와 인민의 분노의 웨침이 온 나라를 진감하.. 2020. 12. 13. 1915년 구로이타 가쓰미 黑板勝美 조선답사 일정표 1915년 흑판승미黑板勝美 구로이타 가쓰미의 조선상륙은 문화재의 일대 혁명이었다. 그의 등장과 더불어 조선 땅에는 비로소 문화재 개념이 법과 제도로 성립한다. 이는 세키노 다다시 관야정關野貞 시대의 종언이기도 했다. 1915년 구로이타 가쓰미 조선답사 일정표 날짜(大正 4年) 날씨 답사·조사 1915년 4월 30일 맑음 남대문역 출발→조치원역 하차→충청북도 청주 1915년 5월 1일 맑음 충청북도 충주 1915년 5월 2일 맑음 충청북도 단양 1915년 5월 3일 맑음 죽령→경상북도 奉基 1915년 5월 4일 맑음 순흥→松川 1915년 5월 5일 맑음 부석사→서벽리 1915년 5월 6일 맑음 태백산사고→춘양 1915년 5월 7일 맑음 구 봉화를 →태자사 유지→토계 1915년 5월 8일 맑음 예안→안동 1.. 2020. 12. 12. 진평왕 재위 말년을 혼란에 빠뜨린 칠숙柒宿의 정체 삼국사기 신라 진평왕본기에 의하면, 진평왕 53년(631) 여름 5월에 이찬 칠숙柒宿이 아찬 석품石品과 모의한 반란을 일으켰다가 일망타진되고 주모자 칠숙은 동시東市에서 목 베임을 당하고 아울러 구족九族이 멸했다고 했으니 이 칠숙이 어떠한 연고로 난을 일으키게 되었는지 전연 부가 설명이 없어 알 수가 없다. 다만, 이때가 진평왕 말년이며 후계자 문제가 복잡할 수도 있는 시점이라, 왕위계승권과 관련될 것이라는 막연한 짐작만 있을 뿐이다. 실제 진평왕은 그 이듬해에 사망하고 선덕공주가 왕위를 이으니, 신라사 첫 여왕 탄생이었다. 그 난이 왕위계승권과 관련이 있다면, 지극히 당연하게도 칠숙이 그런 주장을 할 만한 여지가 있을 수 있다고 봐야 한다. 《화랑세기》 자매편 족도族圖에 해당하는 《상장돈장上狀敦牂》.. 2020. 12. 12. 《요사遼史》 성종기聖宗紀 얼마 전 완독을 시작한《요사遼史》는 지금 본기 중 성종기聖宗紀에 다달았다. 이 친구 보아하니 여러 모로 흥미가 가는데, 다른 무엇보다 고려를 침략할 당시 요 황제가 바로 성종이다. 그의 본기 첫머리를 보니 그의 어릴 적 이름이 문수노文殊奴라고 한다. 말할 것도 없이 문수보살의 가피를 받고 태어나거나, 문수보살의 가피를 받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요사》 본기를 죽 훑어보니 황실 차원에서 불교 진흥책이 다대했으며, 역대 황제가 모조리 반승飯僧을 빼지 않았다. 고려 왕조에서 반승이 하나의 관습으로 자리잡는데 그와 밀접하다. 아침 출근하기 전에 성종이 고려 정벌군을 일으키는 장면에서 중단했다. 조심할 것은 성종은 즉위할 때 12살. 1차 고려정벌은 이런 꼬맹이 작품이 아니라 그의 엄마 작품이라는 점이다. 성종이.. 2020. 12. 10. 김태식, <신선의 왕국, 도교의 사회 신라>《문화재》 36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원문보기 - ScienceON 이 원문은 ScienceON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scienceon.kisti.re.kr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 36집(2003)에 투고한 논문이다. 17년 전에 다 얘기했다. 신선의 왕국, 도교의 사회 신라 -적석목곽분과 그 시대를 중심으로 - Immortality,Taoism, and Tombs in the old Silla Kingdom 김태식 연합뉴스 문화부기자 Ⅰ. 전통의 창출과도교의 추방 Ⅱ. 적석목곽분 시대 신라 주변 제 지역의 도교문화 Ⅲ. 영원불사의 여러 표상 ① 무덤: 죽은자가영원히사는집 ② 연수(延壽) : 불로장생의다른이름 ③ 음양오행 Ⅳ. 불사의 선약과그 제조구 ① 운모(雲母) ② 주사(朱砂) : 선약중의선약 ③ “바둑알” : 환약의대용품 ④ “돌.. 2020. 12. 8. 보이지 않는 북극성, 주희가 이해한 임시방편으로서의 북극성 2005.11.14 08:37:06 북진北辰에는 별이 없다. 사람들이 이를 극極으로 삼기를 원했고 (그것을) 인식할 수 있는 어떤 것이 없어서는 안 되었기에 근처 작은 별 하나를 골라 극성極星이라 일컫는 것이다. (北辰無星, 緣是, 人要取此爲極, 不可無箇記認, 故就其傍取一小星, 謂之極星) 《주자어류朱子語類》 卷第二十三 論語五 為政篇上 이는 인식 체계 속에서의 북극성과 실제 천상세계의 북극성 그 괴리를 말하는 것이다. 공자는 뭇별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돌 듯이 신하들이 군주인 북극성을 피라미드처럼 떠받치는 그런 시스템을 이상향으로 여겼지만, 문제는 북극성 북극성 하지만 그에 해당하는 북극성이 실제 천문 세계에는 없다는 사실이었다. 주희가 말하는 북극성은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북극성에 정확히 해당하.. 2020. 12. 7. 이전 1 ··· 379 380 381 382 383 384 385 ··· 48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