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런저런1935

저 무덤 이름은 경주찰보리총塚 메타세콰이어인지 뭔지 접때 듣기는 했지만 까먹은 저 나무가 어찌하여 저기 저런 양태로 자라게 되었는지는 모르겠다. 경주시에선 생뚱 맞다 해서 한 때는 제거해 버려야지 않는가 하는 논의가 없지는 않았다 기억하지만 그러게 간단히 내치기엔 이젠 놓쳐버리고 말았으니 시시각각 저 떼거리 나무가 뿜어내는 풍광이 만만치 아니해서 잎이 지금처럼 무성하면 무성한 대로 또 왁싱하면 왁싱 상태로 또 비가 오면 비가 오는 대로 눈이 오면 눈이 오는 대로 각양각색하는 풍광이 묘하기 짝이 없다. 오늘은 저 가랭이 사이로 기어들어가 봤다. 다섯그룬지 여섯그루가 옹기종기 올말졸망이라 저 나무가 묘한 것은 저 나무가 있음으로써 그렇지 아니했으면 그저그런 흔하디흔한 신라무덤에 지나지 않았을 저 씁쓸한 무덤들이 더욱 빛나게 하는 코러스가.. 2024. 7. 19.
동네 의사 한 명 없던 산간벽촌, 그리고 양귀비 겉으로는 이거 구분이 쉽지 않다. 양귀비인지 도라지인지 구별 말이다. 내가 아주 어릴 적엔 아버지가 양귀비를 비상약으로 쓴다고 재배한 일을 말했거니와 그때 하도 어릴 때라 양귀비 씨를 어찌 받았는지는 기억에 없지만 그 씨방에서 양귀비를 채취하는 방법은 기억난다.(그러고 보니 벌써 오십년 전 이야기다.) 요새 양귀비야 환각성 없앤 개량종 천지거니와 그렇다 해서 씨방이 변하겠는가? 양귀비가 씨방이 좀 굵지 않나하지만 글타고 저 도라지 씨방과 크게 다르지는 않다. 양귀비라 하니깐 뭐 대단한 듯 여길지 모르나 내 어릴적만 해도 단속이 심하기는 했지마는 거개 조금씩 심어 약으로 썼다. 산간벽촌이 무슨 의료혜택이 있었겠는가? 면을 통털어 의사 한 명 없던 시절이다. 저런 비상약으로 고통을 이길 수밖에 없었다. 2024. 7. 15.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깡패영화 공식 매일 한 번, 혹은 하루 걸러 한 번씩은 보는 덴젤 워싱턴 주연 헐리웃 깡패영화 The Equalizer 3 클라이막스로 가기 직전 한 장면이다. 덴젤이한테 동네서 공개 망신 당한 나폴리 기반 그 이름도 유명한 초거대 범죄 마피아 조직 카모라Camorra 두목이 내일밤 그 미국놈을 죽여버리겠다면서 푸줏간에 졸개 시다들 모아놓고선 전의를 불태우는 장면이다. 보통 저런 깡패영화를 보면 오야붕 두목은 항상 거사를 치르기 전날 부하들을 잘 먹인다. 한데 저 영화 저 장면은 약간 가오상하게도 고깃덩어리는 천장에 매달아놓고선 두목이 스파게티를 우거적우거적 씹어먹는다. 복수를 다짐하는 자리에 스파게티가 뭐냐? 또 하나 그 어떤 깡패 영화나 드라마를 봐도 오야붕 두목 옆에는 한상 떡대 시다들이 중무장 혹은 야구방망이 .. 2024. 7. 14.
닥나무 가마의 추억 이것도 누군가는 제대로 정리를 해야 할 터이고, 아마 이런저런 글이 없지 아니하며, 민속박물관과 문화재연구소 근무하다 퇴직한 김삼기 박사를 중심으로 그리했다고 기억하거니와 내가 보고 겪은 일화 한 토막을 현대사 증언 차원에서 적어둔다. 소백산맥 기슭 산골인 내 고향은 그 자락 해발 680미터 비봉산 혹은 문바우산 아래 낙동강 지류가 만든 계곡을 따라 자리하거니와, 그 기슭 바로 아래에는 유서는 깊으나 사세가 몰락할 대로 몰락한 직지사 말사 비구니 사찰 봉곡사가 있고 그 주변으로 아랫새재 웃새재라는 사하촌이 있다. 새재라 했으므로 무주 쪽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이 있지만 이 고갯길을 나는 통과해 본 적 없다. 우리 동네는 이에서 한참을 내려오니, 다시 대략 2~3킬로미터를 지나 이 조룡천이라는 시내는 비교적 .. 2024. 7. 11.
이 정도는 되어야 명장 반열에 오르지 않겠는가? 알제리 사하라 사막 타만라셋Tamanrasset이라는 데 존재하는 버섯바위다. 돌로 이런 장난 치는 내 친구가 있다. 영디기라고. 이거 보면 아직 영디기는 멀었다. Mushroom rock in Tamanrasset, Sahara Desert, Algeria. *** related article *** 영덕이를 은퇴로 내모는 균형바위 2024. 7. 1.
저화질 사진 버린 일을 후회한다 아마 2000년 어간이었을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때 사진은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했다. 언론사를 기준으로 볼 때 이때 디지털 전환이 일괄로 이뤄졌다. 이것이 제대로 가동된 현장이 2003년 2월 18일 발생한 대구지하철 참사 현장 취재였다고 기억하니 말이다. 나 역시 그때 필름을 버리고 디지털로 갈아탔다. 그 초창기는 나야 똑딱이를 썼으니, 그때 남은 사진들이라고 해 봐야 뒤져봐도 거의 없다. 잦은 PC교체에 거의 다 망실했을 것이다. 더 문제는 그렇게 용케 살아남은 것이라 해도 이후가 문제였으니, 하도 해상도가 구려서 상당 부분 delete 버튼을 눌러 버린 것으로 기억한다. 그렇게 20년이 흘러 누구도 생각하지 못한 시대를 접어들었다. AI 사진 증폭 기술에 따라 웬간한 초점 나간 사진 말고서는 다 증.. 2024. 7.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