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897

파파야 & 제비 로터스lotus 시즌을 맞아 어딘가는 들러야 한다는 윽박이 있어 간만에 조폭답사반을 가동했으니, 그 답사 결행을 하루 앞둔 어제, 내 차가 퍼질러지는 불상사 있었거니와, 그리하여 다른 반원 차에 의지해 세미원 옆에 낀 두물머리를 돌았더랬다. 육감으로는 체감온도 사십도는 육박할 듯한 무더위에 두물머리와 물의정원이란 곳을 들르고는 귀경하는 길에 팥빙수 한 사발하자며 마뜩한 곳 골라드니 고당 이란 곳이라. 범벅하는 교통 체증 뚫고 계우 도달해 들어서니, 두 가지가 새삼했으니 제목이 말한 저 두 가지라. 언뜻 고색창연한 한식 기와 건물인 듯하나 실은 현대 한식 건축이라, 하도 유명세 치르는 곳이요 팔당댐 낀 유원지라 일욜 낮 이곳은 인산인해 방불한다. 주차장으로 난 곁문 통해 마당 들어서니, 이곳이 동남아 아닌.. 2019. 7. 15.
Am I a butterfly? Is the butterfly me? 어느 한옥 담벼락에서 조우한 나비다. 저리 묻지는 아니했다. 물어도 어차피 알 수 없으므로. 2019. 7. 14.
증오감에서 비롯하는 글 글을 쓰는 사람들이, 특히 근현대사 분야로 글을 쓰는 사람들이 조심 又 조심해야 할 점은 증오감과 탄성이다. 대체로 우리 학계를 보건대 독립과 친일이라는 양대 구도, 혹은 민주화 대 반민주화(혹은 독재) 양대 구도로 설정하거니와 그러면서 전자에 대해서는 일방적인 찬사를 퍼붓고, 후자에 대해서는 각종 분노를 표춀하거니와 이는 시정잡배가 할 짓이지 이른바 전업적 학문종사사자가 글로써 할 일은 아니다. 나는 이완용을 다룰 적에도 냉철, 냉철, 또 냉철해야 한다고 본다. 그리하여 적어도 글을 쓰는 순간만큼은 이완용에 미쳐야 한다. 이 새끼를 때려잡지 않으면 내가 죽는다는 사명감은 글을 망친다. 이 놈은 부관참시를 해도 시원찮을 놈이라는 증오는 글을 망친다. 한데 내가 보는 근현대사 분야 글은 이른바 대가라는 사.. 2019. 7. 14.
Dumulmeori, Yangpyeong 남한강 북한강 한데 꼬불쳐 한강 된다는 두물머리다. 2019. 7. 14.
Vanity Fair 해직기간이던 2016년 여름, 나는 서울 모 구청이 지원하는 고교재학생 학부모 인문강연에 초대되어 8번인가 연속강좌를 한 적 있다. 수강생들은 연배가 대략 나랑 비슷하고 고교생 아들을 둔 분들이었다. 그 마지막 강연에서 나는 대략 이렇게 말했다. 인정하기 비참하지만, 우리는 살아온 날보다 살아갈 날이 적을 것이외다. 애들 키운다고 고생하셨소. 이젠 우리도 허영을 채울 나이인 듯 하오. 갑시다 vanity fair로. 그 허영 채우는데 남녀노소 다 하는 영화 연극 뮤지컬이 있겠소만 그건 약발이 없소. 허영 채우는데 인문 교양 역사만한 게 없습디다. 박물관도 가시고 문화유산도 가세요. 가서 맘껏 허영을 채웁시다. 이 아름다운 현장 못보고 죽는 게 억울하지 않겠소? 가자 허영의 시장으로! 2019. 7. 14.
박영우 작가의 아재 연작 경주를 근거지로 암약하는 박영우 선생은 인물 찍기를 좋아한다. 이 몸이 모델이 된 일도 여러 번인데 언제인가는 그리 찍어 시리즈라 하고는 넉장을 거푸 발행한 적이 있다. 그 첫번째가 보문리사지 연화문 당간지주를 배경으로 한다. 이 두 번째 역시 같은 경주, 아마도 보문리 쪽이 아닌가 한다. 이건 말할 것도 없이 창림사지 삼층석탑이다. 마지막 네번째는 금척리고분군이라 이날 아마 아드님 모시고 넓적배사마귀 포획하러 갔을 때리라. 그 사마구는 예서 실패하고 양동마을에서 무더기로 포획했다. 2019. 7.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