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997

쪽수를 채워주고자 강제동원되는 자리, 더 비참한 것은? 모든 행사는 참가자 숫자에 성패가 달렸다. 제아무리 성대한 잔칫상을 차려도 손님이 없으면 꽝이다. 문제는 내가 아무리 좋은 상을 차렸다 해도 그래서 모름지기 부르지도 않은 사람까지 바리바리 와주지는 않는다는 사실이다. 특히 그 행사가 무미건조하거나, 혹은 그 잔칫상이 볼품 없을수록 동원과 할당이라는 강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숙명이 있다. 일단 쪽수는 채워놓고 봐야 하는 까닭이다. 관공서나 기업 같은 집단에서 이런 짓을 자주 하는데, 가장 대표적으로는 직원이나 협력업체를 동원한다는 사실이다. 목줄이 걸린 사람들이니 일단 가서 쪽수는 채워준다. 사람 살다 보면 어찌 자기가 좋은 일만 하겠는가? 당연히 이런 내키지 않는 자리에도 도울 것은 도와야 한다. 사람이 필요한데 사람을 모으기 힘들다는데, 더구나 그.. 2023. 12. 12.
[발굴 품질 개선을 위한 문화재청의 역할(3)] “문화재 문제의 근원은 조사단” 발굴 품질 개선을 위한 문화재청의 역할 김태식(연합뉴스) 목차 Ⅰ. 0.19%의 힘 Ⅱ. 규제완화의 희생물 Ⅲ.“문화재 문제의 근원은 조사단” Ⅳ. 문화재는 선택이 아닌 필수 Ⅴ. 문화재청은 매장문화재 보호에 나서라 Ⅲ. “문화재 문제의 근원은 조사단” 오늘 우리가 다루려는 문화재는 땅속에 있는 매장문화재이며, 조사방법 혹은 목적으로 더욱 범위를 좁히면 주로 구제발굴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 문제는 그리 고립적으로만 다룰 수는 없는 법이다. 지상문화재와 학술발굴과 일정 부분 비교 검토가 행해지지 않을 수 없다. 매장문화재와 관련한 전반의 취급 방향을 정리한 법률이 ‘매장문화재법’이니, 이 법률이 무엇을 지향하는지는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매장문화재를 보존하여 민족문화의 원형(原形)을 유지·계.. 2023. 12. 12.
[로마열전] (1) 무엇을 이야기하려 하는가? 없다. 정해진 것도 없고, 정한 주제도 없으며, 잡히는 대로 막가파식으로 하나씩 줏어담은 것들을 하나씩 풀어놓으려 한다. 1993년 1월 1일 연합뉴스에 기자로 입사해 만 31년을 꽉 채우기 직전인 2023년 10월 17일 나는 그 직장을 퇴직했다. 정년을 4년 앞당긴 비교적 조기한 퇴직이었으니, 자유롭고 싶어서였다. 그렇다고 자유스러워졌는가? 천만에. 환멸이 일으킨 퇴직이 마음 편할 리 있겠는가? 무엇에 대한 환멸인가? 장기에 걸친 직장 생활 자체에 대한 환멸, 연합뉴스에 대한 환멸, 기자에 대한 환멸, 그리고 사람에 대한 환멸 이 모든 환멸이라는 환멸이 빚은 교향곡 마지막 악장이 자진사퇴였다. 그런 환멸을 앞세운 자퇴가 제아무리 한달이라한들, 그것이 로마라 한들, 그것이 유럽이라한들 그 한달로 치유가.. 2023. 12. 12.
태안군 백화산에서 속살 드러낸 천신 제사터 태일전 1. 태일太一이란 무엇인가? 동아시아 세계에서 태일太一은 나름 철학적 개념이라 하지만, 실은 단순무식해서 가장 크신[太] 하나[一] 뿐인 존재라는 뜻에 지나지 아니하며, 그런 까닭에 태일泰一이라고도 쓰고, 더러 태을太乙이라고도 한다. 주로 도교 경전에 많이 보이는 명칭이기도 한데, 한국사회에서는 무속사회에 자주 보인다. 이는 한국사회 무속이 한국고유한 전통 사상이 아니라 실은 그것이 도교의 다른 이름이라는 증거 중 하나다. 태일은 그런 까닭에 간단히 말해 모든 생명의 근원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태일은 보다시피 지극히 관념적이고 추상적이라, 그 표현 자체로는 실상 주역에서 비롯한 태극太極과 비스무리해서, 둘을 구분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문제는 관념에 지나지 아니하는 이 태일이 뭇 생명 어머니가 될 수는 없.. 2023. 12. 11.
[발굴 품질 개선을 위한 문화재청의 역할(2)] 규제완화의 희생물 발굴 품질 개선을 위한 문화재청의 역할 김태식(연합뉴스) 목차 Ⅰ. 0.19%의 힘 Ⅱ. 규제완화의 희생물 Ⅲ.“문화재 문제의 근원은 조사단” Ⅳ. 문화재는 선택이 아닌 필수 Ⅴ. 문화재청은 매장문화재 보호에 나서라 Ⅱ. 규제완화의 희생물 이명박 정부가 공식 출범한지 두 달이 채 안 된 2008년 4월 30일, 그 초대 청장으로 임명된 고고학도 출신 이건무가 이끄는 문화재청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은 ‘문화재 조사제도 개선방안’을 제2차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에 보고한다. 그에 의하면, 최장 140일까지 걸리는 문화재 조사절차와 그 처리 기간을 그해 안으로 40일내로 단축하고, 문화재 전문조사기관 설립요건을 완화한다는 것이었다. 문화재청은 “최근 급증하는 매장문화재 지표․발굴조사 수요에 대한 수급 대책과 복.. 2023. 12. 11.
[발굴 품질 개선을 위한 문화재청의 역할(1)] 위대한 0.19%의 힘 *** 아래는 영남지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의회와 중부지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의회가 주최하고 한국매장문화재협회(현재는 한국문화유산협회로 개칭)가 후원해 2017년 12월 13일(수) 13:00~18:00 대전 유성 레전드 호텔(3층 금강홀)에서 열린 '매장문화재 국가부담과 공공성 확보를 위한 토론회' 내 발표문이다. 발표문이야 어차피 파일 통째로 올려놔도 읽는 사람이 없으므로, 챕터별로 나누어 싣는다. 그때랑 시대상황이 달라진 지금, 그때 이야기가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하겠지만, 저에서 표출한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판단하며, 무엇보다 지금의 나를 지배하는 매장문화재에 관한 생각들을 집약한다 생각하는 까닭에 새삼 상기 차원에서 전재한다. 물론 저에서 인용한 통계수치라든가 하는 대목은 대체가 필요할 수도 .. 2023. 12. 11.
최송설당, 좌협시 여운형 우협시 송진우를 거느린 시대의 절대 대모大母 1935년 사진이다. 서울역사박물관이 막 개막한 망우동 특별전 낙이망우樂以忘憂 전에 망우리묘지와 관련한 인물 고하 송진우를 소개하는 코너에 출연했다. 저때는 이미 송설당이 사재를 전부 희사해 송설학원을 만들고 고향 경북 김천에 김천고보를 개교(1931)한 뒤다. 조선총독부와 쟁투를 벌여 마침내 학교를 개교한 송설당이다. 남성 중심으로 기술한 역사를 배신하는 한 장면이다. 개교식인가 초대된 몽양은 김천고보를 영남의 오아시스라 칭했다. 고하 송진우. 그 역시 몽양과 더불어 한 시대를 풍미하고 해방정국에서는 몽양과 마찬가지로 테러에 암살당한 비운의 인물이다. 그들을 좌우협시로 거느린 송설당을 어찌 자리매김할 것인가? 단순히 나이가 제일 많은 연장자라서? 아님 그냥 돈 많은 여성 갑부라서? 아니다. 그는 선각자.. 2023. 12. 11.
문외한이 보는 마한론 문외한이라도 듣고 읽고 이해가 안 가는 이야기에 대해 언급할 자격은 있을 것이다. 소위 마한론이란 스토리에 대해 문외한으로서 듣고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을 써 본다. 1. 마한론이 입론된 지역에 독립적 정치체가 있었다는 문헌적 근거로 장화전과 일본서기 침미다례기사, 그리고 삼국지 동이전 마한조를 드는데, 이 중 삼국지 마한전의 신지 중 하나가 이 지역의 정치체와 연관이 있다는 것은 그야말로 추정에 불과하므로 이야기 할 필요도 없다. 첫글자 같다고 비정이 가능하다면 삼국지 동이전 소국은 우리나라 어디에도 비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장화전과 일본서기 침미다례기사는 5말6초의 상황을 전하는것이 아니다. 이 기사는 지금 마한론이 입전된 지역의 이야기임은 분명한데, 이런 독립적 세력의 징후가 5말6초까지도 .. 2023. 12. 11.
서기 4세기 고구려 서기 4세기 초반에 고구려는 낙랑을 멸망시키고 대동강 유역을 접수한다. 그러면-. 서기 4세기에 고구려 수도인 국내성지역과 대동강유역이 같은 무덤양식, 같은 문화양상으로 바로 통일되던가? 그렇지 않았다면 서기 4세기 대동강유역은 고구려 땅이 아니라 거기에는 독자적 정치세력이 있었다고 이제부터 이해해도 되는건가? 이게 소위 "5-6세기 마한론"하고 뭐가 다른 건지 설명 좀 들어봤으면 한다. 2023. 12. 11.
[그리스] 아이가이 Aigai (베르기나 Vergina) 왕릉군, 고대 마케도니아의 영혼 앞에서 '대왕'이라는 수식어가 익숙한 몇몇 왕이 있는데, 그 중 한 명이 동서양 교류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알렉산더 대왕'이다.알렉산더 대왕 치세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받는 그의 아버지 '필리포스(필리피) 2세'의 무덤을 포함한 고대 마케도니아 왕릉군이 모여있는,그리스 북부 도시 베르기나를 찾았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1996년 등재.1977~78년, 무덤 2기가 도굴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되어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켰다.그간 무덤의 주인을 추정만 해 왔으나, 그 중 1기에서 출토된 유골을 2015년에 분석한 결과 알렉산더 대왕 아버지인 필리포스 2세 무덤임이 확인되었다.'무덤' 과 '출토유물' 전시로 구성되어 있다.https://maps.app.goo.gl/kPfnjACQGcWpMERr9 아이가이 왕릉군 박.. 2023. 12. 11.
6세기 마한 이 정치체를 마한이라고 부를지 뭐라고 부를지 모르겠지만 6세기초의 전방후원분의 존재도 보고해 놓고는 백제의 영향력이 뚜렷하지 않으니 여기는 6세기까지도 독립적 세력이 있었다고 하는 설명이 가능한가? 아예 전방후원분이 없었다면 모를까. 필자 생각으로는 도대체 어떻게 설명하면 전방후원분이 나오는 상태에서 백제의 영향력이 안 보인다고 여기가 독립적 세력이 있었다고 바로 결론이 나오는건지 모르겠다. 상식적으로 6세기 초에 전방후원분이 나오는데 백제 영향력이 뚜렷하지 않다면 어떤 결론을 내리게 될까? 내 머리로는 도저히 독립적 마한 세력의 존재로 바로 결론이 나지를 않는데, 도대체 어떻게 하면 이런 상황에서 독자적 세력이 6세기초까지 존재하여 백제도 아니고 왜도 아닌 세력이 삼국시대 후기까지도 존재했다고 결론을 .. 2023. 12. 11.
6세기까지 남았다는 마한의 독립성 필자는 6세기까지 백제와 구별되는 마한의 독립성이 고고학적으로 보인다 아니다 이런 이야기를 여기에다 하려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그런 것을 고고학적으로 구별할 능력이 필자에겐 없다. 다만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것은 지금 이야기처럼 6세기까지 마한의 독립성이 유지되었다고 본다면, 그것은 단순히 마한 스스로의 힘으로 그 독립성이 유지되었다고 판단하지 않을 사람들이 바다 건너편에는 바글바글하다는 점. 그 점 하나만 좀 이야기 하고자 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엄연히 있었던 마한의 독립성을 우리가 바다 건너편의 반응이 싫어서 부정해야 한다. 그런 뜻은 아니고. 문외한의 입장에서 볼 때 일본쪽 이야기들까지 함께 시야에 넣어 최근의 마한사 기술동향을 보면 아무래도 바다 건너편에서는 그렇게 정리가 들어갈 것 같다.. 2023. 12. 10.
속살 드러낸 영암 옥야리고분 18호분 매장문화재전문조사기관인 고대문화재연구원이 전남 영암군 의뢰로 지난 10월 4일 이래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140호인 시종면 옥야리고분군 중 18호분이라 이름한 무덤을 판 모양이라, 그 현장을 지난 5일 공개하고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는데 이번 조사 결과 목관 2기, 옹관 2기, 석곽 2기를 확인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 무덤 또한 이 지역에서는 비교적 흔한 봉분 하나에 여러 사람을 각기 다른 공간에 묻은 이른바 벌집형 무덤에 속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앞서 조사한 이곳 17·19호분에 비해 이번에 조사한 18호분은 목관 2개를 가장 밑바닥에 깔고 그 위에다가 옹관과 석곽을 배치한 점에서 구별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앞서 조사한 17호분과 19호분 양상은 어떻단 말인가? 표현에 문제가 좀 있다. 아무튼 .. 2023. 12. 10.
아주 모호한 보도자료, 발굴소식에 빈발하는 앰비규어티 금번 발굴조사를 통해 마한계 토광묘 17기, 옹관묘 7기, 주거지 7기 등이 조사됐으며, 한성백제와 마한의 관계를 조명할 수 있는 흑색마연토기 및 지도자급 위세품인 소환두대도, 곡옥 등이 발굴됐다. 어느 지자체 근자 보도자료에 보이는 한 구절이다. 이 지자체만이 아니라 고고학 발귤성과를 전하는 보도자료에서 항용 보이는 표현이다. 이 구절에서 특히 무엇이 문제인가? 마한계 토광묘 17기, 옹관묘 7기, 주거지 7기 등이 조사됐으며 이 구절이 특히 문제가 된다. 모르긴 해도 이를 작성한 조사기관, 그리고 이를 검토해 배포한 지자체에서는 토광묘 17기, 옹관묘 7기, 주거지 7기를 포함한 마한시대 흔적(유적)이 조사되었다 는 말을 하고 싶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저 문장에서 문제는 도대체 마한계가 수식하는 구.. 2023. 12. 10.
"퇴임 뒤엔 풍납토성 가이드 해보고 싶어" 엥? 내가? "퇴임 뒤엔 풍납토성 가이드 해보고 싶어" 정은경 기자, pensidre@mediatoday.co.kr 입력 2006. 3. 23. 13:55수정 2006. 3. 23. 13:55 [한국의 전문기자] (15) 김태식 연합뉴스 문화재 전문기자 [미디어오늘 정은경 기자] 그의 기사는 어렵다. "세종 때 능엄경 초각본 완질이 공개됐다"거나 "현종·숙종시대 '승정원사초'가 완간 됐다"는 식의 기사는 일상 생활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어 보인다. 게다가 문장 곳곳에 한자가 모래알처럼 박혀 있어 기사는 더 어렵게 느껴진다. 그러나 여기 때로 '아는 사람들만의 기사'도 필요하다고 믿는 기자가 있다. 연합뉴스 김태식(40·사진) 문화재 전문기자다. "전문가의 입을 빌려 중·고등학생이 이해할 수 있을 만큼 평이하게 전달하는.. 2023. 12. 10.
유네스코는 요구한 적 없다는 앙코르 주민 강제이주 인권단체 반발하는데…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주민 이주 강행" 2023-12-09 12:53 훈 마넷 총리 "보존 위해 불가피"…노점상·주민 급증해 환경오염 우려 앰네스티 "인권 침해"…유네스코 "당국에 이주 요청한 바 없어" https://m.yna.co.kr/view/AKR20231209025800084?section=culture/scholarship 인권단체 반발하는데…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주민 이주 강행" | 연합뉴스(하노이=연합뉴스) 김범수 특파원 = 캄보디아가 국제 인권 단체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앙코르와트 주변 거주민들의 이주를 강...www.yna.co.kr 이 사안이 간단치는 않아서 위선 문화유산 보존을 앞세운 주민 터거 조치가 타당하냐 아니냐 하는 해묵은 논란의 재연.. 2023. 12. 10.
K콘텐츠 최첨단은 K모텔 야호 모텔이야 그런대로 가끔 이용하지만 지역별 문화권별 특징은 없지 않아 오늘 하루 유숙할 이곳은 계란도 주고 빵도 준다. 뿐인가? 강냉이 티밥도 내맘대로 갖다 무도 댄다. 계란도 준다. 간식거리라는데 이걸로 저녁은 땡 꼴 보니 춘배는 옆동네 모텔이던데 설비 배틀이나 해보까 한다. 춘배야 거기 계란 주냐? 컴터 모니터도 대형 두 대 젊은 커플들이 주로 게임한댄다. 게임할 시간이 어딨어? 2023. 12. 10.
[보도자료 작성법] 학술지 발간 소식은 어떻게? 학술대회를 포함한 행사 개최 소식과 더불어 자주 접하게 되는 소식이 잡지 발간 소식이라, 이는 넓은 의미에서 신간 출간 뉴스에 속하지만 예서 말하는 잡지는 이른바 학술기관지에 국한하기로 한다. 이 학술기관지는 발간 주기에 따라 연간지 반년간지 계간지 월간지 주간지 등등으로 구분하기도 하거니와 연간지와 반년간지는 요새는 거의 자최를 감춘 듯 하고 월간지나 주간지는 학술잡지 개념보다는 훨씬 신문에 가깝다. 가장 일반적인 학술잡지가 계간지지만 이것도 형편에 따라 연간 세 번 내는 일도 많다. 당연히 이들은 기관지라 그 기관지 발간 소식은 그 기관이 존립하는 절대 근거인데 현실은 어떤가? 첫째 나왔는지 안나왔는지 아예 간단한 소식 하나 전하지 않는 단체기관이 열 중 여덟 군데요 둘째 공지를 해도 하는둥마는둥 할.. 2023. 12. 10.
청나라 무덤 전문 도굴꾼들이 준 교훈 "도굴도 철저히 공부하고 준비해야" 청나라 고분 10기 도굴 中 2인조 검거…"도굴 방법·도구 독학" 송고시간2023-12-08 16:49 https://www.yna.co.kr/view/AKR20231208124900097?section=culture/scholarship 청나라 고분 10기 도굴 中 2인조 검거…"도굴 방법·도구 독학" | 연합뉴스(선양=연합뉴스) 박종국 특파원 = 중국 청나라 고분 10기를 도굴한 2인조 도굴범이 경찰에 검거됐다고 심양만보가 8일 보도했다.www.yna.co.kr 이 소식을 접하면서 내가 가장 크게 빙그레한 대목이 다음 구절이다. 이들은 도굴에 앞서 여러 차례 해당 마을을 방문, 주민들을 상대로 고분과 관련된 정보를 탐문해 고분 위치를 파악한 뒤 도굴에 나선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독학으로 고분 발.. 2023. 12. 10.
나이 대신 경력?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03866 선생님·어르신 호칭도 떨떠름… ‘노인’으로 불리기 싫은 노인들‘선배 시민’ 명시한 조례까지 노인 1000만명 시대 新풍속도 노인(老人)은 늙은 사람을 일컫는다. 늙었다는 것, 듣기 좋은 말은 아니다. 친근감을 강조한 ‘아버님’ ‘어머님’ ‘선생님’ ‘n.news.naver.com 그게 아니라 경력도 버려야 한다. 유심히 보면, 나이를 버린다고 하지만 경력을 포기안하겠다는 것은 일은 하되 옛날 누리던 자리는 그대로 가겠다는 이야기라. 나이를 버리겠다면 경력도 버려야 한다. 과연 경력을 버렸을 때 일을 할 수 있을 나이 많은 양반들이 얼마나 될까? 일본 막말 메이지 전야에, "세상이 바뀌어 칼을 떼고 나면 이중에 과연 먹고.. 2023. 12. 10.
무신정변기의 격변 한국사에서 이전 지배층이 뿌리까지 뽑힌 때가 두 번이 있으니 첫째가 삼국통일기의 고구려, 백제의 영토이며 두 번째가 무신정변기다. 특히 무신정변기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많은 사람이 죽었고 멸문지화를 입은 문중이 무수하다. 멸문된 집안이 많았다는 것은 이 때 흥한 집안도 많았다는 이야기다. 두문동 72현 어쩌고해서 여말선초에 망한 집안이 많았던 것 같지만 실제로 유심히 보면 여말선초에 멸족된 집안은 많지 않다. 대부분의 명문가는 조선시대까지 이어졌고 두문동 어쩌고는 그 사실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모르겠지만 이 시기에 수절해서 집안이 퇴락한 곳은 많지 않다는 말이다. 여말선초보다는 오히려 세조의 쿠데타 때 멸족된 집안이 더 많았을 것이다. 그에 반해 무신정변. 이 시기를 정말 집중적으로 파 볼 필.. 2023. 1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