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1642 베트남역사박물관 소장 798년작 동종 정원貞元 14년이라 하니 798년 작 동종이다. 성덕대왕 신종보다 제작 시기는 조금 늦다. 8세기대 동종이 세계를 통털어 몇 점 되지 않는다. 개중 한 점이 이곳 베트남역사박물관에 소장 중이다. 사진 촬영은 불허하며 큰 카메라는 못 가져 들어가게 하는 바람에 폰카로 몰래 몇 장을 찍었다. 찍어도 그리 정색하며 제지하진 않는다. 이 역사박물관엔 제법 볼 만한 것들이 있으나, 전시 환경이 좋지는 않다. (2017. 3. 2) 2024. 3. 2. AI로 증폭한 ‘요화妖花’ 배정자 친일파 연구자로 유명한 정운현 형이 마침 근자 여러 남자를 전전한 배정자라는 여인 이야기를 정리한 글을 올렸으므로 심심해서 요새 재미 붙인 AI 사진 증폭 기술을 이용해 과연 저 여성이 어떤 면모를 지녔기에 그리 식민지시대 어간에 그리 유명세를 구가했는가를 구명해 보고자 했다. 앞 사진이 그런 대로 젊은 시절 한창 주가 날리던 시절이라 해서 제공하는데 이걸 증폭해 봤다. 이렇게 복원한다. 좀 더 좋은 어플을 돌리면 더 좋은 성과를 얻을 듯한데 이 정도로 만족한다. 다시 얼굴 누끼만 따보기로 했다. 아래와 같다. 전형적인 馬像, 말상이다. 저 시대에 쌍꺼풀 수술은 없었을 테니 자연산이라 보거니와 쌍꺼풀이 뚜렷하고 눈알맹이가 큰 편이다. 저 여인을 흔히 요부라 하고, 한국의 마타하리라 하는데, 그건 평자들 .. 2024. 3. 2. [1차 고려거란전쟁] (5) 담대한 서희, 요동을 정벌하려 했다 세 치 혀로 국가를 누란의 위기에서 구한 서희는 이미 앞서 봤듯이 곧바로 소손녕과의 밀약에 따라 여진 몰아내기에 나섰다. 그 자신 문관이지만 사령관이 되어 군대를 이끌고 먼저 청천강과 압록강 사이 두 강 구간 개척에 나서 여진을 공략했다. 고려로서는 다행인 점이 당시 여진은 거란에 복속한 상태로 아직 중앙집권화한 권력이 출현하기 전이었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부족별로 할거한 상태라, 응집력이 크지 않았고, 무엇보다 그 자신들이 주인으로 섬기는 거란에서 그 개척을 나몰라라 한 까닭에 저항은 크지 않았다. 그렇게 해서 몇년 사이에 순식간에 8개 성을 쌓으면서 그것을 기반으로 삼아 사민까지 해서 둔전을 기반으로 확실히 이곳은 우리 땅이라는 발판을 만들어 나갔다. 그런 점에서 서희는 최윤덕과 김종서의 직접 선.. 2024. 3. 1. [1차 고려거란전쟁] (4) 버선발로 뛰어나가 서희를 맞은 성종 일단 한 번 붙어나 보고 강화를 하건 땅뙈기를 떼어주건 하자는 서희의 제안에 순식간에 조정 여론이 바뀌었으니, 민관어사民官御事를 지낸 이지백李知白 또한 서희에 합류해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다만 시간이 좀 걸린 까닭에 이몽전이 돌아갔으니 뭔가 고려 측 움직임을 보고 다음 타켓을 정하고자 한 소손녕은 더는 참을 수 없어 안융진安戎鎭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 중랑장中郞將인 대도수大道秀와 낭장郞將인 유방庾方을 앞세운 고려군이 거란을 격퇴한 것이다. 중랑장 대도수는 대씨라는 성으로 보아 볼짝없이 발해에서 넘어온 사람이다. 이리 되자 외려 겁을 먹은 쪽은 소손녕이었다. 고려 땅에 들어와 처음으로 공략한 안융진에서 패했으니, 조급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런 때 마침 고려 쪽에서 반응.. 2024. 3. 1. [백수일기] 꽃샘 방황기 백수는 집을 탈출해야 한다는 일념으로 오늘도 괴나리 봇짐 매고선 무작정 나섰다. 모 박물관으로 행차해 그짝 자료실서 오후를 뽀갤 작정이었다. 한데 버스에서 내려 박물관 가는 길목이 영 이상했다. 문을 닫은 가게가 많다. 여타 날과는 사뭇 다른 풍모다. 뭔가 낌새가 이상하다. 박물관을 들어서 자료실로 향하는데 어랏? 불이 꺼졌다. 안 열었다. 박물관은 열었는데 자료실이 안 열다니? 안내 데스크에 물었다. 오늘 삼일절 공휴일이라고 문을 안 연대나 어쩐대나? 아 오늘이 무슨 요일인가? 찾아보니 금요일이다. 거기다 빨간날 그래 말마따나 삼일절이다. 터벅터벅 허탈함에 전시 코너 한 군데 돌고서는 나선다. 집에나 가자. 매섭다. 열라 매섭다. 광화문 바람은 언제나 이렇다. 여름이면 찜통이요 겨울이면 오늘 같은 꽃샘.. 2024. 3. 1. [1차 고려거란전쟁] (3) 거란의 고려 공포증을 간파한 서희 소손녕을 만난 이몽전이 귀환할 때 성종은 서경에 머문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그 회견 내용을 두고 어떤 이가 말하기를 “어가御駕는 개경開京의 궁궐로 돌아가고, 중신重臣으로 하여금 군사들을 거느리고 가서 항복을 청하게 하십시오.”라는 의견이 나온 데서 엿볼 수 있다. 아무튼 저런 안을 비롯해 어떤 방식으로 거란을 달래느냐 하는 중차대한 문제를 두고 조정 의견은 갈라졌다. 개중에서도 “서경 이북 땅을 나누어서 저들에게 주고, 황주黃州에서부터 절령岊嶺까지 잇는 선을 국경으로 삼음이 옳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한데 중론은 결국 저 땅뙈기를 떼어주자는 쪽으로 결정되고 말았다. 이는 그만큼 고려로서는 급박했다는 뜻인 동시에 애초 거란 침입을 개무시하면서 그에 대한 대비를 전혀 하지 못한 혹독한 대가였다. 일단.. 2024. 3. 1. [1차 고려거란전쟁] (2) 거란의 요구를 파악한 서희 뒤늦은 대처에 급조한 군사로 거란을 방어하고자 한 고려 조정이 얼마나 허둥지둥댔을지는 안봐도 비디오라, 그래도 일단 한 번 막는 시늉이라도 해 봐야겠고 해서 고려는 역시나 문관 중심 사령부를 구성하니 시중侍中 박양유朴良柔가 총사령관인 상군사上軍使가 되고 내사시랑內史侍郞 서희徐煕는 넘버투인 중군사中軍使, 문하시랑門下侍郞 최량崔亮은 하군사下軍使가 되어 북계北界에 진을 치고서는 거란을 방어하는 시늉을 한다. 이때 고려 성종은 서경西京에 행차 중이었으니, 전방을 독려하기 위함이었는지 아니면 연례 행사라서 그랬는지 알 수는 없지만, 기왕 나간 김에 안북부安北府까지 가서 전방을 시찰하려 한다. 이 무렵 소손녕蕭遜寧은 이미 봉산군蓬山郡을 공격하여 선봉군사先鋒軍使인 급사중給事中 윤서안尹庶顏을 포로로 잡아갔다. 이에 이.. 2024. 3. 1. Full of Spring Vibes Plum blossoms have been in full bloom at the historic Buddhist temple Tongsa on Sunday in Gyeongsangnam-do. Spring has finally begun to conquer the Korean Peninsula. 매화(자장매) 만발한 양산 통도사 photo by Seyun Oh 2024. 3. 1. 언론자유라는 측면에서 본 한국사 조선시대, 언론자유가 어딨어? 그 폭압성은 인류 역사 맨 우두머리에 위치해야 한다. 김일손은 사부 조의제문 사초에 실었다가 일족이 목이 달아다고 일단도 일망타진됐다. 다 죽었다. 언론자유도라는 측면에서 조선왕조는 실로 유례없는 폭압정권이었다. 그런 언론자유가 느닷없이 구한말에 찾아든다. 조선총독부시대. 좀 변화가 감지되는데 초기에는 그런대로 언론자유가 보장됐다. 그런 자유는 태평양전쟁이 발발하면서 암흑기로 접어든다. 모든 언론이 통제됐고 기사는 사전 검열되었다. 이 시대를 조선시대랑 비교하면? 비교 자체가 불가능하다. 그래도 숨구멍은 있었기 때문이다. 해방 이후, 언론자유는 사상 유례없는 호황을 누렸다. 물론 상대적이긴 하다만 말이다. 그러다가 유신체제에 들어가면서 다시 억압시대로 갔다. 그런 억압시대는.. 2024. 3. 1. [1차 고려거란전쟁] (1) 뻘짓한 고려 편의상 고려거란전쟁을 세 차례 있었다 하지만, 누누이 말했듯이 그것 말고도 두 왕조 사이에는 크고 작은 전쟁이 끝임없이 벌어졌다. 치열한 탐색전이 펼쳐지는 가운데 그 서막을 연 것이 널리 알려졌듯이 993년, 고려 성종 12년, 요遼 통화統和 11년에 펼쳐진 제1차 전쟁이라 이 전쟁이 실은 두 왕조에 모두 가장 이상적인 결과를 가져다 주었다. 거란 부마 소손녕蕭遜寧이 자칭 80만을 이끌고 국경을 넘었다 했지만 이는 개뻥이며, 실제 동원한 군사는 절반도 안 된다. 쪽수가 많다 해서 겁박했을 뿐이다. 다행해 이 전쟁이 이렇다 할 충돌없이 외교협상으로 끝나서 그렇지망정이지 하마터면 고려 국토가 초토화할 뻔 했다. 우리는 이 조우에서 세 치 혀 서희에 의한 이른바 강동육주 획득을 한국 역사상 가장 빛나는 외교협.. 2024. 3. 1. 朝鮮総督府設置ニ関スル件[조선총독부설치에 관한 건] 朕枢密顧問ノ諮詢ヲ経テ朝鮮総督府設置ニ関スル件ヲ裁可シ並ニ之ヲ公布セシム 睦仁 内閣総理大臣侯爵桂太郎 勅令第三百十九号 朝鮮ニ朝鮮総督府ヲ置ク 朝鮮総督府ニ朝鮮総督ヲ置キ委任ノ範囲内ニ於テ陸海軍ヲ統率シ一切ノ政務ヲ統括セシム 統監府及其ノ所属官署ハ当分ノ内之ヲ存置シ朝鮮総督ノ職務ハ統監ヲシテ之ヲ行ハシム 従来韓国政府ニ属シタル官庁ハ内閣及表勲院ヲ除クノ外朝鮮総督府所属官署ト看做シ当分ノ内之ヲ存置ス 前項ノ官署ニ在勤スル官吏ニ関シテハ旧韓国政府ニ在勤中ト同一ノ取扱ヲ為ス但シ旧韓国法規ニ依ル親任官ハ親任官ノ待遇、勅任官ハ勅任官ノ待遇、奏任官ハ奏任官ノ待遇、判任官ハ判任官ノ待遇ヲ受クルモノトシ尚在官 朝鮮総督府設置ニ関スル件・御署名原本・明治四十三年・勅令第三百十九号 行政文書*内閣・総理府太政官・内閣関係御署名原本(明治)明治43年勅令 請求番号 御08512100 保存場所 分館 作成.. 2024. 3. 1. 문화재의 분권화는 곧 유물의 분권화다 다른 소장품도 다 그렇지만 국립중앙박물관을 장식하는 문화재는 근간이 다 약탈품이다. 개중에 아주 간혹 조선이 대일본제국 일원이었을 적에 그 힘으로 약탈한 이른바 중앙아시아 유물 컬렉션이 있기는 하지만, 그뿐만 아니라 국내에 국한해도 약탈품이라는 근간이 변할 수는 없다. 이른바 전세품傳世品이라는 것들이야 그 내력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으니 이건 논외로 친다 해도, 출토품의 경우 근간이 약탈품이다. 지방이 능력이 안 된다는 이유로, 조건이 안 된다는 이유로 모조리 서울로 서울로 뽑아 올려 국가를 장식하는 기능으로 쓰이는 까닭이다. 우리는 곧 신라를 대한민국이라 치환하나 천만에. 어찌 대한민국이 신라이겠으며 신라가 어찌 대한민국이겠는가? 경주 지역 피약탈품 그 어디에서도 신라의 찬란함을 웅변하는 황금유물이라.. 2024. 3. 1. 고려와 광해군이 실리외교라는 낭설에 대하여 흔히 역사를 업業으로 주물하는 사람들한테 노골로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가 이것이라, 얄팍한 역사지식으로 짐짓 그것이 21세기 대한민국이 지향해야 하는 외교 노선이라 주장하며 설레발을 치거니와 거란 여진이 패권을 잡은 시대 고려, 그리고 신흥 강국 만주 여진족이 세운 청이 노쇠한 한족 기반 명나라와 대치할 적에 광해군이 보인 행보를 실리외교라 하면서 그것을 쳐받들면서, 강국에 쌓인 한국이 지향해하는 외교노선이 바로 저에서 교훈이 있다면서 曰, 그것을 본받으라 한다. 저 중에서도 광해군이 이상하게 과대포장되어 한때 뜨기도 했으니, 특히 노무현시대가 그러했으니, 이 시대에 아마 광해를 주인공 혹은 그 시대를 배경으로 삼은 드라마 혹은 영화가 극성을 구가했을 것이니, 노무현 자신도 내 기억에 광해를 자신의 롤 .. 2024. 3. 1. 용인 ‘선장산(禪長山)’의 위치 오류 용인 석성산(471m) 북쪽에 해발 349m의 비교적 낮은 산 정상부에 석성이 남아 있는데, 바로 할미산성(노고성)이다. 석성산성과 할미산성은 직선거리로 2km가 채 안되는 가까운 거리에서 마주보고 있다. 석성산은 ‘석성산’ 또는 ‘보개산’으로 불렸음을 조선후기 여러 읍지와 고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문제는 할미성이 위치한 산의 이름이다. 현재 여러 지도에는 할미산성이 위치한 산의 이름을 ‘선장산(禪長山)’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산의 이름이 선장산으로 표기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년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사람들은 잘 알지 못한다. 1920년대 수치지형도에서도 할미산성이 있는 고개의 이름을 ‘백현(栢峴)’이라고만 표시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형.. 2024. 2. 29. 조선총독은 과연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이었는가? 1910년, 일본 메이지明治 43년 8월 29일 이른바 한일합방조약에 따라 일본은 조선통치를 전담할 현지 기관으로 조선총독부를 설치한다. 다만 시급성 때문에 기존 조선통감부와 그 소속 관서官署를 존치하는 한편 기존 통감을 조선총독 업무를 맡겼다. 나아가 대한제국 정부에 속한 여러 관청도 조선총독부 소속 관서로 간주되어 당분간 존치케 했다. 그러다가 제반 준비가 완전히 갖추었다고 판단한 한 달 뒤, 동년 9월 30일 ‘조선총독부 및 소속 관서 관제’를 공포하고 10월 1일자로 이를 시행했다. 공포와 시행이 하루밖에 차이 나지 않았다. 이에 육군대신이자 자작인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이날짜로 이날 조선총독 겸임을 명받는 한편, 정무총감에는 야마가타 이사부로가 임명되었다. 바로 이 날짜가 훗날 매년 10월 1일을.. 2024. 2. 29. [박물관 현황과 연혁] 동백지구 개발의 적자 용인시박물관 용인시박물관은 인구 백만을 상회해 이른바 특례시가 된 경기 용인시 유일한 공립박물관이다. 이 박물관은 태생 배경으로 따지면 바로 앞에서 살핀 송파책박물관과 비슷한 개발에 따른 기부채납 형식이지만 사정은 조금 다른 구석이 있어, 이 경우는 동백 택지개발지구사업을 진행하면서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 LH가 지어 용인시에다가 기부채납함으로써 역사에 이름을 드러낸다. 이런 대규모 국책 사업지구에서 이런 기부채납 박물관이 더러 생기는데, 용인시박물관은 같은 구역 안 동백도서관과 더불어 같이 세트로 기부채납되었다. 그런 까닭에 본래 이름이 동백문화유적전시관이었고 나중에 용인문화유적전시관이 되었다가 2018년 현재의 간판으로 바꿔 단다. 전시관이라면 박물관과 비슷한 문화시설이지만 한 단계 낮은 시설로 치부하는 경.. 2024. 2. 29. [202401 독일풍경..마지막] (11)베를린 ⑤ 베를린 돔 from 장남원 서울 사람들이 평생 남산타워에 몇 번이나 갈까. 63빌딩에는 몇 번이나 올랐을까. 베를린 사람들도 그럴 것 같다. 용기를 내서 돔 꼭대기에 올라가기로 했다. 높이 133m 웅장한 건물 280여개 좁고 가파른 계단을 숨도 쉬지 않고 올라가야 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Berlin_Cathedral Berlin Cathedral - Wikipedia Lutheran church in Berlin Berlin Cathedral bells ringing The Berlin Cathedral (German: Berliner Dom), also known as the Evangelical Supreme Parish and Collegiate Church, is a monumenta.. 2024. 2. 29. 풍곡 성재휴 부채 그림 여러분 마음에 봄 향기를 보내고자, 달빛 아래 매화 부채를 사뿐 부쳐드립니다. 풍곡豊谷 성재휴成在烋(1915-1996) 화백 솜씨인데, 이분이 즐겨 그리는 현대적 산수화나 파격적 쏘가리보담도 격이 한층 높아 보입니다. 1985년 작이니 풍곡이 고희를 살짝 넘긴 시점, 이분으로선 전성기 작품이군요. 2024. 2. 29. 산송山訟을 쓸어버린 조선총독부 묘지규칙 4. 묘지규칙[221] 1) 종전의 폐풍 조선은 예로부터 묘지 존중의 관념이 깊었는데, 여기에는 여러 미신이 수반되어 선조의 묘지가 좋고 나쁨에 자손들의 화복이 결정된다는 풍수설이 견고하여 뿌리 뽑을 수 없는 관념으로 굳어졌다. 따라서 풍수가가 가리키는 묘지는 전 재산을 바쳐서라도 이를 얻으려 하였고, 얻을 수 없으면 남의 토지라고 해도 그것을 범하는 것도 개의치 않았다. 심한 경우에는 타인의 분묘를 발굴發掘하여 자가自家에서 사용하는 경우도 적 지 않았다. 이로부터 범죄자가 속출하고 항상 분쟁이 끊이지 않았으며, 묘지와 관련된 민사 소송에서는 가산을 탕진하면서도 이를 다투었다. 그 결과 분묘가 도처에 산재하 여 풍속·교화 및 위생에 해를 끼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양호한 경지를 황폐하게 하고 민력民力.. 2024. 2. 29. 일본 문화를 바라보는 창, 우키요에 [다짜고짜 홍보] 판리 지음, 홍승직 옮김, 아트북스 2022-2023년 이 책 번역에 매달렸습니다. 중국 사람이 일본의 우키요에를 연구하여 책을 내서, 중국어 번역자인 제게 맡겨지게 되었습니다. *** 역자 팔보 홍승직 선생이 자신이 번역한 책을 이리 소개한다. 좀 더 자세했음 싶다. 2024. 2. 29.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던져진 내 삶 내가 거의 매일 그리 분량이 많지는 않으나 이것저것 글이랍시며 긁적이는 이유는 쓰지 않으면 글쓰기 능력이 무디어진다 생각해서다. 그러다 보니 벌려놓은 일은 많고 진척이 더딘 편이지만, 그래도 하나하나 차곡차곡 쌓으면 한달이면 단행본 두 책 분량은 나오리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내가 태어난 까닭이 이 일을 하기 위함은 아니었다. 나는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이 세상에 던져졌을 뿐이다. 한때는 영문학도를 꿈꾸었지만 이런저런 핑계로 단념하고 말았으며, 기자는 내가 생각한 인생 목록엔 전연 들어가 있지도 않았다. 한데 어찌하다 보니 이 길로 들어섰고 또 어찌하다 보니 어느날 기자가 되어 있었다. 기자는 평생한다는 생각이 없었다. 하지만 이 또한 뜻대로 되지 않아 어쩌다 보니 반백인 지금 거의 절반을 이 일에 투신했.. 2024. 2. 29. 이전 1 ··· 337 338 339 340 341 342 343 ··· 103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