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1637 한글사랑, 한글을 옥죄는 괴물 한자를 억압하고 숨통을 끊어버리대서 그것이 한글사랑은 아니다. 네티즌을 누리꾼으로 바꾼데서 그것이 한글살리기도 아니다. 레미제라블을 불쌍한 사람들이라 옮긴다 해서 그것이 한글사랑인 것도 더더욱 아니다. 자칫하면 한글이 질식할 거 같다는 패배주의 버려라. 저것을 말살해야 내가 산다는 망상도 씻어라. 한글이 그리 간단한줄 아는가? 육백년을 살아남았고 앞으로 육천년을 갈 것이다. 지석영이 최현배가 한글을 지켰다는 말, 거짓말이다. 그것을 지킨자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다. (2012. 12. 28) *** 한글사랑이라는 그 운동이 표방하는 정신을 폄훼하고픈 생각은 추호도 없다. 하지만 내가 보는 한, 한글을 죽이는 범인은 그 한글사랑이다. 그건 사랑이 아니라 집착이며 윽박이다. 외래어? 남발한다 해.. 2022. 12. 28. 북극北極과 천황天皇, 그리고 자궁紫宮과 자금성紫禁城 춘배가 보관 중인 이 조선후기 천문도만 비단 그런 것은 아니고 거의 모든 동아시아 천문도가 이 모양이라 저 하늘의 중심을 일러 북극北極 이라 하니 이는 말할 것도 없이 우리가 북반구에 사는 까닭이다. 그 세부를 확대하면 이 북극이 좀 묘해서 광의 협의 두 가지가 아주 자주 착종하니 첫째 광의로서 점이 아니라 면이라 북쪽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주변 일대 광역이고 둘째 협의로서 그 지점 특정한 별자리를 지칭하니 이 경우는 북극성이라 부른다. 저 천문도는 북극이란 말을 광의로 썼으니 우리가 생각하는 북극성이라는 개별 별자리는 천황天皇이라 표시한 대목을 본다. 명목상 일본국 군주를 일러 천황이라 하는데, 그 천황은 저 하늘 별자리에서 강림한 것이다. 정식 명칭은 천황대제天皇大帝다. 저 천황대제가 사는 궁전을 자궁.. 2022. 12. 27. 손진기孫進己와 《동북민족원류東北民族源流》 이 책은 꽤 오래됐는데 중국에서는 동북삼성 민족사 연구의 지남자와 같은 역할을 아직도 그쪽에서 하고 있다고 본다. 임동석 선생 번역으로 한국어판도 동문선에서 나왔다. (아래 첨부사진 참조) 이 양반 주장이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게 중국에서 통용되고 있기 때문에 필자의 글은 동북공정관련 유무를 떠나 이 책을 논의의 시발점으로 삼아 질정한다. 필자의 연구분야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인류집단의 분화와 계통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이는 항상 정치적 논란의 대상이 되었는데 (가장 가까운 예가 나치즘과 인류학의 관련이다) 지금도 인류학이 가까이는 동북아인의 정치적 욕구에 봉사하는 면이 전혀 없다고는 할 수 없다. 결국 필자도 사람인 이상 크건 작건 이런 정치적 동향에 영향을 받을수 밖에 없긴 하지만, 최대한 사실에 가깝.. 2022. 12. 27. 굳이 역사 관련 이야기를 블로그에 적는 이유 최근에 필자가 여러가지 역사 이야기를 블로그에 적는 이유는 심심풀이 삼아 적는 것은 물론 아니며 앞으로의 연구작업과 관련이 있다. 향후 작업에는 문헌 사학의 성과를 크게 반영하고자 하는데 외연을 확인하고자 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간혹 이야기가 빗나가 너무 멀리 가기도 하는데 양해가 있기를. 다만 나중에 시간이 흐르면 알게 되겠지만, 지금까지 해오던 작업과 많이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며 뼈대에 살을 붙이는 작업이 될 것이다. 결국 학문의 최종 목표는 스토리텔링이며 (올해 노벨의학상이 왜 네안데르탈인에게 주어졌는지를 생각해 보라. 고대 DNA연구자는 이번 수상자 외에도 많았다) 스토리텔링에는 역사학 만한 것이 없다. 필자도 이제 나이 50대 중반을 넘어서 회갑을 바라보기 시작했는데, 연구전체를 꿰뚫는 스토리.. 2022. 12. 27. 삼한 강역 혹은 분포 서울지방국세청 조세박물관 비름빡에 의함..내 견해가 아님 2022. 12. 26. 비파형동검 분포지역과 고조선 영역 서울지방국세청 조세박물관 비름빡에 의함..내 견해가 아님 2022. 12. 26. 4세기 근초고~근구수왕 무렵 백제 강역 서울지방국세청 조세박물관 비름빡에 의함..내 견해가 아님 2022. 12. 26. 5세기 장수왕 무렵 고구려 강역 서울지방국세청 조세박물관 비름빡에 의함..내 견해가 아님 2022. 12. 26. 진흥왕시대 신라 강역 서울지방국세청 조세박물관 비름빡에 의함..내 견해가 아님 2022. 12. 26. 발해 행정구역 서울지방국세청 조세박물관 비름빡에 의함..내 견해가 아님 2022. 12. 26. 발해 지방 특산품 2022. 12. 26. 고려왕조 행정구역 편제 3경 4도호부 12목 2022. 12. 26. 조선시대 조운창 서울지방국세청 조세박물관 비름빡 이걸 보면 평양 이북 지역은 면세지역이었음을 안다. 자체 조달해서 먹고 살아라 이거였던가? 그렇다 해서 저짝에서 공진품이 없었느냐 하면 그게 아니라는 데 심각성이 있다. 2022. 12. 26. 이자춘-이성계는 여진을 움직였다 14세기 말. 원나라가 쇠락의 길을 걸으면서 고려도 이에 대한 반격을 시작한 바. 공민왕은 쌍성총관부를 수복할 계획을 세우면서 현지 유력자인 이자춘과 비밀리에 접촉한다. 그 당시의 정황이 왕조실록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이때 기 황후(奇皇后)의 종족(宗族)이 황후의 세력을 믿고 몹시 난폭했으며, 황후의 형 대사도(大司徒) 기철(奇轍)은 쌍성(雙城)의 관리 조소생(趙小生)·탁도경(卓都卿)과 몰래 통하여 서로 당(黨)을 지어 반역을 꾀하였다. 왕이 환조에게 이르기를, "경(卿)은 우선 돌아가서 우리 백성들을 진무(鎭撫)하라. 혹시 변고가 있으면 마땅히 내 명령대로 하라." 하였다. 이해 5월에 기씨(奇氏)를 평정하고 밀직 부사(密直副使) 유인우(柳仁雨)를 명하여 가서 쌍성(雙城)을 토벌하게 하였다... 2022. 12. 26. 발해의 용원龍原이라는 이름 (2) 앞서 쓴 글에서 발해의 동경용원부東京龍原部야 말로 대조영 일가의 세거지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제 "동경용원부" 영역을 보자. 한규철 선생 책에 올라있는 그림인데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것을 퍼왔다. 용원부 서남쪽에는 남경이 있다. 대략 남경남해부는 북청 함흥 일대로 고려의 북쪽 경계를 이루던 지역에 해당한다. 남경남해부와 동경용원부 경계는 어디쯤이었을까? 당연히 이전에도 이 두 지역의 지리적 경계였던 마운령 어디쯤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발해가 망한 후 고려는 남경남해부 일부를 점거하고 천리장성을 쌓은 상태였다고 할 수 있겠는데, 윤관의 북벌은 동경용원부와의 경계까지 진출하여 남경남해부 전체를 석권한 전역이었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바로 그 진출 경계선이 진흥왕 순수비가 서 있는 지점이었다고 하겠다.. 2022. 12. 26. 발해의 용원龍原이라는 이름 (1) 앞서 발해의 행정 구역 이름을 보면 발해인의 세계관을 엿볼 수 있다는 이야기를 했다. 발해 15부 하루종일 직장에서 바빴다. 이제 한숨 돌리고 장성 이야기를 계속 쓴다. 잠깐 이야기를 돌려 발해를 보자. 우리는 발해사에 대한 선입견이 있다. 발해는 시종일관 중국과 신라와 대립했고 군사 historylibrary.net 발해의 오경 중 동경용원부라는 곳이 있다. 5경 중 한 곳이 위치한 데다. 보통은 발해 건국자인 대조영 집안을 상경용천부가 있는 지역으로 생각하는 것 같은데, 필자가 보기에는 대조영 집안 세거지는 상경용천부가 아니라, 이곳 동경용원부 지역이다. 어떻게 아느냐? 동경의 이름을 보면 짐작할수 있다. 龍原이라는 이름은 아무 데나 붙이는 게 아니다. 필자의 짐작이 맞다면, 대조영 집안은 두만강 하.. 2022. 12. 26. "윤관은 왜 실패했는가"에서 출발한 세종 이도의 음모 정부가 편찬한 조선 왕대별 공식 편년체 역사인 조선왕조실록 중 유독 세종실록에는 지리지가 붙어있다. 세종은 왜 이 지리지를 편찬했을까? 아니, 세종시대를 정리하며 조선왕조는 왜 이 지리를 굳이 넣었을까? 단순히 조선왕조가 개창하고서 이제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아 그것을 정비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그래서 지리지 말고도 다른 志들을 편찬했다고? 나는 한국 역사상 가장 영토 야욕이 컸으며, 이를 위해서는 음모를 마다 않은 세종한테서 그 음모술수를 배워야 한다고 역설했다. 어떤 음모인가? 목적을 위해서는 그는 수단방법 가리지 않았지만, 그것은 언제나 명분을 동반하는 각본에 기반했다. 간단히 왜 그럴 수밖에 없는지 그 논리를 만들었다. 지리지는 중국이 치고 들어올 때를 대비해 짠 시나리오다. 북방으로 진군해 4군6.. 2022. 12. 26. 함길도가 폭로하는 세종실록지리지의 음모 세종은 함경도를 병합하고 나면 명나라로부터 간섭이 있지 않을까 항상 두려워했던 것 같다. 윤관의 비가 두만강 건너 선춘령이라는 구절도 그렇지만, 이 땅이 역사적으로 한반도 국가의 땅이라는 점을 어떻게든 증명하려 했다. 이런 프로파간다의 도구로 사용된 것이 세종실록 지리지의 함경도에 대한 설명이다. [A] 함길도는 본래 고구려의 고지(故地)이다. 고려 성종(成宗) 14년 을미에 경내(境內)를 나누어 10도(道)로 하고, 동계(東界)로써 삭방도(朔方道)를 삼았는데, 함주(咸州) 이북이 동여진(東女眞)에게 함몰되어 예종(睿宗) 2년 정해 【송나라 휘종(徽宗) 대관(大觀) 원년(元年).】 에 중서 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윤관(尹瓘)을 원수(元帥)로 삼고,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오연총(吳延寵)을 부원수(副.. 2022. 12. 26. 조선전기 변방 생활의 일상 고사리진에서 자다〔宿高沙里鎭〕 성현成俔(1439~1504), 《허백당집虛白堂集》 제13권 시詩 산에 기댄 성첩이 강 언덕에 자리하고 / 石堡憑山枕水崖 성안엔 수십 가구 백성들이 사는 이곳 / 城中數十吏民家 오랑캐 막느라 밤마다 야경 돌고 / 防胡夜夜鳴刁柝 조 심으려 사람마다 자갈밭 개간하네 / 種粟人人墾石沙 숲속엔 조롱조롱 신 자두 열렸는데 / 苦李林間多結子 바위 아래 고사리는 이미 세어 버렸네 / 芳薇巖底已剛芽 변방 지역 경물이란 어찌 이리 암담한지 / 邊庭景物何愁慘 나그네 시 지으며 자꾸만 탄식하네 / 過客詩成屢發嗟 [주-D001] 고사리진高沙里鎭 : 《신증동국여지승람》과 《대동여지도》에는 고산리高山里로 되어 있다. 평안도 강계에 속한 거진巨鎭으로, 병마첨절제사를 두었다. [주-D002] 間 : 대본.. 2022. 12. 25.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1439~1504)이 증언하는 광개토왕비 황성교를 바라보다〔望皇城郊〕 성현成俔(1439~1504), 《허백당집虛白堂集》 제13권 시詩권 긴 강가에 너른 평야 아득하게 펼쳐지고 / 平郊渺渺長江湄 산이 돌고 물 굽이져 경치가 뛰어난데 / 山回水複多淸奇 어느 시대 영웅이 여기 와서 할거하여 / 何代英雄來割據 지금까지 황성의 기내畿內라고 불리는가 / 至今猶謂皇城畿 흑룡강 왕기 마치 철과 같이 견고하니 / 黑龍王氣堅如鐵 속저의 큰 사업이 마침내 쇠퇴했고 / 屬猪大業冬業衰 하찮은 강좌로는 대적할 수가 없고 / 區區江左抗不敵 중원이 복속되어 오랑캐 땅 되었구나 / 中原左衽皆胡夷 왕업 근거지에 도읍을 정한지라 / 興王之地大都邑 높은 성첩 큰 궁궐이 험한 산에 기댔으니 / 崇墉傑殿憑險巇 백만 공경과 장수 집안에서 / 公侯將種百萬家 부귀영화 누리면서 좋은 시절 .. 2022. 12. 25. 기생의 본고장, 그 좋다는 평안감사 허백당 성현成俔이 증언하는 신년하례회 설날 기록하다 2수. 정미년(1487, 성종18)에 공이 여전히 관서에 있으면서 지었다. 〔元日記事 二首 丁未年公猶在關西作〕 성현成俔(1439~1504), 《허백당집虛白堂集》 제12권 시詩 십여 년 짐 싸들고 변경으로 나돌다가 / 十年書劍走關河 올해는 또 평양에서 새해를 맞았어라 / 又見箕城換物華 장경사의 버들에는 눈이 아직 남았는데 / 殘雪尙餘長慶柳 새봄이 온 대동강에 물결이 또 이는누나 / 新春又發大同波 이른 아침 고을 원들 모두 와서 하례하고 / 早朝鵷鷺盈庭賀 저녁 무렵 친구들이 술병 들고 찾아오네 / 薄暮親朋載酒過 한 도 맡아 다스리니 비록 중한 임무지만 / 分閫保釐雖重任 오운과는 멀고도 먼 해서의 물가로세 / 五雲遙阻海西涯 객관에 귀인들이 비단 방석 깔고 앉고 / 華館犀龜鎭錦茵 기녀들이 세 줄로.. 2022. 12. 25. 이전 1 ··· 544 545 546 547 548 549 550 ··· 103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