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499

산초 사촌 제피 제피는 산초랑 구별이 쉽지 아니한뎌 가장 확실한 방법은 이파리 하나만 뜯어제껴 콧구멍에 갖다대 보는 것이다. 그리하여 꼬소한 냄새가 나면 산초, 코끝을 강렬히 자극하며 어랏? 추어탕집? 하면 제피로 보아 대과가 없다. 실제 한국산 향신료 중에서 그 강도가 가장 강한 것으로 제피를 꼽거니와 추어탕 향신료로 이를 쓰는 이유다. 나는 이 제피를 한국이 자랑하는 향신료로 개발해야 한다고 보는데 잘만 하면 일본이 자랑하는 와사비를 능가할 것으로 본다. 왕비나 후궁이 기거하는 곳을 초실椒室 등등이라 해서 椒를 쓰는 일이 많은데 실제 과거 그 주석을 보면 그 방엔 椒 기름을 비름빡에 발라서 그리 부른다 했다. 이 경우 椒는 제피가 아니고 산초山椒 같은데 전자는 향이 너무 강한 까닭이다. 혹 모르겠다. 제왕이 하도 목.. 2020. 10. 1.
산초기름에 떠올리는 변비 똥꼬 으름 따러 가는 길에 심심찮게 조우하는 산조. 때가 때인지라 까만 열매가 벌어져 낙하하기 시작했으니 저 까만 놈을 압착기에 쥐어 짜서 나온 지름을 산초기름이라 하거니와 주로 두부부침에 이용하지만 쓰임은 광범위해서 다종다양하게 쓴다. 살피니 때가 지나 이미 절반 정도는 알갱이가 빠져나갔으니 요새는 각종 기름이 판을 쳐서인지 옛날처럼 산초가 절실하지는 아니한 듯 하거니와 내가 다시 귀농이라는 형식을 취할 날이 혹 있을란지 모르지만 그때는 산초밭을 만들어보고저 한다. 그 옛날엔 변비에 꼬챙이로 똥꼬를 쑤실 때도 쓰지 않았나 한다. 송진 많이 먹으면 그래 되곤 했다. 듣자니 저짝 장성땅 행주기씨 대종가에선 산초기름을 쓰지 않는다는데 역시 땅부자들은 다른가 보다. 올핸 거의 모든 작물이 흉작이라 산초까지 그렇단다. 2020. 10. 1.
“돈만 주면 잘 써주께”, 공정성 의심받는 역사가 진수陳壽 진수(陳壽)가 장차 ≪삼국지(三國志)》를 수찬하려고 할 때 정양주(丁梁州)에게 말했다. “만약 천 곡(斛)의 쌀을 구하여 나에게 빌려준다면, 틀림 없이 존공[尊公: 정이(丁廙)]을 위해 훌륭한 전(傳)을 지어 주겠소.” 하지만 정양주가 쌀을 주지 않아 마침내 그의 전이 없게 되었다. 陳壽將爲《國志》, 謂丁梁州曰: “若可千斛米見借, 當爲尊公爲佳傳.” 丁不與米, 遂以無傳. [《類聚》七十二] 1. 진수(陳壽); 자는 승조(承祚), 사공(司空) 장화(張華)가 그의 재능을 인정하여 효렴(孝廉)에 천거함으로써 좌저작랑(左著作郞)에 임명되었다. 《삼국지》를 수찬했는데, 당시에 '양사(良史)'라는 칭송을 받았다. 2. 정양주(丁梁州): 정이(丁廙)의 아들, 자세한 행적은 미상, 정이는 자가 경례(敬禮)이며, 형 정의(.. 2020. 10. 1.
올해 곶감은 없다 올핸 감이 흉작이다. 어느 정도인가 하면 전멸이다. 엄마 왈..곶감은 걸러묻따. 해걸이 때문인지 쏟아부은 비 탓인진 모르겠지만 우리집 감나무만이 아니라 온 동네 감나무가 이 모양이다. 주렁주렁 좀 있음 감 따러 와야지만 올해는 딸 감이 없다. 감만이 아니다. 대추도 전멸이라 옹앙종알해야 할 대추나무엔 사랑이 걸린 게 아니라 황량함만 너풀댄다. 그래도 소출이라고 늙은 호박 하나 안고 아부지 산소에서 귀대한다. 그러고 보니 호박도 흉작이다. 2020. 10. 1.
[김태식추천도서] 중국물질문화사 팔보채를 즐기는 순천향대 공자아카데미 원장 홍승직 교수가 미려하게 번역한 《중국물질문화사》가 도서출판 알마에서 번역 선보였다. 하드카바라 좀 거슬렸지만, 보니 종이가 아주 가볍고 무엇보다 편집이 깔끔해 맘에 든다. 후기를 보니 베이징 국가박물관이 리모델링을 위해 문을 닫은 2007~09년 강좌 원고를 덧보태어 이 책을 썼다 한다. 그 번역본이 나왔다는 소식은 홍교수 포스팅을 통해 봤다가 방금 우리 공장 출판담당이 나한테 필요하다 해서 준다. 《중국물질문화사》라 해서, 완연한 도해 중심이지 않을까 생각했더니, 텍스트와 도판의 조화를 획책했다. 중국 문명 5천년이 이룩한 물질 문화 성과를 농업과 음식, 술 차 설탕 담배, 방직과 복장, 건축과 가구, 교통수단, 야금, 옥기 칠기 자기, 문구 인쇄 악기, 무장.. 2020. 10. 1.
김유신의 길을 가는 나훈아 歌皇 뜨자 시청률도 폭발…KBS 나훈아 콘서트 29% 2020-10-01 08:13 부산에서는 40% 근접…모레 공연 뒷얘기 담은 다큐 예고 https://m.yna.co.kr/view/AKR20201001009800005?section=culture/index&site=hot_news歌皇 뜨자 시청률도 폭발…KBS 나훈아 콘서트 29% | 연합뉴스歌皇 뜨자 시청률도 폭발…KBS 나훈아 콘서트 29%, 이정현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10-01 08:13)www.yna.co.kr 역시 나훈아란 찬사로도 부족하다. 기록적인 시청률이다. 나훈아라는 이름이 주는 무게, 트로트열풍에 그 진원지인 미스트롯과 미스터트롯이 채워주지 못한 갈증, 추석연휴라는 시점이 한 몫을 했을 것으로 본다. 특히 이번 공연.. 2020. 10. 1.
Two ancient roman dishes with graffiti Two dishes with graffiti The plates are engraved with geometric graffiti inspired to writing.Rome, via Laurentina, Acqua Acetosa, necropolis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BC Due piatti con graffiti Sui piatti sono graffiti segni geometrici ispirati alla scrittura.Roma, via Laurentina, Acqua Acetosa, necropoli prima metà del VII secolo a.C. National Roman Museum, Baths of Diocletian, Rome, Italy .. 2020. 10. 1.
제비 떠난 제비집 제비는 떠났다. 슬퍼할 필요없다. 오는 사람 막지 말고 가는 사람 잡지 말라 했다. 그래도 언제나 아픈 건 어찌하리오? 별리別離는 연습한다 해서 그 아픔이 덜할 수는 없는 법이다. (2018. 10. 1) 2020. 10. 1.
오직 한 길로만 혁명한 나훈아 아직도 귀에 쟁쟁하다. 바지 니리 보까요? 벗었으면 이상할 뻔 했지만 그답게 혁띠만 풀고 말았다. 그걸로 끝이었다. 그걸로 그의 짬지는 성한 걸로 간주되었고 수염은 계속 남았으며 누에 키우는 잠실蠶室 신세지지도 아니했으니 그걸로 된 것 아닌가? 그를 일러 가인歌人이라 하거니와 천상 그는 가인 맞다. 딴따라 시대를 모질게 살아남아 그것이 칭송받는 가인 시대에까지 끊임없이 변주하며 살아남았다. 비슷한 연배 딴따라들이 원로입네 하면 퇴장할 때도 그는 하나의 본령을 지키며 그 안에서 줄기차게 변신했으니 천만 뜻밖에도 저이는 조용필과 동시대를 사는 사람이라 나이 차도 거의 없다. 조가 장르를 넘나들며 안한 장르가 없다시피하는 모험을 계속하는 중에도 저이는 오직 한 길을 가면서 그것을 혁명했다는 점이 대서특필할 만.. 2020. 9. 30.
추석 연휴의 동반자 《어림語林》 갈수록 짐 부담이라, 부피 무게 작은 문고본 중에 그 어느 쪽도 부담이 없는 이 친구를 골라잡는다. 더구나 짤막짤막한 인물 일화 모음집이라 순서에 구애받을 필요도 없으니 이 얼마나 깐쫑한가? 동진東晋 시대 행적이 분명찮은 배계裴啓라는 이가 엮은 지인志人 필기筆記로 분류할 만 하거니와 전 10권이라 하지만 발간 직후 베스트셀러였지만 이내 곤두박질하면서 독서시장에서 퇴출, 망실되는 비운을 맞았다. 《어림》의 이런 운명은 《세설신어》에 잘 남았거니와 배계가 수록한 당대 정계와 산림을 거물 사안謝安 관련 일화를 다름 아닌 사안 자신이 그런 일 없다고 딱 잡아떼는 바람에 한장 오르던 주가가 곤두박질쳐서 마침내 지성계에서는 거짓을 담은 책이라 해서 쫓겨나고 말았단다. 이에 말미암아 기어이 책 자체가 아예 종적을 감.. 2020. 9. 30.
늦은 추석, 으름은 새가 먼저 김천구미역 도착과 더불어 마중나온 동생더러 으름은 어찌 되었느냐 물으니 이마 다 벌어져 떨어지고 남지 않았을 거란다. 그래도 혹시나 하고선 계곡으로 찾아나서는데 늦긴 했다. 거의 다 져버리고 늦은 놈 몇 개가 남아 그걸 붙잡고는 좍 벌리고는 맛을 본다. 올들어 처음 맛보는 으름이다. 일찍 벌어진 것들은 이미 새가 다 쪼아 버렸다. 음식 쓰레기는 남기지 않는 법이어늘 이놈들은 뒤처리가 깔끔하지 못하다. 저 맛날 걸 왜 남긴단 말인가? 이젠 제철 맞아 이걸 전문으로 따는 사람도 없다. 시절이 시절인지라 요새는 송이 따러 오가는 사람들이 손에 잡히는 데만 따서 잠깐 맛볼 뿐이다. 요새야 촌이라 해도 먹을 것 걱정하는 시절은 아니니 저말고도 맛난 것 천지인 세상이다. 언제나 하는 말이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같은 .. 2020. 9. 30.
가을은 교미하는 계절 미안하다 방해해서 근데 너흰 다른 동물이 쳐다봐도 아랑곳 없네? 뒤에 올라탄 놈이 숫놈 아닐까 하는데 계속 파닥파닥이다. 어젯밤 과음한 듯 영 힘에 부치는 듯 내가 도와줄까 물었더니 글쎄 말이 없네? 이르노니 가을은 교미하는 계절이다. 그래 난 황조가黃鳥歌나 불러야겠다. 편편황조 자웅상의 염아지독 수기여귀 리오. 翩翩黃鳥 파닥파닥 누랭이 새 雌雄相依 년놈 서로 즐기는데 念我之獨 외로울싸 이내 몸은 誰其與歸 누캉 모텔 들어가리 2020. 9. 30.
송이 능이 굽디디기, 버섯계의 삼대천왕 https://youtu.be/dC7O-b4Aw8E 어떤 놈이 능이 송이 표고로 버섯의 서열을 매겼는지 모르겠으나 표고는 버섯 축에도 못 든다. 틀림없이 표고버섯 농장주들 농간이다. 무슨 표고가 버섯이란 말인가. 저들이 진짜 버섯계 삼대천왕이다. 2020. 9. 30.
내가 자릴 비운 사이 있었던 일, 군산 선제리유적 검파형동기 *** 이 소식이 전해지던 그 무렵은 내가 풍찬노숙하던 시절이리라. 몸이 떠나면 맘도 떠나는 법이요, 그런 까닭에 이와 같은 소식에는 무덤덤하기 마련이라, 부러 귀를 쫑긋하지 아니하면, 그냥 지나치고 만다. 오늘 우연히 다른 내 기사들을 검색하다가 아래 소식이 걸리더라. 이 군산 선제리 유적은 아마도 발굴보고서가 정식 출간되었을 법한데 확인하지는 못했다. 아래 기술에서 주목할 점은 이 검파형통기를 "가운데 마디를 일부러 부러뜨려 위쪽과 아래쪽이 나뉜 채 묻혀 있었다"는 대목이다. 이 역시 죽음을 위한 의식이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이건 아마도 생전에 실제 사용하던 것을 함께 묻어주면서, 그것이 죽음의 영역을 표시하고자 부러 저리한 것임은 말할 나위가 없다. 이른바 훼기毁器가 이리도 중요함에도, 그에 대.. 2020. 9. 30.
마당 엄나무를 포섭한 하수오 대문 한 쪽을 지키는 엄나무가 넝쿨에 덮여 이러다간 내년엔 엄순도 못 먹을 요량이라 걷어내려다가 혹시나 해서 엄마한테 물으니 하수오란다. 옆집에서 줘서 심캈더니 저리 만개했단다. 씨도 받을 모양이라 이러다 김천 온 집이 하수오 천지 되지 않을까 싶다. 저 하수오란 요물은 나는 어린시절엔 몰랐다. 한데 요즘 나는 자연인이다 며 극한직업이니 하는 교양프로들을 보니 약용식물이라 해서 뭔가 대단한 효능을 지니는양 대서특필하곤 하는데 아마 그 바람 타고 마당까지 진출한 모양이다. 이파리는 언뜻 마 같아서 마 아닌가 했지만 글쎄 마가 저런 꽃을 피운 적은 없어 의아했더랬다. 나도 하수오 뿌리 끼리물 날 있을라나? 2020. 9. 30.
코로나팬데믹의 정창원전, 72nd Shōsō-in Exhibition amid corona pandemic 2020 第72回 정창원전正倉院展 the 72nd Annual Exhibition of Shōsō-in Treasures 기간 : 2020. 10. 24(土)~11. 09(月) 장소 : 나라국립박물관奈良国立博物館 동신관東新館·서신관西新館 휴관 : 없음 개관 : 오전 9~오후 6시 ※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그리고 국경일(11. 3)은 저녁 8시까지 연장 운영 ※ 입장은 폐관 60분 전까지 해야 함 ※ 예약 입장 등등은 코로나 특수정국이라 사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함 ◆ Duration Saturday, October 24th–Monday, November 9th, 2020 (Reiwa 2) The museum remains open for the entire length of the exhibition. ◆.. 2020. 9. 30.
엿장수가 신고한 대곡리 청동국보 유물 광주박물관 27일부터 특별전2007.11.26 15:29:03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1971년 12월20일, 당시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유전 학예연구사(65.현 토지박물관장)는 전라남도 문화공보실로 내려가라는 출장 지시를 받는다. 이 출장은 당시 국립박물관 윤무병 고고과장이 문화재연구소에 요청한 것이다. 청동기 유물이 무더기로 신고돼 전남도청 문화공보실에서 보관 중이니 그것을 직접 조사해 보고하라는 것이었다. 현지에 내려간 조 학예사는 유물들을 보고 경악하고 말았다. 청동칼인 동검이 3점에다가 8개 방울을 단 청동 팔주령이 2점, 아령 모양 방울 두 개를 마주 단 청동 쌍두령이 2점이나 됐다. 뿐만 아니었다. 청동 새기개(새김질을 하는 데 쓰는 연장)와 청동도끼 각 1점과 함께 잔무늬거울(다뉴세.. 2020. 9. 30.
사람팔자 뒤웅박, 최광식과 정재숙 촬영일자를 보니 2013. 2. 26일이니, 최광식 선생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그만두기 직전, 그간 기자들한테 고마웠다면서 가까운 기뤠기 몇 명을 불러 마련한 자리로, 기억에는 헌법재판소 인근 어느 식당이었다. 지금은 고려대 총장 출마를 선언했다는 말이 들리거니와, 얼마전에 연락이 와서는 그에다가 날더러 무슨 이름을 올려달라는 말이 있어, 그간 유별난 정분이 있어, 그리 하시라 했다. 이미 고려대를 정년퇴임한 것으로 아는 선생은 이명박 정권 최대 수혜자 중 한 명으로, 그럼에도 그 어떤 내상 하나 입지 않아 천운을 누린 사람이다. 그 정권 출범과 더불어 국립중앙박물관장에 취임한 그는 그것으로 장기집권하다가 문화재청장으로 발탁되고, 다시 그것을 1년도 채우지 못하고는, 이명박 정권을 마무리하는 시점에 대.. 2020. 9. 30.
Geunjeongjeong, Main Hall of the Palace where BTS sang "IDOL" Dressed in the traditional Korean attire of "hanbok," K-pop superstars BTS on Tuesday (Korean time) opened the "BTS Week" special on NBC's "The Tonight Show Starring Jimmy Fallon" with its hit song "IDOL." This is where they sang that song. Geunjeongjeon is the mai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in central Seoul. During the Jeoseon Dynasty period (1392~1910) officials assembled in this hall to wi.. 2020. 9. 29.
연합뉴스가 수습기자를 뽑습니다 '국가기간 뉴스통신사' 연합뉴스 내달 5일부터 수습기자 모집 송고시간2020-09-29 14:00 김영신 기자 16일까지 서류 접수…본사·지방 취재직과 미디어경영직 www.yna.co.kr/view/AKR20200928178200003?section=culture/all'국가기간 뉴스통신사' 연합뉴스 내달 5일부터 수습기자 모집 | 연합뉴스'국가기간 뉴스통신사' 연합뉴스 내달 5일부터 수습기자 모집, 김영신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09-29 14:00)www.yna.co.kr - 입사지원서 접수 10. 5일~16일 오후 4시 - 본사 취재기자직, 지방 취재기자직(대구·경북)이다. 미디어경영직- 학력, 연령, 국적 제한 없음 - 1차 필기시험 10월 8일 서울 서대문구 인창고, 과목은 상식(10.. 2020. 9. 29.
BTS가 달라면 석굴암도 주자 이미자 이래 반세기만에 경복궁 무대 방탄소년단 https://m.youtube.com/watch?feature=youtu.be&v=MXFkjMNXfpY 봉인이 풀렸다. 이 촬영은 9월 8일 저녁 극비 보완에 진행됐으니 장소를 대여한 문화재청에서도 정재숙 청장이 잠깐 인사만 나누고 기념품 하나 전달하는 걸로 마무리했다. 하도 보안을 강조하기에 우리 공장 가요담당 기자들한테도 나는 입을 다물어야 했다. 이리 말하고 보니 내가 뭐 이번 일에 간여한 걸로 비치겠지만 내가 무슨 힘이 있어 그러겠는가? 다만 이런저런 일에 간접 간여하다 보니 사전에 알았을 뿐이요 기왕 그러는 마당에 더 잘 됐으면 싶었을 뿐이다. 나는 돈벌지 못하는 문화재 필요없다는 말 요즘 들어 부쩍부쩍 하거니와 그런 맥락에서 근정전에, 경회루에다 저런 친구들 불러다 쇼라도 하고 싶단 말도 했.. 2020. 9.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