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395

황남대총 앵무조개잔 "황남대총 용도불명 장신구 2점 정체는 앵무조개잔"송고시간 | 2019-12-11 06:00김종우 국립중앙박물관 연구사, '박물관 보존과학'지서 주장"중국에도 3점밖에 없어…신라 교류 양상 보여주는 자료" 鸚鵡杯皇南大塚南墳出土金銅製具鼓裝飾具を分析したところ、鸚鵡杯にわかった...オウムガイ(鸚鵡貝)、その後も貴たこの貝を飾ったカップを新羅人が使用した可能性がある成果だ。 고신라시대 왕릉급 무덤으로, 부부로 생각되는 남녀를 각기 다른 봉분에다가 마치 공중에서 내려다 보면 표주박처럼 생긴 모양으로 거대하게 봉토를 쌓아올려 만든 황남대총 중에서도 남쪽에 위치하는 봉분이라 해서 남분이라고 이름 붙인 데서 나온 수많은 유물 중에 금동제패각장식구金銅製具鼓裝飾具라는 요물이 있다. 글자 그대로 풀면, 주재료는 금동이되, 그에다가 조.. 2019. 12. 11.
식민지시대 유리건판 고화질 3만8천장 무료공개 개시!!! 일제강점기 유리건판 고화질 사진 3만8천여점 공개송고시간 | 2019-12-11 09:51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서 제공 日本植民地時代のガラス乾板高画質写真3万8千点公開送稿時間| 2019-12-11 09:51国立中央博物館、eミュージアムで提供 Over 38,000 high-quality photographs of glass dry plat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Releas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eMuseum http://www.emuseum.go.kr/storySearch?storySeq=1101 국립중앙박물관 식민지시대 유리건판 사진 3만8천장을 고화질로 무료로 제공한다. 출처만 밝히면 상업이용도 가능하다. 내가 누누이 말했지만, 이건.. 2019. 12. 11.
몽둥이 목간과 싸리다발..그 홈은 왜 팠을까? 빗자루 밀대 쓰레받기 기타등등 학교 조폭 영화 단골 주연이라 체육선생과 선도부가 오버랩하고 가끔은 해리 포터가 왔다리 갔다리 한다. 빗자루를 주목해주기 바란다. 경산 소월리유적에서 근자 화랑문화재연구원이 발굴한 신라시대 몽댕이 목간, 그리고 그와 함께 나온 싸리나무 뭉치 다발이다. 싸리다발과 몽댕이가 우연히 각기 다른 목적으로 버려졌다가 우연에 의해 저리 정형성을 갖춘 상태로 발견됐다 보긴 힘들다. 그렇담 뭔가? 저 몽댕이를 싸리빗자루 심으로 재활용하지 않았나 생각해본다. 그것은 발굴정황이 그렇고 덧붙여 이 몽댕이 끄터머리에 홈 흔적이 간접 증명하지 않나 생각해 본다. 저 화면 기준으로 아래쪽 끝에서만 무엇인가에 저 몽댕이를 목매달기 위한 홈이 있다. 나는 애초엔 저 홈이 저 몽둥이 목간을 비름빡이나 천.. 2019. 12. 11.
Tomb of King Jingpyeong / 진평왕릉 Tomb of King Jingpyeong of Silla Dynasty, Gyeongju, Korea Histanic Site No. 180 경주 전傳 진평왕릉 慶州傳眞平王陵사적 제180호 난 계림 대릉원보다 나은 곳으로 본다. This is the tomb of King Jinpyeong , the 26th ruler of the Silla Kingdom. The round earthen mound is 40m in diameter,and 8 m in height. The base mound was reinforced by well-dressed stones. During his reign, King Jinpyeong constructed Namsansinseong Fortress and repair.. 2019. 12. 11.
경주 남산 할매부처 Rock-carved Seated Buddha at Bulgok Valley of Mt. Namsan, Gyeongju Treasure No 198 This seated Buddh image is enshrined in a niche cut out of a natural rock. People in Gyengiu call the Buddha "Halmaebucheo", meaning a granny Buddha. The head is carved in relief and has a large Ushnisha (a protuberance on top of the head symbolizing supreme Wisdom). The face is round and eyes are protruding. Shou.. 2019. 12. 10.
2016. 12. 10 3년전 오늘 2016년 12월 10일 모든 신문 1면은 같은 사건을 취급했다. 대통령 박근혜가 직무정지되었단 소식이었다. 이는 나중에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 는 선언으로 귀결했다. 나는 그 이전에 직무가 정지되고 파면된 상태였다. 2019. 12. 10.
칼질하는 기자들 망년회 부서 망년회다. 언론사 망년회 풍경도 급속하게 변해 폭탄주 돌리는 그런 시대는 일찍 갔다. 칼질 하지 않는 망년회는 부원들이 얼굴도 안비친다. 분위기 나야 하고 육질은 좋아야 한다. 맛도 나야 한다. 품격이 있어야 한다. 삼겹살에 소주? 그리고 양주? 아무도 안온다. 디저트도 이리 생겨야 한다. 우째 먹는지도 몰라야 한다. 물으니 톡 꺼자무라 한다. 이래야 망년회에 사람이 모인다. 2019. 12. 10.
도너츠 바른 설탕 같은 서리 나는 서리가 좋다. 눈 같잖아서 좋다. 밟아도 뽀드득 소리가 나지 아니한다. 사각사각하는 그 느낌이 좋다. 때론 그 소리가 뼈를 깎는 듯해서 께름칙하지 아니한 것도 아니지만 눈만큼 시건방지지 아니해서 좋다. 배추 숨을 죽이는 소금 같아 좋다. 각설탕 바른 듯 해서 좋다. 도너츠에 대롱대롱 달린 설탕 같은 그 느낌이 좋다. 그리 화려치 아니하면서도 은은하달까? 이 정도면 천상 설탕이다. 소금 대신 서리를 덮어보자. 온통한 서리가 좋다. 2019. 12. 10.
심양고궁박물원의 청황실 보물 특별전 주요 출품작 청나라 황제 입은 12가지 문양 '황룡포' 한국 왔다(종합)송고시간 | 2019-12-10 15:18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청 황실의 아침, 심양 고궁' 개막누르하치·홍타이지 칼, 초상화 등 유물 120건 공개 이 기사가 소개한 '청 황실의 아침, 심양 고궁' 특별전이 국립고궁박물관에서 11일 개막해 내년 3월 1일까지 이 박물관에서 열린다. 중국 심양 고궁박물원이 소장한 청 황실 비장품들이다. 주요 소장품을 소개한다. ‘천명’ 연호가 있는 운판 天命年鑄雲板Cloud-shaped Plate with Inscription of “Tianming” 국가 1급 문물 대금大金[후금] 1623년(천명 8)에 만들어진 운판으로 청대 초기에 팔기 관병이 변방을 수호할 때 신호를 전달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생철을 .. 2019. 12. 10.
서각을 푸는 사람들 일전에 내 고향 김천에선 똥을 푸는 일을 '서각을 펀다[혹은 푼다]' 하면서, '서각'이 도대체 무어냐 물었더니 모두가 꿀먹은 벙어리였다. 내 고향에선 뒷간을 가리키는 명사로는 '통시'가 압도적이었으니, 그럼에도 이 통시에서 똥오줌을 퍼 내는 일을 희한하게도 '서각을 펀다'라고 했으니, 이 경우 '펀다' 혹은 '푼다'라는 말이 액체를 바케스 같은 기구를 이용해서 퍼 올리는 일임은 의심할 나위가 없거니와, 통시에서 이 일을 할 때 도구는 딱 두 가지가 필요한데 하나는 '똥장군'이요, 다른 하나나는 '똥바가지'였다. 이 일이 우리 집에서는 말할 것도 없이 선친 몫이었거니와, 이 똥장군 생김새는 다시 말할 나위가 없겠고, 똥바가지로 퍼서 똥장군에 넣은 다음에, 그 주둥이는 대체로 짚풀로 막아서는 그걸 지게에 .. 2019. 12. 10.
눈처럼 내린 서릿발 서울엔 서리도 안내린다. 원주 반죽동 은행 단풍 보러 갈 때니 대략 한달쯤 전이었을라나? 아침 일찍 나서 서울을 벗어나니 온통 서릿발이었다. 어제 아침 외암마을엔 서리가 눈처럼 내렸더라. 2019. 12. 9.
우후죽순하는 발굴성과전, 돌이켜 보면 그 역사 10년이 되지 않는다 December 9, 2013 글이다. 근자 문화재업계를 보면 흐름 혹은 유행 중 하나가 최신 발굴성과전이다. 각 기관이 발굴한 그해, 혹은 최근 몇년 발굴성과를 즉각즉각 특별전 형태로 일반에 공개하는 행사가 이제는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다. 지금 국립경주박물관에서도 경북 지역 근자 발굴성과를 집약한 특별전이 개최 중이다. 근년에 발굴현장을 직접 쏘다니고, 그리고 이런 최신 발굴성과전을 보니, 섣부른 판단이기는 하지만 이제 무슨 유별나고 특출난 새로운 발견을 발굴을 통해 얻을 기회는 급격히 줄어드는 듯하다. 다시 말해 경천동지할 만한 발굴은 급속도록 줄어들어 요새는 복습 형태가 많다. 따라서 이제 한국고고학은 revision의 시대에 접어든 게 아닌가 한다. 기간 발굴성과를 이제는 새로운 각도에서 새롭게.. 2019. 12. 9.
경상도 지역 저수지의 특수성 나는 언제나 한반도는 저주받은 땅이라 한다. 4계절 변화가 뚜렷하다지만, 이게 지랄 맞아 여름은 열라 덮고 겨울을 열라 춥다. 봄 가을은 잠깐이라, 실은 계절은 여름과 겨울 두 가지밖에 없다. 한반도 전체를 통털어 강수량이 그리 많지도 적지도 않은 것으로 안다. 하지만, 이게 참말로 지랄맞아서 올때는 쌔리 붓고 안올 때는 가랭이 쩍쩍 갈라지는 형국이라, 쓸모없는 강수량 천지다. 겨울에 눈이 좀 온다? 겨울철 눈은 강수량에는 전연 도움이 되지 아니하니, 한겨울 눈은 녹아버리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이 증발해 버리고 만다. 강설로 강우에 직접 도움이 되는 경우는 늦겨울, 봄에 내리는 함박눈밖에 없다. 이 중에서도 경상도는 더 지랄 맞으니, 경상도 땅 전체는 분지다. 동쪽으로, 그리고 서쪽으로 북쪽으로 거대한 소.. 2019. 12. 9.
김건모 성폭력 의혹 고소사건의 궁금증들 '김건모에게 성폭행 당해' 주장 여성, 검찰에 고소장 제출송고시간 | 2019-12-09 11:13 이번 사태에 대한 김건모 측 반응에 조금은 의아한 대목이 없지 않다. 강용석과 김세의가 자신들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김건모 성폭행 의혹을 제기하고서, 김건모 측이 보인 정식 대응은 없다. 일부 언론에서 소속사 반응을 따서 "근거 없다"는 식으로 보도하지만, 이렇다 할 공식반응이 아직 없다. 그래서 내심 이 건에 대해 김건모 측은 대중을 향해서는 무대응 방침을 정한 것이 아닌가 하는 관측을 하게 한다. 저런 의혹이 제기되었을 적에, 연합뉴스는 당장은 다룰 사안이 아니라 판단했다 했지만, 변수가 생겼으니, 어제였다. 김건모 측은 아무 반응이 없는데, 그가 출연할 SBS TV 간판 예능 '미운 우리 새.. 2019. 12. 9.
펭수토기, 몽둥이목간, 그리고 싸리다발 정체는? 경산서 6세기 신라인이 쓴 조세 기초문서 목간 나왔다송고시간 | 2019-12-09 09:00사람 얼굴 모양 토기와 함께 출토…74㎝ 길이 나무 육면에 글씨1차로 94자 판독…곡(谷)·답(畓)·제(堤)·결(結)·부(負) 주목 화랑문화재연구원이 조사 중인 경산 소월리유적 저습 구댕이오른쪽 몽둥이가 목간이다. 한데 그와 평행한 저 다발은?싸리다발인데 용도를 아직 모른다. 목간 세부다. 이 목간은 한반도 출토 목간으로는 아주 드물게 육안 판독이 가능할 정도로 글자가 선명하다. 적외선 쐈지만, 적외선이 반드시 필요하다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글자는 선명하다. 이 몽댕이 목간이 싸리다발과 모종의 연관이 있다. 혹 싸리다발로 묶어 세웠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상상도 가능케 한다. 혹 모르겠다. 싸리귀신을 숭상했는지도... 2019. 12. 9.
창녕 교동송현동고분 발굴 창녕 교동송현동고분 63호분을 중심으로 하는 2019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발굴성과를 연합뉴스TV 장문혁씨가 손을 대는 중이다. 그 어중간이며 완제품이 아니지만 일단 공유한다. 2019. 12. 9.
간수와 비지, 그리고 두부 내가 즐겨보는 방송 프로그램 중에 TvN 《나는 자연인이다》가 있는데, 대체로 출연자는 남성이 압도적이고 배경은 가끔 섬이 등장하기도 하나 산촌이 압도적이다. 얼마나 신뢰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갖가지 사연, 대체로 아픔을 안고서는 은거한 사람들 이야기다. 그네들은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험지에서 혼자서 집을 짓고 밭을 일구고 밥과 반찬을 해 먹는데, 하나같이 하는 말이 그 요리가 "어린시절 엄마가 해준 요리"라고 하더라. 이런 말을 들을 때마다, 나 역시 엄마가 해주던 요리를 떠올리곤 하는데, 개중 압도적으로 기억에 강력한 것으로 두부 만들기가 있다. 물론 그렇다 해서 그 두부 만드는 공정이 뚜렷이 남은 것은 아니라서, 지금 당장 나한테 그 재료가 주어진다 해서, 내가 그것을 할 수 있을 정도의 기억력이 .. 2019. 12. 8.
2x9는 부추 둘 부추[韭子] 김우급(金友伋, 1574~1643) ​ 푸른 머리털 이슬비에 젖으니조석으로 잘라도 아직 남았네사람마다 열여덟 반찬 먹으니이 상서를 비웃지는 마시구려 翠髮和煙雨, 昏朝剪更餘. 人皆十八食, 莫笑李尚書 [해설] 제목 ‘구자韭子’는 ‘부추[韭菜]의 씨앗’을 이르지만, 시 내용으로 보면 ‘부추[韭菜]’ 그 자체를 읊은 것이다. 3행의 열여덟 반찬은 부추를 이르는 말이고 4행의 이 상서李尚書는 후위後魏의 명신 이숭李崇(455~525)이다. 이숭은 상서령 의동삼사尚書令儀同三司를 지냈고 부유하기로는 천하를 압도하여 수천 명을 부렸는데도 성품이 대단한 구두쇠여서 너절한 옷을 입고 거친 음식을 먹었는데, 끼니에 언제나 고기도 없이 부추 나물과 부추 절임만을 먹었다. 이숭 문객인 이원우李元祐가 어떤 이에게 “이.. 2019. 12. 8.
LED 평면티비 펭수 부처님 이 부처님 키가 좀 크다. 8척 장신은 아니지만, 내 연배에는 그리 짤딸막하다고도 하기 힘든 나에 견주어 아주 크다. 그래서 혹 장륙존상 숭내내지 아니했나 하는 의심이 든다. 이 부처님 발꼬락이다. 펭귄이다. 남극에서 오신 부처님이다. 이름하여 펭수부처님. 보통 이 자리에는 배례석拜禮石이라 해서, 부처님 예불하는 자들을 위한 모종의 표식이 있어야 하지만, 어이한 셈인지 이 부처님은 앞자리는 그 대신 이런 둥근 홈을 판 넙데데 사닥 돌이 있다. 석등 같은 것을 공군 흔적이 아닌가 한다. 그런가 하면, 이 부처님 전면 오른편 안쪽에는 이런 원반형 석재도 있다. 용도가 뭘까? 부처님 투포환으로 운동하셨나 보다. 저걸 던지며 뻐근한 몸을 푸셨나 보다. 이 부처님 옆, 그리고 뒷모습이다. 이리 납딱하시다. LED.. 2019. 12. 8.
틈만 보이면 난 틈만 보이면 기어 들어감 어디냐고? 그보단 배가 걸림 온양민속박물관 문문총회 기념이었음 물었다. "분명 이리 기어드간 애들 있었지?" "아뇨 부장님이 첨이에요." 그렇담 이번에도 내가 역사를 개척했나 보다. 2019. 12. 7.
가야문화권 조사‧연구와 정비 사업 추진방향 *** 2017년 12월 7일, 문화재청이 발표한 가야문화권 조사연구 방향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가야사 연구복원을 지시하고, 나아가 그것이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핵심과제에 포함되면서, 그 주무부처인 문화재청이 마련해 발표한 것이다. 지금의 가야사 관련 조사연구는 이에 의한 흐름에 위치하며, 국립중앙박물관애 개최 중인 '가야본성' 특별전도 이에 말미암은 것이다. 가야문화권 조사‧연구와 정비 사업 추진방향 등앞으로의 계획을 알려드립니다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가야문화권 조사‧연구와 정비사업’의 세부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이와 관련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한국 고대사 규명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데도 불구하고 신라나 백제에 비해 그동안 가야문화권의 조사‧연구와 유적 정비가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던 .. 2019.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