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7649 인문(仁問) ☞김인문(金仁問) 2018. 3. 19. 흠순(欽純) ☞김흠순(金欽純) 2018. 3. 19. 흠춘(欽春) ☞김흠춘(金欽春) ☞김흠순(金欽純) 2018. 3. 19. 고장왕(高藏王) 고구려 마지막 제28대 왕인 보장왕(寶臧王·재위 642~668)을 다르게 일컫는 이름. 고구려 왕족 성이 高씨이기 때문에 고장왕이라 칭한 것이다. 삼국사기 권제5(신라본기 제5) 선덕왕 : 11년(642) 봄 정월에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토산물을 바쳤다. 가을 7월에 백제 왕 의자(義慈)가 군사를 크게 일으켜 나라 서쪽 40여 성을 쳐서 빼앗았다. 8월에 또 고구려와 함께 모의하여 당항성을 빼앗아 당나라와 통하는 길을 끊으려 하였으므로 왕이 사신을 보내 [당] 태종에게 위급함을 알렸다. 이 달에 백제 장군 윤충(允忠)이 군사를 이끌고 대야성(大耶城)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는데, 도독 이찬 품석(品釋)과 사지(舍知) 죽죽(竹竹)·용석(龍石) 등이 죽었다. 겨울에 왕이 장차 백제를 쳐서 대야성에서의 싸움을 보복.. 2018. 3. 19. 김인문(金仁問) 629~694년. 字는 인수(仁壽)이며, 태종무열왕 김춘추와 문명왕후 사이에서 난 둘째 아들로, 문무왕 김법민의 동생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해 두루 책을 읽었고 글씨를 잘 썼다. 어린시절 당에 보내져 그곳에 눌러앉아 숙위했다. 이런 경력을 발판으로 폭넓은 인망을 활용하고, 중국어에도 능통했을 것이므로, 신라에 의한 일통삼한 전쟁기에는 당과의 외교업무를 전반적으로 관장했다. 당에서 죽어 시신은 신라로 운구해 안장했다. 삼국사기 권 제5(신라본기 제5) 진덕왕 : 5년(651) 봄 정월 초하루에 왕이 조원전(朝元殿)에 나아가 백관으로부터 새해 축하인사를 받았다. 새해를 축하하는 예식(禮式)은 이 때부터 시작되었다. 2월에 품주(稟主)를 집사부(執事部)로 고치고 파진찬 죽지(竹旨)를 집사 중시(執事中侍).. 2018. 3. 19. 노종(奴宗) 금관가야 마지막 구형왕의 세 아들 중 맏이로 세종(世宗)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제4 법흥왕 : 19년(532) 금관국(金官國) 왕 김구해(金仇亥)가 왕비와 세 아들 즉 큰 아들 노종(奴宗), 둘째 아들 무덕(武德), 막내 아들 무력(武力)을 데리고 나라 창고에 있던 보물을 가지고 와서 항복하였다. 왕이 예로써 대접하고 상등(上等)의 벼슬을 주었으며 본국을 식읍(食邑)으로 삼게 하였다. 아들 무력은 벼슬하여 각간(角干)에 이르렀다. ☞세종(世宗) 2018. 3. 19. 세종(世宗) (1) 가야 금관가야 마지막 구형왕 세 아들 중 장남이다. 노종(奴宗)이라고도 한다. 어머니는 분질수이질(分叱水尒叱)의 딸 계화(桂花)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구형왕(仇衡王). 김씨. 정광(正光) 2년 즉위. 치세 42년. 보정(保定) 2년 임오(壬午. 562) 9월에 신라 제24대 진흥왕(眞興王)이 군사를 일으켜 쳐들어오니 왕은 친히 군사를 지휘했다. 그러나 적병의 수는 많고 이쪽은 적어서 대전(對戰)할 수가 없었다. 이에 동기(同氣) 탈지이질금(脫知尒叱今)을 보내서 본국에 머물러 있게 하고, 왕자와 장손(長孫) 졸지공(卒支公) 등은 항복하여 신라에 들어갔다. 왕비는 분질수이질(分叱水尒叱)의 딸 계화(桂花)로, 세 아들을 낳으니, 첫째는 세종(世宗) 각간(角干), 둘째는 무도(.. 2018. 3. 19. 분질수이질(分叱水尒叱) 금관가야 마지막 구형왕의 비인 계화(桂花)의 아버지라는 점 말고는 알려진 바가 없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구형왕(仇衡王). 김씨. 정광(正光) 2년 즉위. 치세 42년. 보정(保定) 2년 임오(壬午. 562) 9월에 신라 제24대 진흥왕(眞興王)이 군사를 일으켜 쳐들어오니 왕은 친히 군사를 지휘했다. 그러나 적병의 수는 많고 이쪽은 적어서 대전(對戰)할 수가 없었다. 이에 동기(同氣) 탈지이질금(脫知尒叱今)을 보내서 본국에 머물러 있게 하고, 왕자와 장손(長孫) 졸지공(卒支公) 등은 항복하여 신라에 들어갔다. 왕비는 분질수이질(分叱水尒叱)의 딸 계화(桂花)로, 세 아들을 낳으니, 첫째는 세종(世宗) 각간(角干), 둘째는 무도(茂刀) 각간, 셋째는 무득(茂得) 각간이다.. 2018. 3. 19. 졸지(卒支) 삼국유사가 인용한 가락국기에 의하면, 금관가야 마지막 구형왕 장손으로, 그가 신라에 나라를 들어 항복할 때 신라로 따라갔다. 세종 각간이 구형왕 장남이라 하므로, 그의 아들일 것이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구형왕(仇衡王). 김씨. 정광(正光) 2년 즉위. 치세 42년. 보정(保定) 2년 임오(壬午. 562) 9월에 신라 제24대 진흥왕(眞興王)이 군사를 일으켜 쳐들어오니 왕은 친히 군사를 지휘했다. 그러나 적병의 수는 많고 이쪽은 적어서 대전(對戰)할 수가 없었다. 이에 동기(同氣) 탈지이질금(脫知尒叱今)을 보내서 본국에 머물러 있게 하고, 왕자와 장손(長孫) 졸지공(卒支公) 등은 항복하여 신라에 들어갔다. 왕비는 분질수이질(分叱水尒叱)의 딸 계화(桂花)로, 세 아들을.. 2018. 3. 19. 탈지이질금(脫知尒叱今) 금관가야 마지막 왕인 김구형 남동생으로, 그가 신라에 항복하려 들어갈 때 본국에 남아 지킨 행적만 확인한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구형왕(仇衡王). 김씨. 정광(正光) 2년 즉위. 치세 42년. 보정(保定) 2년 임오(壬午. 562) 9월에 신라 제24대 진흥왕(眞興王)이 군사를 일으켜 쳐들어오니 왕은 친히 군사를 지휘했다. 그러나 적병의 수는 많고 이쪽은 적어 대전(對戰)할 수가 없었다. 이에 동기(同氣) 탈지이질금(脫知尒叱今)을 보내서 본국에 머물러 있게 하고, 왕자와 장손(長孫) 졸지공(卒支公) 등은 항복하여 신라에 들어갔다. 왕비는 분질수이질(分叱水尒叱)의 딸 계화(桂花)로, 세 아들을 낳으니, 첫째는 세종(世宗) 각간(角干), 둘째는 무도(茂刀) 각간, 셋째는.. 2018. 3. 19. 度蘿摩 vs. 史, 견훤의 죽음 기억에만 의존하니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혜랑하고 들어주기 바란다. 《태조 왕건》이란 사극에서 최수종이 왕건, 김영철이 궁예, 서인석이 견훤으로 분했다. 아들 신검한테 쫓겨나 금산사에 유폐된 견훤은 결국 필생의 라이벌 왕건에게 기탁한다. 견훤은 자신이 키운 후백제 철기군(?)이 마지막 전투에서 허무하게 왕건 군대에 패몰(敗沒)하는 장면을 보고는 울화통이 터져 죽는 것으로 도라마가 설정했다고 기억한다. 한데 실제의 史, 예컨대 《삼국사기》 견훤 열전이나 《고려사》 왕건 세가를 보면 견훤은 다른 원인으로 울화통이 터져 죽었다. 그에 이르기를 왕건이 최후 전투에서 후백제왕 신검을 사로잡아 그 처벌을 논할 적에 견훤은 자신을 내쫓고 왕이 된 아들 신검을 죽이라고 강력히 요청했지만 왕건이 그를 살려주자 그에 분통.. 2018. 3. 19. 설민석 현상 말이 많은 친구는 설화를 피해갈 수 없다. 더구나 언제나 대중에 노출되는 저명 강사야 오죽하겠는가?나는 지명도에서 저와 비교가 될 수 없지만 혹여 내가 저 정도로 유명해진다면 저보다 더한 일 겪을 것이다.그만큼 나는 문제의 소지가 많은 말을 뇌까려 놓았다. 각설하고 나는 설민석을 새로운 시대의 인문학 열풍을 일으킨 현상으로써 줄곧 주시했다. 학원강사의 강의를 인문학 영역에 포함해야 하느냐는 논란은 논외로 친다. 그는 분명 이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유형의 강연 열풍을 일으켰다. 그는 그것을 축제로 만들 줄 알았다. 나는 지나가며 몇번 그의 강연을 봤지만 내용과 더불어 그의 액션을 봤다. 내용..이건 처참하기 짝이 없다. 그런 점에선 난 늘 사석에서 저 친구는 이제 침잠할 때라는 말을 하곤 했다. 그는 역.. 2018. 3. 19. 포대화상의 시대 실명을 적시하기 곤란한 전남 지역 한 사찰에 철퍼덕 걸터앉은 포대화상이다. 그가 주는 익살성 때문인지, 아니면 현전하는 그에 행적이 현대사회에 맞은 매력성이 있기 때문인지 국내 사찰마다 이런 포대화상 하나 안치하지 않은 사찰이 없다시피 하다.그에 관한 증언들을 종합하면 포대는 당말~송초 교체기 중간에 낀 오대 시대를 살다간 중국 불교승려다. 생김새는 저 조각과 같이 묘사되지만, 실은 저리 웃는 모습과는 조금 거리가 멀어 우락부락했다고 하거니와, 저 몸매를 유지하고자, 혹은 저 몸매가 되기까지 게걸스레 걸리는대로 남들한테 얻어먹으나, 반면 베풀기를 잘 했다 하니, 특히 어린이들한테 잘 했다 한다. 생김새만 보면 일본 스모선수 혹은 과거 씨름판에서 익살성으로 이름을 날린 박광덕과 흡사하다. 활동 시기가 저러.. 2018. 3. 18. Rooftiles Abandoned roofiles, which might be reused someday 2018. 3. 17. spring Spring has come along with Japanese apricot flowers at Jangseong, Cheollanamdo Province. 2018. 3. 17. "우리 아버지 시 좀 넣어주라" 문집 로비 미암 유희춘 미암선생 일기와 미암집 목판, 출처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탈 《동문선(東文選)》이며 《속동문선(續東文選)》처럼 국가 주도, 혹은 심지어 개인이 편찬을 주도한 시문집은 로비의 산물이다. 말할 것도 없이 어떻게든 자기 조상 시를 많이 집어 넣으려 한다. 《속동문선》 증보판이 준비될 무렵, 미암 유희춘이 한 일이 이렇다. 그의 방대한 《미암일기(眉巖日記)》 제16권 선조 2년(1569) 윤6월 3일자에 보이는 내용이다. 박 직장(朴直長˙ 박개)이 찾아왔는데, 나는 선친이 지은 〈항우소시(項羽小詩)〉를 베껴 (그에게) 보여 주었다. 그 시는 다음과 같다.장군이 칼 들고 강동에서 일어나 / 將軍提劍起江東천하를 싸잡아 손아귀에 넣었네 / 囊括乾坤掌握中영포를 강중 밀사로 삼지 않았다면 / 不將英布江中使어찌 팔년 보람.. 2018. 3. 16. 숙(淑) 금관가야 9대 겸지왕의 비로 아버지는 각간 출중(出忠)이며, 구형왕 어머니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겸지왕(鉗知王). 김겸왕(金鉗王)이라고도 함. 영명(永明) 10년에 즉위. 치세 30년. 정광(正光) 2년 신축(辛丑. 521) 4월7일에 죽음. 왕비는 출충(出忠) 각간의 딸 숙(淑). 왕자 구형(仇衡)을 낳음. 2018. 3. 16. 출충(出忠) 금관가야 제9대 겸지왕의 부인 숙(淑)의 아버지다. 금관가야 마지막 왕 구형을 낳았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겸지왕(鉗知王). 김겸왕(金鉗王)이라고도 함. 영명(永明) 10년에 즉위. 치세 30년. 정광(正光) 2년 신축(辛丑. 521) 4월7일에 죽음. 왕비는 출충(出忠) 각간의 딸 숙(淑). 왕자 구형(仇衡)을 낳음. 2018. 3. 16. 방원(邦媛) 금관가야 8대 좌지왕 왕비로 사간(沙干) 김상(金相)의 딸이다. 9대 임금 겸지왕 어머니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9대 겸지왕(鉗知王)은 아버지가 질지왕(銍知王)이며 어머니는 방원(邦媛)이다. 임신년에 즉위해 29년을 다스렸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질지왕(銍知王). 김질왕(金銍王)이라고도 함. 원가(元嘉) 28년에 즉위. 이듬해 시조(始祖)와 허황옥 왕후(許黃玉王后)의 명복(冥福)을 빌기 위해 처음 시조(始祖)와 만났던 자리에 절을 지어 왕후사(王后寺)라 하고 밭 10결(結)을 바쳐 비용에 쓰게 함. 치세는 42년. 영명(永明) 10년 임신(壬申; 492) 10월 4일에 죽음. 왕비는 김상(金相) 사간(沙干)의 딸 방원(邦媛). 왕자 겸지(鉗知)를 낳음. 2018. 3. 16. 김상(金相) 금관가야 제8대 좌지왕(재위 451~492년) 왕비 방원(邦媛)의 아버지다. 관위는 사간(沙干)인데, 신라인인지 금관가야인지는 알 수 없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질지왕(銍知王). 김질왕(金銍王)이라고도 함. 원가(元嘉) 28년에 즉위. 이듬해 시조(始祖)와 허황옥 왕후(許黃玉王后)의 명복(冥福)을 빌기 위해 처음 시조(始祖)와 만났던 자리에 절을 지어 왕후사(王后寺)라 하고 밭 10결(結)을 바쳐 비용에 쓰게 함. 치세는 42년. 영명(永明) 10년 임신(壬申; 492) 10월 4일에 죽음. 왕비는 김상(金相) 사간(沙干)의 딸 방원(邦媛). 왕자 겸지(鉗知)를 낳음. 2018. 3. 16. 김질왕(金銍王) 금관가야 8대 질지왕의 다른 이름. 金은 성으로 보인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수로왕(首露王)의 8대손 김질왕(金銍王)은 정치에 부지런하고 또 참된 일을 매우 숭상하여 시조모(始祖母) 허황후(許皇后)를 위해서 그의 명복(冥福)을 빌고자 했다. 이에 원가(元嘉) 29년 임진(壬辰; 452)에 수로왕과 허황후가 혼인하던 곳에 절을 세워 절 이름을 왕후사(王后寺)라 하고 사자(使者)를 보내어 절 근처에 있는 평전(平田) 10결(結)을 측량해서 삼보(三寶)를 공양하는 비용으로 쓰게 했다.이 절이 생긴 지 500년 후에 장유사(長遊寺)를 세웠는데, 이 절에 바친 밭이 도합 300결(結)이나 되었다. 이에 장유사의 삼강(三綱)이, 왕후사(王后寺)가 장유사의 밭 동남쪽 지역 안에 .. 2018. 3. 16. 이전 1 ··· 787 788 789 790 791 792 793 ··· 84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