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067

을지문덕(乙支文德) 고구려 영양왕 23년(612), 고구려를 침략한 수나라 백만 대군을 살수에서 몰살함으로써 대승을 이끈 고구려 대신이다. 기타 그의 가문 내력과 행적을 알 수는 없다. 삼국사기 권 제44(열전 제4) 을지문덕 열전 : 을지문덕(乙支文德)은 그의 선대의 계보를 알 수 없다. 자질이 침착하고 날쌔며 지략과 술수가 뛰어났고, 겸하여 글을 알고 지을 수 있었다. 수나라 개황(開皇) 연간에 양제(煬帝)가 조서를 내려 고구려를 치게 하였다. 이에 좌익위(左翊衛) 대장군 우문술(宇文述)은 부여도(扶餘道)로 나오고, 우익위(右翊衛) 대장군 우중문(于仲文)은 낙랑도(樂浪道)로 나와서 아홉 개의 군부대와 함께 압록강에 이르렀다. [을지]문덕(文德)이 왕명을 받아 그 진영에 나가 거짓 항복하니, 사실은 그 허실을 엿보기 위함.. 2018. 3. 13.
요극일(姚克一) 신라말을 대표하는 서예가. 생몰년은 알 수가 없다. 대안사 적인선사 탑비문(大安寺寂忍禪師塔碑文)과 황룡사 구층목탑 찰주본기(皇龍寺九層木塔刹柱本記), 삼랑사비문(三郎寺碑文)이 현재까지 확인되는 그의 글씨다. 신라 경문왕 12년(872) 8월 14일에 세운 곡성 적인선사 탑비문을 보면 관직이 중사인(中舍人)이고, 그해 11월 25일에 쓴 황룡사 목탑 찰주본기에는 관직이 숭문대랑 겸 춘궁 중사성신(崇文臺郎兼春宮中事省臣)이다. 삼랑사비문은 박거물(朴居勿)이 글을 썼다. 삼국사기 권 제48(열전 제8) : 요극일(姚克一)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벼슬이 시중겸 시서학사(侍書學士)에 이르렀는데 글씨에 힘[筆力]이 있었고 구양(歐陽)의 솔경법(率更法)을 터득했다. 비록 글씨는 김생에 미치지 못했지만 또한 뛰어난 솜씨였다... 2018. 3. 13.
영양왕(嬰陽王) 고구려 제26대 왕으로 재위는 590~618. 평양왕(平陽王) 혹은 대흥왕(大興王)이라고도 했다. 이름은 원(元) 또는 대원(大元)이며 평원왕 맏아들이다. 수 문제와 수 양제가 각각 30만 대군과 113만 대군으로 고구려를 침공하자 을지문덕을 시켜 살수에서 물리쳤다. 삼국사기 권 제20 고구려본기 제8 영양왕 : 영양왕(嬰陽王) 은 이름이 원(元)이고 평원왕 맏아들이다. 풍채가 뛰어났다. 세상을 잘 다스려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을 자신의 일로 여겼다. 평원왕이 재위 7년에 태자로 삼았고, 32년에 왕이 훙하자 태자가 즉위했다. 수나라 문제가 사신을 보내 왕을 상개부 의동삼사(上開府儀同三司)로 삼고, 요동군공의 작위를 이어받게 하였으며, 의복 한 벌을 주었다. 2년(591) 봄 정월에 사신을 수나라에 보.. 2018. 3. 13.
[인명사전] 원효元曉 신라 중대 고승으로 담날의 아들이고 설총의 아버지삼국사기 권 제46(열전 제6) 설총 열전 : 설총薛聰은 자가 총지聰智이고 할아버지는 나마 담날談捺이며 아버지는 원효元曉인데, 처음에 승려가 되어 불경을 두루 통달하고 얼마 후에 환속하여 스스로 소성거사小性居士라 했..(중략)..세상에 전하기는 일본국 진인眞人이 신라 사신 설薛 판관判官에게 준 시의 서문에 『일찍이 원효거사가 지은 금강삼매론金剛三昧論을 읽고 그 사람을 보지 못한 것을 깊이 한탄하였는데, 신라국 사신 설씨가 거사의 손자라는 것을 듣고, 비록 그 할아버지를 보지는 못하였어도 그 손자를 만나니 기뻐서 이에 시를 지어 드린다.』고 했다.삼국유사 권 제1 기이 1 태종무열왕 : 에는 이렇게 말했다. “총장總章 원년 무진(戊辰; 668, 총장總章 무진.. 2018. 3. 13.
광겸(光謙) 신라 미추니사금 20년(281) 일길찬으로 승진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20년(281) 봄 정월에 홍권(弘權)을 이찬으로 삼고 량질(良質)을 일길찬으로 삼았으며, 광겸(光謙)을 사찬으로 삼았다. 2018. 3. 13.
량질(良質) 신라 미추니사금 때 일길찬으로 승진했으며, 동왕 22년에 벌어진 괴곡성 전투에서 백제군과 맞섰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20년(281) 봄 정월에 홍권(弘權)을 이찬으로 삼고 량질(良質)을 일길찬으로 삼았으며, 광겸(光謙)을 사찬으로 삼았다. 22년(283)…겨울 10월에 괴곡성을 에워쌌으므로 일길찬 량질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막게 하였다. 2018. 3. 13.
양질(良質) ☞량질(良質) 2018. 3. 13.
홍권(弘權) 신라 미추왕 때 이찬으로 승진했다가 유례니사금 때 서불한이 되어 국정을 총괄했으며 이때 왜국 정벌을 하자는 왕을 간언해서 그 계획을 멈추도록 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20년(281) 봄 정월에 홍권(弘權)을 이찬으로 삼고 량질(良質)을 일길찬으로 삼았으며, 광겸(光謙)을 사찬으로 삼았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유례니사금 : 2년(285)…2월에 이찬 홍권(弘權)을 서불한으로 삼아 정치의 중요한 일을 맡겼다. 12년(295) 봄에 왕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왜인이 자주 우리의 성읍(城邑)을 침범하여 백성들이 편안하게 살 수가 없다. 나는 백제와 꾀하여 일시에 바다를 건너 그 나라에 들어가 공격하고자 하는데 어떠한가?" 서불한 홍권(弘權)이 대답했다. "우리나라 사.. 2018. 3. 13.
정원(正源) 신라 미추니사금 17년(278) 백제와의 괴곡성 전투에 파진찬이자 사령관으로 출전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17년(278)… 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와서 괴곡성(槐谷城)을 에워쌌으므로 파진찬 정원(正源)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막게 하였다. 2018. 3. 13.
직선(直宣) 신라 미추니사금 5년(266)에 벌어진 백제와의 봉산성 전투에서 승리한 성주로 그 공으로 일길찬으로 승진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5년(266) 가을 8월에 백제가 봉산성(烽山城)을 공격해 왔다. 성주 직선(直宣)이 장사 200명을 이끌고 나가 그들을 공격하니 적들이 패하여 달아났다. 왕이 그것을 듣고서 직선(直宣)을 일길찬으로 삼고 사졸들에게 상을 후하게 주었다. 2018. 3. 13.
욱보(郁甫) 신라김씨(경주김씨) 시조 알지의 4대손으로 미추니사금 아버지인 구도갈문왕 아버지다. 삼국유사에서는 '욱부(郁部)'로 표기되지만 같은 발음에 대한 다른 표기일 것이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미추니사금(味鄒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김씨이다. 어머니는 박씨로 갈문왕 이칠(伊柒)의 딸이고, 왕비는 석씨 광명부인(光明夫人)으로 조분왕 딸이다. 그의 선조 알지(閼智)는 계림에서 났는데 탈해왕이 데려다가 궁중에서 키워 후에 대보(大輔)로 삼았다. 알지는 세한(勢漢)을 낳고 세한은 아도(阿道)를 낳았으며,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보(郁甫)를 낳았다. 그리고 욱보는 구도(仇道)를 낳았는데 구도는 곧 미추왕의 아버지이다. 첨해는 아들이 없었으므로 나라 사람들이 미추를 왕으로 .. 2018. 3. 13.
수류(首留) 신라김씨(경주김씨) 시조 알지의 증손으로 욱보의 아버지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미추니사금(味鄒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김씨이다. 어머니는 박씨로 갈문왕 이칠(伊柒)의 딸이고, 왕비는 석씨 광명부인(光明夫人)으로 조분왕 딸이다. 그의 선조 알지(閼智)는 계림에서 났는데 탈해왕이 데려다가 궁중에서 키워 후에 대보(大輔)로 삼았다. 알지는 세한(勢漢)을 낳고 세한은 아도(阿道)를 낳았으며,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보(郁甫)를 낳았다. 그리고 욱보는 구도(仇道)를 낳았는데 구도는 곧 미추왕의 아버지이다. 첨해는 아들이 없었으므로 나라 사람들이 미추를 왕으로 세웠다. 이것이 김씨가 나라를 갖게 된 시초이다.삼국유사 권 제1 기이 제1 김알지(金閼智) : 알지는 열한.. 2018. 3. 13.
세한(勢漢) 신라김씨(경주김씨) 시조 알지의 아들로 아도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알지가 탈해왕 때 사람이므로, 세한은 그 직후 생존했을 것이다. 삼국유사에는 '열한(熱漢)'이라 등장하는데 글자 모양이 비슷한 데 따른 어느 한 쪽의 오류인 성 싶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미추니사금(味鄒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김씨이다. 어머니는 박씨로 갈문왕 이칠(伊柒)의 딸이고, 왕비는 석씨 광명부인(光明夫人)으로 조분왕 딸이다. 그의 선조 알지(閼智)는 계림에서 났는데 탈해왕이 데려다가 궁중에서 키워 후에 대보(大輔)로 삼았다. 알지는 세한(勢漢)을 낳고 세한은 아도(阿道)를 낳았으며,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보(郁甫)를 낳았다. 그리고 욱보는 구도(仇道)를 낳았는데 구도는 곧 미추왕의.. 2018. 3. 13.
극종(克宗) 첨해니사금 15년에 쌓은 달벌성 초대 성주.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첨해니사금 : 15년(261) 봄 2월에 달벌성(達伐城)을 쌓고 나마(奈麻) 극종(克宗)을 성주로 삼았다. 2018. 3. 13.
익종(翊宗) 첨해니사금 9년(255) 벌어진 백제와의 괴곡 전투에서 사망한 신라 일벌찬.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첨해니사금 : 9년(255) 가을 9월에 백제가 침입해 왔으므로 일벌찬 익종(翊宗)이 괴곡(槐谷)의 서쪽에서 맞아 싸우다가 적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2018. 3. 13.
부도(夫道) 신라 첨해니사금 때 한기부 사람으로 글씨를 잘 쓰고 셈을 잘한다 해서 물장고를 맡았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첨해니사금 : 5년(251) 봄 정월에 처음으로 남당에서 정무를 보았다. 한기부 사람 부도(夫道)는 집안이 가난하였으나 아첨하는 일이 없고 글씨와 셈을 잘하여 당시 이름이 나 있었으므로, 왕이 그를 불러 아찬으로 삼고 물장고(物藏庫) 사무를 맡겼다. 2018. 3. 13.
량부(良夫) 첨해니사금 때 이찬이 되었다가 미추니사금 때 서불한이 되어 중앙과 지방 군사 일을 관장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첨해니사금 : 3년(249) ...가을 7월에 궁궐의 남쪽에 남당(南堂)을 짓고 량부(良夫)를 이찬으로 삼았다.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2년(263) 봄 정월에 이찬 양부(良夫)를 서불한으로 삼고 중앙과 지방의 군사 일을 겸하여 맡게 하였다. 2018. 3. 13.
양부(良夫) ☞량부(良夫) 2018. 3. 13.
장훤(長萱) 첨해니사금 때 이찬으로서 서불한이 되어 국정을 관장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첨해니사금 : 2년(248) 봄 정월에 이찬 장훤(長萱)을 서불한으로 삼아 나라의 정치에 참여시켰다. 2018. 3. 13.
부여경사(夫餘慶司) 백제 제21대 개로왕 이름이다. 백제 왕실은 부여에서 나왔다 해서 부여(夫餘)를 성으로 썼으므로, 풀네임은 부여경사다. 삼국사기 권제25(백제본기 제3) 개로왕 즉위년 : 개로왕(蓋鹵王)은 이름이 경사(慶司)이고 비유왕(毗有王) 맏아들이다. 비유왕이 재위 29년에 죽자 왕위를 이었다.☞개로왕(蓋鹵王) 2018. 3. 13.
경사(慶司) ☞부여경사(夫餘慶司) ☞개로왕(蓋鹵王) 2018.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