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서(유서·類書), 분류식 백과사전
'유서'란 글자 그대로는 분류식 책이라는 뜻인데, 간단히 말해 분류식 백과사전이다. 우리한테 익숙한 백과사전은 대개 가나다 혹은 ABC 순서로 표제어를 배열하고, 해당 항목마다 그 개념을 설명하는 식으로 구성하지만, 이 유서(類書)라고 하는 백과사전은 동아시아에서 태동해 발전한 것으로, 주제 혹은 키워드별로 분류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 까닭에 類書는 해당 분류식 개념어를 적출하고는, 그 개념을 설명하거나, 그것을 주요한 소재로 활용한 先代 문헌에서 관련 구절을 그대로, 혹은 요약해서 배열하는데, 당나라시대에 나온 이런 종류로 대표적인 4가지로 《북당서초》와 《예문유취》와 《초학기》와 《백씨육첩》이 있으며, 이런 사업이 후대로 올수록 더욱 극성을 부려 특히 북송시대에는 《태평광기》라든가 《태평어람太平御覽..
2018. 3. 11.
《續資治通鑑長編속자치통감장편》980卷, 南宋 李燾(1115?~1184) 撰
전문검색은 다음으로 들어가라 http://cls.admin.yzu.edu.tw/Tong/search_main.htm 도합 980卷이며 南宋 이도(李燾, 1115~1184) 撰이다. 宋 太祖 조광윤(趙匡胤) 건륭(建隆. 960)에서 시작해 宋 欽宗 趙桓 靖康(1127年)에 이르기까지 北宋 九朝 168年 역사다. 李燾는 正史와 實錄과 政書에서 채록하고 “旁採異聞, 補實錄, 正史之闕略;參求眞是, 破巧說․僞辨之紛紜”하여 體例는 司馬光 《資治通鑒》을 모방하니 근본을 “寧失於繁, 無失於略”하는 原則에 두었으니 記載에 不同한 곳이 있으며 兩存 是說했다. 周密의 《계신잡지(癸辛雜識)》에 의거할 때 李燾는 재료 수집 시에 “作木廚十枚, 每廚作抽替匣二十枚, 每替以甲子誌之. 凡本年之事, 有所聞, 必歸此匣, 分月日先後次第之,..
2018. 3. 9.
《주례(周禮)》
註 : 내가 늘상 하는 말이지만, 동아시아 문명의 그랜드디자이너는 바로 이 주례(周禮)란 괴물이다. 한우충동(汗牛充棟)한 그 많은 문헌 중에서도 오직 주례만이 국가를 어떻게 조직하고 운영해야 하는지를 법제화했기 때문이다. 함에도 어찌 주례를 이리도 무시하는가? 舊唐書 經籍志:“賈公彦義疏五十卷.”(新唐書同) 四庫全書總目:“今本四十二卷, 不知何人所改.” 賈公彦, 永年人. 唐高宗永徽中, 官太學博士, 著有周禮義疏․儀禮義疏(見舊唐書卷189儒學傳). 義疏乃本鄭玄注爲之, 以鄭注在唐時立於國學也. 淸孫詒讓周禮正義八十六卷. 按周禮一書, 漢書 藝文志云:“周官經六篇.” 原注:“王莽時, 劉歆置博士.” 漢書景十三王傳河間獻王:“修學好古, …所得書, 皆古文先秦舊書, 周官…之屬.” 賈氏周禮興廢引馬融傳(按:謂馬融周官傳, 見後漢書儒林傳董..
2018.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