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691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 新撰姓氏録) 신센쇼지로쿠 or Shinsen Shōjiroku(しんせんしょうじろく) 2011.06.10 06:14:21 台植注 : 아래는 위키피디아 한.중.일 3개 국어판을 재편집했다. 한글판은 보아하니 일본어판을 축자 번역한 것이다. 추후 보강을 기약한다.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 新撰姓氏録) 신센쇼지로쿠 or Shinsen Shōjiroku(しんせんしょうじろく) 고대 일본 헤이안(平安)시대 초기인 홍인(弘仁) 6年(815)에 사가천황(嵯峨天皇. 차아천황) 명으로 편찬된 일본 고대 씨족 일람서다. 제목은 새로 편찬한 성씨에 대한 기록이라는 뜻이다. - Shinsenshōjiroku, ‘New Selection and Record of Hereditary Titles and Family Names’ is an imperially commissioned Japanese genealogica.. 2018. 3. 8.
서경보(徐耕輔. 1771~1839) 2011.06.14 15:55:51 台植注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 항목 문장 기술을 약간 손질해 재가공했다. 문장이 맘에 들지 않아 바꿔봤다. 더불어 내가 생뚱맞게 이 서경보를 다룬 까닭은 오늘자 기사에서 그의 중국 시선집 옥생관시수(玉笙館詩粹)를 다루게 됐기 때문이다. 서경보(徐耕輔. 1771~1839)1771년(영조 47)∼1839년(헌종 5). 조선 후기 문신. 자는 임세(任世), 호는 묘옹(卯翁). 본관은 대구(大丘)다.문헌공 서종태(徐宗泰) 현손이자 대제학 서유신(徐有臣) 아들이다. 이조판서 서영보(徐榮輔)는 그의 형이다. 어려서 서유로(徐有老)의 양자로 들어갔다. 음보(蔭補)로 기용돼 순창과 예천군수를 지내다가 1825년(순조 25)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이듬해 대사성에 제수됐다. .. 2018. 3. 8.
재불 서지학자 박병선 박사 공적 2011.11.23 14:20:55 台植注 : 以下者 大韓民國 文化體育觀光部之2011年11月23日報道資料添附物也. 박병선 박사 공적 □ 프랑스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던 직지심체요절과 외규장각의궤를 최초로 발견하여 세상에 알리는 데에 결정적인 공헌 ㅇ 박병선 박사는 우리나라 여성유학비자 1호로 프랑스로 유학하여 역사학 박사(프랑스 파리제7대) 취득 및 1967~1980년까지 프랑스 국립도서관 직원으로 근무하면서 동서관에 보관되어 있던 「직지심체요절」과 외규장각 의궤 297권을 최초로 발견하여 외규장각 의궤의 존재를 처음으로 세상에 알리게 됨. ㅇ 프랑스 국립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직지심체요절」이 우리 문화재임을 발견하고, 직지심체요절이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임도 직접 실험을 통해 밝혀냄으로써 우.. 2018. 3. 8.
호극가(胡克家)와 《문선고이(文選考異)》 《문선고이(文選考異)》는 도합 10卷이며 清代 胡克家가 昭明太子 蕭統의 《文選》과 그 注疏를 考證한 책이다. 宋 淳熙 年間에 尤袤이 刻한 李善注 本을 底本으로 삼고, 나아가 宋代 吳郡 袁氏․茶陵 陳氏가 刻한 六臣本을 근거로 異同을 校刊했다. 清代 《文選》의 校勘과 考訂에서 이 《考異》는 梁章钜의 《문선방증文選旁證》과 더불어 비교적 독특한 색채를 띤다. 전태길(錢泰吉)이 《폭서잡기(曝書雜記)》에서 이르기를 胡克家가 “嘉慶 十四年(1809)에 《文選》을 판각하니, 《考異》 10권이 있어 元和 顧君 廣圻․鎮洋 彭君 兆蓀 所撰이다. 두 분은 모두 校勘이 정밀하고, 변석(辨晰)한 바가 자못 상세하다. 근거로 삼은 바는 淳熙 辛醜 尤延이 貴池에서 판각한 本이지만 吳郡 袁氏가 翻雕한 六臣本․茶陵 陳氏가 刻하여 增補한.. 2018. 3. 8.
사이토 타다시(Saito Tadashi. 斎藤忠<齋藤忠> 재등충. さいとう ただし) 다음은 위키피디아를 근거로 해서 김태식이 약간을 덧보태어 재편집했으며, 나아가 그와 관련해 내가 기존에 작성한 기사 몇 건을 첨부한다. 마지막 첨부기사는 내가 문화재 담당기자였을 적에 후배기자를 통해 쓰게 하고, 내가 데스킹한 것이다. 1908年 8月 28日生인 日本 考古学者다.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 의하면 '사이토 다다시'다. 大正大学 名誉教授이며 財団法人 飛鳥保存財団 理事이기도 하다. 文学博士. 宮城県 仙台市가 태생지다. 1932年, 東京大学 文学部 国史学科를 卒業했다. 文化財保護委員会 主任調査官과 東京大学 教授, 大正大学 教授, 財団法人 静岡県埋蔵文化財調査研究所長 등을 歷任했다. 2013년 현재 그의 타계 소식은 아직 없으므로, 지금 105세의 장수를 누린다. 그는 얼마 전에 역시 100세를 넘어 .. 2018. 3. 8.
찰스 랭 프리어 Charles Lang Freer (1854~1919) 근대기 미국 미술품 수집가이면서 미국 워싱턴 D.C. 소재 스미스소니언박물관 Smithsonian American Art Museum 프리어갤러리 The Freer Gallery of Art 창립자다. 1854년 뉴욕주 킹스턴 Kingston에서 태어난 그는 14살에 학교를 떠나 시멘트 공장에 취직했다. 그러다가 철도회사에 회계원으로 들어갔다. 26살 때인 1880년 디트로이트에 정착한 그는 그곳에서 철도 차량 제작업체를 운영하면서 막대한 부를 모았다. 20세기 벽두가 되면서 사업에서 은퇴한 뒤에는 여생을 아시아 미술과 미학운동 The Aesthetic Movement의 미국 미술품 수집에 열을 투신했다. 그의 포부를 그 자신은 “다양한 시기에 제작되어, 여러 양상으로 서로 조화롭게 연계된 미술품을 한데.. 2018. 3. 8.
이토 추타(이동충태. 伊東忠太. いとうちゅうた. 1867~1954) 1867.11.21(慶応3. 10. 26)에 태어나 1954年(昭和 29). 4. 7에 몰하다. 明治~昭和期 建築家이자 建築史家. 야마가타현(山形県) 요네자와시(米沢市) 출신. 호는 홍운(紅雲)이며 位階・勲等・学位・称号는 正三位・勲二等瑞宝章・工学博士・東京帝国大学 名誉教授・米沢市 名誉市民 第1号다. 동경제국대학을 거쳐 早稲田大学 教授를 역임했다. 官僚・政治家인 히라타 도우스케(平田東助. 1849~1925)가 숙부다. 어린 시절을 東京과 사쿠라(佐倉)에서 보냈다. 帝国大学 工科大学(현재의 東京大学 工学部)를 졸업하고 同 大学大学院에 진학해 나중에 工学博士・東京帝国大学 名誉教授가 되다. 서양건축학을 기초로 하면서도 일본건축을 본격적으로 재검토한 제일인자로서, 법륭사法隆寺가 일본 最古 寺院 건축임을 주장했으며,.. 2018. 3. 8.
왕선겸(王先謙)과 《한서보주漢書補注》 왕선겸(王先謙. 1842~1917)은 字가 익오益吾, 號는 규원葵園이며, 호남湖南 장사長沙 출신으로 근대 중국의 저명한 경학가經學家로 흔히 규원선생葵園先生이라 부른다. 18세에 補廩膳生했다. 동치同治 4년(1865)에 진사進士가 되고 국사관편수國史館編修、한림원시독翰林院侍讀、국자감좨주國子監祭酒 등의 관직을 역임했다. 고금군서古今群書를 박람博覽하고 치학治學은 고거考據를 중시했다. 광서光緒 시대에 강소학정江蘇學政이 되었지만 銀 1천량을 희사해 남청서원南菁書院을 세웠다. 光緒 15年(1889)에 사직하고 고향 長沙로 돌아가 정착해 악록서원嶽麓書院 산장山長으로 장장 10년을 지냈다. 무술변법운동戊戌變法運動에 강유위康有爲와 양계초梁啟超의 급진사상을 반대했다. 光緒 26年(1900), 당재상唐才常이 자립하여 군사를 .. 2018. 3. 8.
백제삼서(百濟三書. 百済三書) 《일본서기日本書紀》가 인용한 백제계 관련 사서로 짐작되는 《백제기百済記》 《백제신찬百済新撰》 《백제본기百済本記》 세 가지를 합칭하는 말이다. 이들 삼서가 《日本書紀》에서는 신공황후기神功皇后紀 이래 흠명천황기欽明天皇紀에 인용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들 삼서가 무엇인지를 두고 각종 주장이 난무하거니와, 세 가지가 각기 다른 사서인지 아닌지도 불분명하다. 그것이 《日本書紀》에 인용된 양상을 차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神功皇后)卌七年〔367〕夏四月(中略)因以千熊長彦爲使者, 當如所願. 千熊長彦者, 分明不知其姓人. 一云, 武蔵國人, 今是額田部槻本首等之始祖也. 【百濟記云職麻那々加比跪者, 蓋是歟也.】於是, 遣千熊長彦于新羅, 責以濫百濟之獻物.○ (神功皇后)六十二年〔382〕, 新羅不朝. 即年, 遣襲津彦擊新羅. 【百.. 2018. 3. 8.
민속학자 김태곤(金泰坤, 1936~1996) 민속학자, 호(號) 남강(南剛)【약력】ㅇ 1936년 4월 25일(음)충청남도 서산 출생ㅇ 1963년국학대학(現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ㅇ 1966년경희대학교 문학석사 학위취득ㅇ 1977년동경교육대학 문학박사 학위취득ㅇ 1996년 1월 25일 작고【경력】ㅇ 1970~1996년 문화체육부 문화재전문위원ㅇ 1971~1978년 원광대학교 교수ㅇ 1978~1996년 경희대학교 교수,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장ㅇ 1992~1996년 경희대학교중앙박물관장ㅇ 1991~1996년 국제샤머니즘학회장, 한국민속학회장【연구업적】[저서]ㅇ 󰡔황천무가연구󰡕(1966), 창우사ㅇ 󰡔한국무속연구󰡕(1981), 집문당ㅇ 󰡔한국민간신앙연구󰡕(1983), 집문당 등 총 34권[논문]ㅇ 「한국신당연구」(1965), 󰡔국어국문학󰡕 29,.. 2018. 3. 8.
세신갈문왕(世神葛文王) 신라 제9대 벌휴니사금 장자이자 태자. 부왕보다 일찍 죽었지만, 나중에 그의 아들 첨해가 왕위를 잇자 저 이름으로 갈문왕에 추봉됐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첨해니사금 : 원년(247) 가을 7월에 시조묘에 배알하고 아버지 골정(骨正)을 세신갈문왕(世神葛文王)으로 봉하였다. ☞골정(骨正) 2018. 3. 8.
련충(連忠)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 원년(230) 련충(連忠)을 이찬으로 삼고 군무와 국정을 맡겼다. 가을 7월에 시조묘에 배알하였다. 2018. 3. 8.
연충(連忠) ☞련충(連忠) 2018. 3. 8.
골정(骨正)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즉위년 :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벌휴왕 손자로 어머니는 내례부인(內禮夫人)이고 왕비는 석씨이며 조분왕의 누이 동생이다. 용모가 웅장하고 뛰어난 재주가 있었다. 앞 왕의 태자 골정(骨正)과 둘째 아들 이매(伊買)는 먼저 죽었고 맏손자[大孫]는 아직 어렸기에 이매의 아들을 왕위에 세웠으니, 이가 곧 나해니사금이다. 이해 정월부터 4월까지 비가 오지 않다가 왕이 즉위하는 날에 큰 비가 내렸으므로 백성들이 기뻐서 경축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즉위년 : 조분니사금(助賁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석씨로, 벌휴니사금 손자이고 아버지는 골정(骨正)갈문왕이다. 어머니는 김씨 옥모부인(玉帽夫人)이니 구도(仇道) .. 2018. 3. 8.
아음부(阿音夫) 골벌국 마지막 왕으로, 조분니사금 7년, 신라에 귀부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 7년(236) 봄 2월에 골벌국왕(骨伐國王) 아음부(阿音夫)가 무리를 이끌고 와서 항복하였으므로 집과 토지를 주어 편히 살게 하고 그 땅을 군으로 삼았다. 2018. 3. 8.
아이혜(阿爾兮) 나해왕의 딸이자 조분니사금 왕비이기도 하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 조분니사금(助賁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석씨로, 벌휴니사금 손자이고 아버지는 골정(骨正)갈문왕이다. 어머니는 김씨 옥모부인(玉帽夫人)이니 구도(仇道) 갈문왕 딸이고, 왕비는 아이혜부인(阿爾兮夫人)으로 나해왕 딸이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15대 기림니질금(基臨尼叱今)은 기립왕(基立王)이라도고 한다. 석씨다. 제분왕 둘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아이혜부인(阿爾兮夫人)이다. 2018. 3. 8.
옥모(玉帽) 구도갈문왕의 딸로, 벌휴니사금의 왕자 골정과의 사이에서 조분니사금을 낳았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 조분니사금(助賁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석씨로, 벌휴니사금 손자이고 아버지는 골정(骨正)갈문왕이다. 어머니는 김씨 옥모부인(玉帽夫人)이니 구도(仇道) 갈문왕 딸이고, 왕비는 아이혜부인(阿爾兮夫人)으로 나해왕 딸이다. 2018. 3. 8.
홀정(忽淨) 벌휴니사금 아들로, 옥모부인과의 사이에서 조분니사금을 낳았다. 석씨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 조분니사금(助賁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석씨로, 벌휴니사금 손자이고 아버지는 골정(骨正)갈문왕이다. 어머니는 김씨 옥모부인(玉帽夫人)이니 구도(仇道) 갈문왕 딸이고, 왕비는 아이혜부인(阿爾兮夫人)으로 나해왕 딸이다. 2018. 3. 8.
제귀(諸貴)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 조분니사금(助賁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석씨로, 벌휴니사금 손자이고 아버지는 골정(骨正)갈문왕이다. 어머니는 김씨 옥모부인(玉帽夫人)이니 구도(仇道) 갈문왕 딸이고, 왕비는 아이혜부인(阿爾兮夫人)으로 나해왕 딸이다. ☞조분니사금 2018. 3. 8.
강훤(康萱)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 : 32년(227) 3월에 파진찬 강훤(康萱)을 이찬으로 삼았다. 2018. 3. 8.
련진(連珍)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 : 27년(222) …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우두주(牛頭州)에 침입하였으므로 이벌찬 충훤(忠萱)이 군사를 이끌고 그들을 막았는데, 웅곡(熊谷)에 이르러 적에게 패하여 혼자 말을 타고 돌아왔으므로 진주(鎭主)로 좌천시키고 련진(連珍)을 이벌찬으로 삼아 군사의 일을 겸하여 맡게 하였다. 29년(224) 가을 7월에 이벌찬 련진이 봉산(烽山) 아래에서 백제와 싸워 그들을 깨뜨리고 천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8월에 봉산성(烽山城)을 쌓았다.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구수왕 : 11년(224) 가을 7월에 신라의 일길찬(一吉) 련진(連珍)이 쳐들어 왔다. 우리 군사가 봉산(烽山) 아래에서 맞아 싸웠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2018. 3.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