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154

Sarira Reliquary from the Pagoda at Hwangboksa Temple Site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사리구 慶州皇福寺址三層石塔舍利具 Period : Unified Silla Period (668~935 AD) In 1942,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the Hwangboksa Temple site in Guhwang-dong, Gyeongju was dismantled for restoration. Inside the pagoda, archaeologists discovered a gilt-bronze sarira reliquary, inscribed with the year 709 CE; inside the reliquary, they found these two gold Buddha statuettes, along with a silver mo.. 2019. 5. 20.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옆 목화반점 천안아산역 하차와 더불어 곧장 읍내동邑內洞 당간지주幢竿支柱로 날았다. 내비로 11키로..대략 이십분 걸린단다. 앞서 소개한 평촌리 석조석가여래입상과는 가까웠다는 기억이 있고, 십여년전 이 당간지주가 기차역에서는 더 가깝다는 기억이 있어서다. 보물이라 그런지 주변이 쏵 정비되었다. 그땐 바로 곁에 느티나무 같은 게 있지 않았나 하는데 암튼 너무 달라져 이질감이 없진 않다. 안내판도 확 바뀌어 깔끔하긴 하다. (안내판 전문은 아래 참조) 이 당간지주가 여타 지역 현존하는 동질 당간지주에 견주어 이렇다 할 특징 혹은 차별이 뚜렷하다 할 순 없다. 도지정문화재 정도가 적당치 않을까 하는데 암튼 보물이다. 보다시피 규모가 그리 큰 것도 아니다. 저 분이 168센티로 크다. 주변에 분명 이 당간지주가 건립되던 시절.. 2019. 5. 19.
납딱이 빼빼로 약사여래 휴일이라 집구석 틀어박히니 애꿎은 ocn 붙잡고 아이언맨이랑 놀다가 자빠다 일나다를 반복하게 되거니와 이래선 아니되겠다 싶어 기차표 끊어 천안아산에 내렸다. 뭐 그렇다 해서 특별히 갈 곳을 정한 것은 아니로대 내리면서 퍼뜩 생각한 곳이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와 그에서 대략 2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하는 같은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 납딱이 부처님이었다. 당간지주 거쳐 납딱이 부처님을 찾아갔다. 문화재 지정명칭은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 牙山坪村里石造藥師如來立像 Stone Standing Bhaisajyaguru Buddha in Pyeongchon-ri, Asan 보물 제536호라, 아산시 송악면 평촌리 산1-1에 소재한다. 인근엔 요새 용담사라는 절이 있어 대웅전과 요사채가 있기는 한데 인기척은 없고.. 2019. 5. 18.
Jusanji Reservoir in Cheongsong Located in Juwangsan National Park, Jusanji is a small reservoir. It is a man-made pond that was dug out in August 1720 and completed in October of the next year. The pond has been used as a source of water for agricultural use as well as for drinking. Even though it is small in size, about 100 meters long, 50 meters wide and 7 to 8 meters deep, the pond has never dried up from any drought. 靑松 注.. 2019. 5. 18.
산세와 솔밭 우리네 산세는 볼수록 오묘하단 생각밖에 아니든다. 게슴츠레 약에 취한 듯 하기도 하고 날카로운 듯 하면서도 때론 이빨 빠진 식칼 느낌을 주는가 하면 또 어떤 곳은 캐서린 제타 존스 엉덩이 같다가 또 어떤 곳은 펑퍼짐 아줌마 허리 같기도 하다. 저곳은 얼룩지는 솔밭 음침한 듯 농염한 듯 참말로 묘하단 말로밖에 할 수 없다. 그래도 저곳엔 정념이 있고 살기가 있고 쟁투가 있고 안온이 있다. 산세와 솔밭은 그런 곳이다. 선산 도리사에서 2019. 5. 17.
뒤늦게 군번을 불러준 장경호 선생 2년전 오늘(May 17, 2017) 나는 수원 장안구 경수대로 1092에 위치하는 한울문화재연구원이란 데를 갔다. 해직기자 시절 막바지였던 듯 그때 내가 의욕만 앞세워 하고자 한 일 중 하나가 문화재계 원로들 증언채록이었으니 이 또한 그 일환이라 2층 이사장실로 장경호 선생을 찾았다. 한창 인터뷰 중인데 선생을 찾는 전화가 왔다. 대화를 엿들으니 국립문화재연구소 조모 박사였다. 내 인터뷰를 방해하고자 하는 공작임이 분명했다. 듣자니 작년 장 선생을 녹취한 자료집이 출간되는 모양이다. 백부만 보내달라고 선생이 말씀한다. 두 시간가량 걸린 인터뷰를 마칠 무렵 한울문화재연구원 창립자이자 원장인 김홍식 선생이 합류했다. 장 선생이 1936년 김 선생이 1946년생이다. 기억력에 장애가 생기고 말이 어눌해진 칠.. 2019.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