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153

문화재현장, 더는 짜가가 싫다. 진품을 다오! 사진은 부산 동래 복천동 53호분 현장이다. 토기류 등은 말할 것도 없이 모조리 레플리카다. 우리는 현장 보존하는 유적이라고 해도 그 어떤 경우건 유물은 홀라당 끄집어낸다. 이런 현장 유적으로 대표적인 곳이 부산 복천동 고분과 고령 대가야 고분이다. 조사가 끝난 이들 고분 중 일부 소위 현장형 고분을 보면 개복(開腹)한 상태로 전시하지만, 그 안을 채웠을 토기류를 비롯한 출토유물은 모조리 끄집어 내서 박물관 수장고나 전시실로 옮겨다 놓는다. 그러고는 현장에는 저처럼 복제품을 제작해서 놓아둔다. 하지만 이 방식도 이제는 혁파해야 한다. 철기류나 목재류처럼 현장에 두면 부식이 급속화하는 유물이야 어쩔 수 없다 해도 왜 토기류까지 모조리 끄집어내야 하는가? 물론 할 말이 없지는 않을 것이다. 관리 문제를 우려.. 2019. 3. 17.
77년만의 귀환,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山淸 泛鶴里 三層石塔Three-story Stone Pagoda in Beomhak-ri, Sancheong국보 제105호, 통일신라 9세기National Treasure No. 105 / Unified Silla Period, 9th century 이층 기단에 삼층 탑신을 올린 전형적인 통일신라 양식 석탑이다. 꼭대기 장식[相輪部]과 하층 기단 덮개돌 아래는 남아 있지 않다. 석탑 재질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섬장암(閃長岩, 반짝이는 장식으로 된 암석)으로 만들어졌고 덮개돌 이하 부분 복원에도 동일한 섬장암을 사용했다. 석탑 외면에는 부조상이 정교하게 새겨졌다. 상층 기단에는 8구의 갑옷 입은 신장상(神將像, 무력으로 불법을 수호하는 신)이 무기를 들고 있다. 1층 탑신은 공양하는 보.. 2019. 3. 11.
<주마간산 애급여행기> (3) BTS보단 강남스타일 수단과 경계를 이루는 아스완을 떠나 룩소르를 향해 나일강 크루즈에 나서 북쪽으로 50킬로미터가량을 내려간 어중간 나일강 동편으로 콤 옴보(Kom Ombo)라는 곳은 농업으로 주된 생업 기반으로 삼는 마을이라, 이곳에 악어 대가리를 걸친 소베크(Sobek), 혹은 세베크(Sebek), 혹은 소체트(Sochet), 혹은 솝크(Sobk), 혹은 솝키(Sobki)라는 신을 봉헌하기 위한 콤 옴보 신전(the Temple of Kom Ombo)이 있어, 사전 정보가 전혀 없이 떠난 이번 이집트 여행에서 이 신전 건물을 마주하면서 퍼뜩 "저거 왜 저래? 코린트 양식 기둥인데?" 했던 것이었던 바, 이런 인상은 이내 해명이 되었으니, 알고 보니, 고대 이집트 왕국 시대에는 '황금도시'를 의미하는 눕트(Nubt), 혹.. 2019. 3. 11.
작약이 삼킨 영미의 고장 의성 다음달 중순이면 영미의 고장 의성 개중에서도 금성산 고분군이라는 문화재 현장은 이런 모습 빚어지리라. 늙으면 꽃이 좋아진다지만 20대로 돌아간다한들 넋을 놓고 말았으리라. 얼마전인가? 어느 신문에 보니 컬링의 고장 의성에서 장사가 되는 것이라곤 장의사뿐이라는 자극적인 미다시를 뽑았거니와, 이르노니 의성은 작약의 고장이다. 올봄이 흐드러지고 모란이 지기 시작하면 의성으로 가라. 2019. 3. 10.
선운사 도솔암에 올라 동백더러 말했노라 전북 고창 도솔산 선운사 도솔암에 올랐다. 7년전 이맘쯤 찾은 일이 있다. 암반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목을 축인다. 앞과 뒤로 암산이 병풍으로 둘러쳤으니 제사상만 차리면 된다. 마애보살 마주하고선 빈다. "호철이 장가가게 해주세요" 같이 배례하던 할매가 반응한다. "어째 나랑 같은 처지인갑소" 천근만근 몸뚱아리 질질 끌고는 올핸 기필코 보내고 말리라 다짐한다. 지장보살 마주하고선 단디 당부한다. "지장아, 나와바리 잘 지키레이. 예수쟁이들 움직임 심상치 않데이" 절경이라, 비자나무 바위 부여잡곤 질긴 삶 이어간다. 아래쪽 동백은 요지부동 아가리 콱 다물었는데 유독 도솔암 동백은 만발이다. 그래..어쩌다 보니 예까지 왔더라. 2019. 3. 9.
Yehliu Geopark 野柳地質公園 예류지질공원 Known by geologists as the Yehliu Promontory in Wanli District, New Taipei, Taiwan, Yehliu (Chinese 野柳) forms part of the Daliao Miocene Formation stretching approximately 1,700 metres into the ocean. One of the largest geological features of the cape is the hoodoo stones on its surface formed by the erosion of seawater. Each of these rocks has a unique name depending on its shape. The best well.. 2019.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