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464

동아시아의 놀고대학생과 산업화 동아시아의 놀고대학생의 대량 배출에는 공통점이 있다. 첫째는 이 시기는 급격한 근대화의 시기로서 국가적으로 고학력자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대라는 점이다. 이 때문에 국가는 미친 듯이 학교를 짓고 또 고학력자를 배출하는 상급 교육기관을 건설한다. 한국의 50-80년대 미친 대학 설립 드라이브와 비슷한 상황이 일본에서도 메이지유신 이후 수십년 동안 그대로 전개되었다. 둘째는 그러다 보니 대학을 가 봐야 배울 것이 없어 학생들은 또래 집단끼리의 토론 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다. 놀고대학생하면 떠오르는 것이 뭔가? 결국 또래집단끼리의 술추렴, 그리고 개똥철학, 인생논하기, 각종 잡다한 서적의 섭렵 등이다. 이런 것들은 학교에서 가르쳐 주는 것이 아니라 또래집단끼리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읽고 배우게 되.. 2023. 4. 10.
메이지유신과 놀고대학생 한국의 60-80년대에 해당하는 놀고대학생 대량생산의 시대가 바로 일본의 메이지시대다. 이 시대를 유심히 바라보면 한국의 60-80년대를 굉장히 닮아 있다는 점을 알게 된다. 첫째로, 가진 것이 쥐뿔도 없는 시대였다는 점이다. 일본은 흔히 "제국주의국가"라고 부르지만 20세기 초반, 러시아를 격파할 때까지도 "가진 것도 쥐뿔도 없는 나라"라는 점에서 전형적인 아시아 국가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앞으로 필자가 자세히 다룰 시기가 있을 것이라 본다. 둘째는 이 시기는 가진 것이 쥐뿔도 없는 못 사는 집안 수재들이 머리 하나 믿고 계속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또 국가가 이에 맞춰 어설픈 상급학교를 연쇄적으로 계속 만들어 가던 시대라는 점이다. 이 시기에 고급교육을 전담하는 교육기관들이 .. 2023. 4. 9.
놀고 대학생은 왜 생겨나는가? 필자가 쓰는 이글 속의 "놀고대학생"이란 대학이라고 보내놨더니 하라는 공부는 안 하고 놀고 먹는 녀석이란 뜻으로 쓴 것이 아니다. 물론 대학생이면서 놀고 먹었으니 "놀고대학생"이라 부른 것은 분명한데, 이 "놀고대학생"이 동아시아에서는 국가적 산업화 시기에 집단적으로 출현한 시기가 있었다. 본인이 원하건 아니건 간에 "놀고대학생"이 될 수 밖에 없던 시대가 존재한다는 말이다. 한국의 경우에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1960-80년대까지, 소위 "우골탑" 시대와 이 "놀고대학생" 시대가 같이 도래했다. 이 두 가지가 함께 포개져 나타나면서 부모가 "소팔고 대학 보내놨더니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기타나 치면서 데모나 하는" 놀고대학생의 이미지가 생겨난것인데-. 사실 대학생이 논 이유는 간단하다. 학교를 가봐야 .. 2023. 4. 9.
위대한 놀고 대학생의 시대 (예고) 동아시아-. 지금은 멸절해 버린 놀고대학생의 시대가 있었다. 그것은 어떻게 생겨났고 어떻게 사라졌는가? 세계사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가? 이들은 어떤 역사적 공간에서 태어나 놀고 먹다가 어떻게 사회생활속으로 뛰어들었는가? 이제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 following article *** 놀고 대학생은 왜 생겨나는가? 놀고 대학생은 왜 생겨나는가? 필자가 쓰는 이글 속의 "놀고대학생"이란 대학이라고 보내놨더니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놀고 먹는 녀석이란 뜻으로 쓴것이 아니다. 물론 대학생이면서 놀고 먹었으니 "놀고대학생"이라 부른 것 historylibrary.net 2023. 4. 9.
미군정기 국대안 파동에 대한 오해 현재까지 소위 "학계"에서 이야기되는 국대안파동에 대한 분석논문은 대부분 사실과 동떨어진 것이 많다. 이런 논문들을 몇 가지 부류로 구분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구제학제"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는 경우. 구제학제에서 고보와 고등학교가 어떻게 다른지도 구별 못하는 논문도 많다. 둘째. 미군정기 국대안파동이 미국의 무지에서 비롯되었다고 오도하는 경우. 미군정기 학제 개편은 조선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동일하게 진행된 것으로 세계사적 측면에서 봐야 할 부분이 있다. 세째. 미군정기 국대안파동이 학계와 대학을 무시하고 진행되었다고 하는 경우.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다만. 그 "학계"의 당시 교수라는 사람들이 불과 1년전에는 그 대학교수가 아니었다는 점을 잊지 말길. 우리나라에서 해방 국면에 조선인.. 2023. 4. 9.
부여 회고, 강을 낀 낮은 땅을 선호한 백제 부여는 필자가 고기생충 연구 때문에 자주 내려갔던 동네다. 여기서 얻은 결과는 학술지에도 여러 편 출판되었다. 부여 발굴 현장을 본 감회를 약간 써 보면, 부여는 백제시대 물난리가 상당히 자주 있었던 동네 같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 기생충란이 화장실 터 뿐아니라 거주지 주변에서도 꽤 많이 나오는 장면이 있었는데 사실 이러한 징후는 물난리가 많은 도성지역에서 흔한 현상이다. 예를 들면 조선시대 한양도성이 딱 그렇다. 허구 많은 데 다 놔두고 왜 하필 저렇게 홍수가 많은 지역에 도읍을 정했는가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 풍납토성도 그런 데라 사비성만 탓할 일은 아니라 하겠다. 백제가 망했을 때 일본에 있던 부여 풍이 귀국하여 풍왕으로 즉위하여 주류성에 머물렀는데 너무 외지고 험준한 곳에 있는 탓에 반대를.. 2023. 4.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