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433 1700년대 초기의 호적을 보고 받은 충격 우리나라 삼남 지역 어느 고을의 1700년대 호적을 볼 기회가 있었는데정말 충격을 받았다. 앞에도 썼지만 가가호호 4-6명 정도 노비는 다 데리고 있었고 자작농은 거의 없어 보였다. 실제로 17세기 초반 상황을 그린 쇄미록을 보면주인인 양반집이 각지에 흩어진 노비들로 부터 신공을 거두는 모습이 보이는데 또 다른 비슷한 시기 일기에서도 유사한 정경을 묘사한 것을 보면17세기 초반은 지주 전호제가 성립될 만한 상황이 아니었다고 보며과연 이러한 노비 노역을 근거로 한 생산방식이 언제나 해소되는가를 궁금해 하던 필자로선우리나라 삼남지역 번듯한 동네에서 1700년대, 즉 18세기 초기까지도집집마다 4-6명 노비를 거느리고 있는 모습을 보고 이 시기까지도 우리나라는 노비의 노역이 나라의 생산양식에서 막대한 부분을 .. 2025. 7. 5. 김홍도 그림의 농민(?) 들 이 그림-. 김홍도의 타작도는 "농민"과 "이를 감독하는 마름"이라고 설명하는 것을 본다. 이것이 농민과 마름의 모습일까? 필자가 보기엔 이건 주인인 양반과 양반에 귀속된 노비다. 쇄미록에 보면 노비를 들에 일시키고 감독하는 장면이 종종 나온다. 저 삐딱하게 누워 술 한 잔 걸치며 감독하는 이는마름으로 보기엔 석연찮다. 필자 생각엔 아무래도 주인 양반 같고 타작하는 일들은 노비가 하고 있는 것 같다는 뜻이다. 2025. 7. 5. 1700년대까지도 노비가 생산의 기초 우리나라는 별로 유별날 것 없는 동네의 조선시대 호적을 봐도 1700년대에는 소위 양반에 속할 호주의 아래에 평균 5-6명의 노비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8세기 초까지도 노비 비율이 40프로는 된다는 주장도 있는데필자가 직접 본 어느 동네의 조선시대 호적도 그랬다. 1700년대 초반, 그 동네에는 인구의 상당수가 노비였다. 이 시대가 언제인고 하니 숙종 연간이다. 숙종 임금의 시대까지도 우리나라에는 인구의 상당수가 노비였던 셈이다. 1700년대 중후반을 넘어서면서 노비의 숫자가 급감하는 것 같으니대체로 영 정조 시대를 거치면서 우리나라 마을의 인구 구성은 급변한 것 같다. 같은 동네의 1800년대 초반 호적을 보면동네가 완전히 달라져 있다. 노비는 거의 유명무실해지고,1700년대까지도 몇 안 되는 .. 2025. 7. 4. [연구소식] 조선시대 검안 문서에 대한 법의학적 분석: 일곱번째 논문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18900 대한제국 부안군 양조이 치사사건의 검시 기록에 대한법의인류학적 검토우리나라 조선 시대 및 대한제국 시대에는 관내에 변사사건이 발생하면 검험관이 즉시 검시를 진행하며 관련자들에 대한 취조 내용을 종합하여 합리적 판결을 도출하고자 하였는데 이때 그 근www.kci.go.kr 조선시대 검안 문서에 대한 의학적 분석 일곱 번째 논문이 나왔다. 검안 서류에 대해서는 그 동안 훌륭한 인문학적 분석이 많이 있었던 바 우리는 법의학적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그 일곱 번째 논문이다. 이 작업이 끝나면 조선시대 검안 서류.. 2025. 7. 3. 민농시 쓴 여가에 노비 잡으러 다니던 양반들 웃기는 것은 양반들이 민농시를 열심히 써제끼던 그 시절-. 문집에 남길 글에는 불쌍한 농부를 노래하다가붓을 놓고 나면 도망간 노비를 잡으러 다녔다는 것이다. 문집에 남아 있는 조선 시대 사대부들 글을액면 그대로 믿으면 안되는 이유이다. 이들 역시 생활인으로서 먹고 살자니 농사 지을 노비가 도망가면 그걸 잡으러 다녔을 텐데 생활인으로 살면 그렇게 살면 될 것을 가지고 불쌍한 농민의 땀이 어쩌고 하는 글은 왜 짓는가 말이다. 20세기 들어 나라가 망한 후에 우리나라 유도가 완전히 망해 쪽박을 차게 된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절실하지도 않고 솔직하지도 않고 누구보다도 더 속물이었던 주제에아닌 척 군자인 척 글을 남기고 죽고 나면 그걸로 목판 일만장을 파서 문집을 꾸리니 나라가 망한 후에 유가를 어떻게 봤겠는가.. 2025. 7. 3. 우리 맘대로 엮어댄 망향의 노래 임란 관련 이야기 중에 꼭 나오는 이야기의 하나가 임란 때 일본으로 끌려간 이들이 조선을 그리면서 부른다는 소위 "망향의 노래"다. 이거 사실일까? 이들이 정말 떠나온 고향을 그리워했을까? 필자가 보기엔 케이스 바이 케이스다. 물론 고향을 그리워 한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강항 같은 이. 일본으로 잡혀 가기 전에는 무려 문과 급제자였다. 당연히 돌아오고 싶었을 것이다. 그런데 만약 끌려간 이들이 노비라면? 그들도 망향의 노래를 불렀을까? 일본으로 끌려간 도공들은 조선에서 보나마나 백프로 천역으로 천시받았을 텐데 이들은 고향으로 돌아오고 싶었을까? 쇄미록을 보면 천만의 말씀이다. 양반집안을 봉양하는 노비들은 양반들 식사 때 버려지는 음식이 이들 차지였을 테고, 그나마 그것도 없으면 굶었다는 이야.. 2025. 7. 2.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40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