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432

출세를 위한 교육, 신분상승을 위한 공부 흔히 출세를 위한 교육, 신분상승을 위한 공부를 망국병이라던가 한심한 동기라고 폄하하는 시각을 보는데, 미안한 이야기지만 조선시대, 공부라는 것이 위기지학으로 수기치인, 도덕적 완성을 위해 해야 한다는 그 시대에도 그렇게 공부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대부분 사서삼경을 읽는 것은 소과라도 붙어 양반 자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자 함이지 위기지학 수기치인이라는 건 웃자고 하는 소리지 정암 조광조 같은 기인이 아니면 심각하게 이걸 받아들이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문집에 이런 이야기를 가득 채워놨다고 해서 정말 그런 동기에서 공부했으리라 보는 건 바보 같은 생각이다. 정말 그렇다면 하루 일과를 적어 놓은 일기에 수기치인의 수련 이야기가 가득차야 할 텐데일기에는 대부분 뭐 먹었는지 이야기, 누구하고 술먹었다는 이.. 2025. 7. 9.
신분을 끌어올리기 위한 눈물겨운 노력 조선 후기 한국인은 18세기 이전까지도 대부분이 노비였다. 양반은 숫자가 얼마 되지 않았다. 남아 있는 호적으로 보면 너무나 명확해서 이를 부정하는 일은 바보같은 짓이라 생각한다. 이렇게 노비사역이 주류가 되어 있는 사회에서 자본주의 맹아론 운운은 부질없는 시도라 본다. 그렇게 본다면 지금 한국인 거의 절대 다수는 17세기 이전 노비 조상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필자의 말에 설마 하겠지만 조선시대 호적을 한 번만 실물을 보면 생각이 달라진다. 1700년대 호적만 봐도 양반 수는 많지 않고 절대다수가 노비다. 이들이 다 어디로 갔겠는가. 오늘날 한국인들은 모두 조상이 왕족, 양반, 귀족인 족보를 가지고 있지만 사실 대부분은 노비의 자손이다. 흔히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말을 한다. 헐리웃 영화.. 2025. 7. 9.
새로운 시대를 준비한 영정조 시대 영정조 시대를 문예 부흥,이를 조선문화 후기 르네상스로 보는 시각이 있다. 물론 이 시대를 그렇게 정의하지 마란 법은 없겠지만 필자가 보기엔 영정조시대 최대 업적은 19세기 민란의 시대를 낳았다는 데 있다. 18세기 전반기만 해도 노비 사역이 사실상 주류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던 조선 땅에 18세기 후반을 거치면서 19세기가 되면가구의 크기도 훨씬 줄어들고 노비 사역이 거의 사라진 우리가 알고 있는 가족의 형태가 완성되는 것 같다. 노비 사역이 공고한 상태에서 일어나는 민란은 고려시대 만적의 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겟지만19세기의 민란은 아예 왕조를 뿌리채 흔들어 이를 무너뜨리는 데까지 발전한 까닭은따지고 보면 한국 향촌사회에서 노비 사역이 거의 사라져 버린 데 있다 하겠다. 물론 19세기에도 노비가 완전.. 2025. 7. 9.
위대한 18-19 세기 필자가 생각건데 17세기까지 강고하게 이어온 노비 사역의 문제는 우리 역사에서 특정시대에 갑자기 비롯된 것이 아니다. 이름만 바뀌었을 뿐 우리 역사에서 일부 지배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농민은이러한 노비에 방불한 신분 억압의 상태에서 한 번도 벗어난 적이 없다. 18-19세기의 노비해방과 신분 상승운동이 위대한 것은 바로 이러한 점이다. 이 시기에 비로소 수천 년을 이어온 신분제 질서가 동요하게 되고 그 틈을 타고 불과 백년 전만 해도 노비가 절대다수였던 향촌에 너도나도 양반이라고 주장하게 된 것이다. 불과 백년만에! 놀랍지 않은가? 실제로 이러한 변화는 어쩌면 20세기 우리가 목격한 한국사회의 변화보다더 격렬한 것이었을 수도 있다. 2025. 7. 8.
삼정의 문란? 혁명의 시작! 우리는 19세기 민란의 시대 개막을 이야기할 때 삼정의 문란이라는 이야기를 그 원인으로 드는데 생각해 보자. 삼정이 문란해지지 않으면 구체제가 그대로 유지된다는 이야긴데 그건 뭐 그대로 또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 삼정의 문란이 반드시 나쁜 쪽으로 작용한 것만은 아니다. 군역의 기초가 되는 호적이 개판이 되니 동네마다 남정네는 죄다 유학을 칭하고 양반 행세를 했지 만약 이전처럼 빡세게 호적 관리를 했어보자. 신분제 동요는 꿈도 못꾸고우리나라는 1910년 나라가 망할 때그때까지도 노비사역이 동네마다 있었을 수도 있다. 삼정의 문란 결과물 중 가장 큰 것이바로 동네마다 양반이 넘치게 되었다는 것인데 삼정의 문란이 한국사에 있어 반드시 나쁜 쪽으로만 작용했겠는가. 그것이 아닌 다음에야 삼정의 문란이란 애초에 .. 2025. 7. 7.
양반들 문집의 말을 믿지 말라 양반들 문집에 묘사된 조선시대, 특히 조선후기의 정경과 실제 모습은 엄청난 괴리가 있다. 따라서 양반들이 쓴 글, 폼나는 글, 이걸 믿으면 역사학이고 나발이고 없다. 조선시대 기록에서 항상 의심해야 하는 것은 양반들 글이다. 양반들 글을 보면, 조선은 잘못한 게 없다. 그런데 그런 글들이 묘사한 조선의 모습과는 상반되게17세기부터 나라가 망하는 20세기 초엽까지 조선의 향촌은 들끓고 있었다. 한 세대가 넘어가면 노비에서 신분이 유학으로 바뀌고 이들이 19세기가 되면 궐기하여 관가를 때려부쉈다. 일본이 아니라도 서구 제국주의가 아니라도 당장 오늘 내일 하는 상태였다는 뜻이다. 양반들 문집의 글, 조선왕조실록의 기록, 승정원일기도 믿지 말라. 이런 기록들 보다는 차라리 그 당시 남아 있는 호적 한 장이 더 .. 2025. 7.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