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40

조금 일찍 떠나는 이유는 자유롭고 싶어서 언젠가 말했듯이 나는 오십어간이 되면서 다른 삶을 살려 했지만, 그때 마침 해고라는 느닷없은 일이 닥치는 바람에 모든 계획이 틀어지게 되고 말았다. 그렇다 해서 내가 이런 걸 하겠다는 확고한 무엇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한번 틀어진 길을 다시 돌리기는 더 힘들어졌다가 마침 기회가 주어져서 이때다 해서 냉큼 잡았을 뿐이다. 거창한 계획? 환갑을 향해 달려가는 중늙은이가 무슨 모험을 하겠는가? 그럼에도 꼴난 기간이나마 그것을 조금이라도 당긴 까닭은 자유롭고 싶어서다. 천만다행히도 이번에는 그만 둔다는 통보에 집안에서도 그리 큰 반대는 없었다. 물론 그렇다 해서 내 앞에 자유만 펼쳐지겠는가? 안다. 만만치 않은 길이라는 것쯤은. 내가 연합뉴스 사원이요 연합뉴스 기자라는 사실이 한편으로는 내 삶을 얼마나 옥죄었.. 2023. 10. 13.
돈이라는 요물, 돈 많은 사람은 결코 망할 수 없는 구조 임금피크제에 돌입하고서 퇴직금을 정산하게 되었는데, 그때가 한참 금리가 좋을 때라, 그때 계상하니, 이런저런 모험하지 아니하고서도 여느 은행권이건 안전빵으로 10억원만 넣어놓으면 내가 아무 일 하지 않아도 이자로만 연간 5천만원이 들어오더라. 문제는 10억원이 없다는 것이었으니, 아무튼 금리라는 변수가 있기는 하지만, 현금 10억원만 있으면 내가 아무일 하지 않아도 웬간한 대졸 초임 연봉을 상회하는 돈이 굴러 들어온다. 단순 계산으로 20억원이면 연간 이자 수입만 연간 1억원. 웬간한 기업 중견간부 연봉이 아무 일 하지 않아도 그대로 굴러들어오는 셈이다. 결코 새삼스럽지도 아니한 이런 사실을 확인하면서, 아! 이 사회는 돈 있는 사람은 결코 망할 수 없는 구조임을 새삼 절감했다. 그러면서 내 수중에 10.. 2023. 10. 13.
<기자수첩> 광화문 현판 교체 논란(2011-01-13) 송고시간 2011-01-13 10:34 광화문 현판 교체 논란 제작방법 놓고 의견 분분..'복원' 의미 잘 새겨야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균열이 생긴 복원 광화문 현판을 교체키로 하면서 새로운 현판 제작 방법을 둘러싼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나온다. 지금처럼 경복궁 중건 당시 글씨인 임태영의 글씨를 모사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고, 조선을 대표하는 명필이나 저명인사의 글씨에서 집자集字해야 한다는 말도 있다. 당대 서예가에게 글씨를 맡겨야 한다고도 하고, 한글 현판을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와 거의 똑같은 논란을 광화문 복원이 결정된 2004~2005년 무렵 이미 우리는 질리도록 경험했다. 유홍준 당시 문화재청장은 애초 현판 글씨로 집자나 서예 대가의 글씨를 염두에 뒀다. 집자로는 추사 김정희와.. 2023. 10. 13.
퇴직 이벤트 대미는 인사발령으로 붙었다. 사마방목에 올랐다. 이로써 지루하기 짝이 없던 퇴직 이벤트 일주일 대장정을 마무리한다. 2023년 10월 16일이 퇴직 시점이라, 난 2023년 10월 17일자로 백수가 된다. 지금까지와 같은 아둥바둥하는 삶은 살지 않으려 한다. 좋아서 하고 싶은 일을 찾으려 한다. 당분간은 이런저런 생각없이 지내려 한다. 퇴직 이벤트로 한창 재미봤는데 이런 즐거움을 주는 일은 또 생기지 않겠는가? 2023. 10. 13.
마지막 출근에 앞서 적는다 나는 내가 31년을 몸담은 연합뉴스의 피고용인이라는 생각을 해 본 적 없다. 허울뿐이기는 하나 사회계약론, 혹은 계약론 일반에 따라 계약관계라고 봤을 뿐이며 내가 받는 월급 또한 시혜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계약에 따라 내가 준 데 대한 당연한 반대급부라고 봤다. 이 계약은 상호신뢰에 의한 쌍방의 약속이다. 어느 한쪽에 동의하지 않으면 파기되는 것이며, 이 파기하는 주체가 상대를 해고하는 것이다. 이제 이 계약이 파기된다. 나는 연합뉴스를 해고한다. 그 계약은 서로가 더는 그에 따른 이득이 없으면 파기된다. 그 판단에 따라 나는 연합뉴스를 해고한다. 이제 나는 연합뉴스 사원도, 연합뉴스 기자가 아니다. 그 계약이 유지되는 기간, 그 계약에 따라 나 또한 연합뉴스가 아니었으면 얻기 힘든 무수함을 얻었다.. 2023. 10. 13.
삶은 이벤트, 퇴직도 이벤트 그래 나 퇴직한다는 말 동네방네 소문내면서 근래 일주일가량 시끄럽게 떠들었다. 이 업계서 나 정도 되면 이 일로 이 정도 이벤트는 약과다. 나는 그리 생각한다. 그래 솔까 올해 문화계, 혹은 좁혀 문화재업계 10대 뉴스가 있다면 그 첫머리가 김태식 퇴직이라고 본다. 나는 그런 오만방자로 살았고, 또 그리 살 것이다. 삶이 어차피 이벤트 아니던가? 그런 이벤트로 점철한 삶에서 퇴직은 더 중대성이 있다고 보는 까닭에 동네방네 떠들어봤다. 노이즈 마케팅이라 해도 좋다. 뭐 어떻거나 말거나, 이 정도 인물이 퇴진한다는데 이 정도도 못 봐주려는가? 한데 퇴직 이벤트가 지나면 무슨 이벤트로 먹고 살지? 이걸로 한참 재미봤는데? 2023. 10.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