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40 출판환경과 일신의 변화 *** 아래는 April 26, 2016 글이라, 이 무렵 나는 해직 상태였으니, 더구나 《직설 무령왕릉》 출간 며칠 전이라는 그런 사정을 감안해야 한다. 이에서 말하는 변화가 실은 변화가 아닐 수도 있음을 전제하고 말한다. 다시 말해 원래 그러했는데 나만 모르고 하는 소리일 수도 있다는 뜻이다. 나는 2000년에 《풍납토성 500년 백제를 깨우다》를 내고 이듬해 《화랑세기 또 하나의 신라》를 냈다. 이때는 남들 보기엔 어떨지 모르나 참으로 득의한 시절이라 지금보다 더 자신만만 했고 거칠 것이 없었다. 나이는 딱 삼십대 중반이요 기자생활 8, 9년차였으니 더했을 것이다. 그때는 출판계 사정도 잘 몰라 그냥 책만 내면 되는 줄 알아 출판기념회 같은 자리도 없었다. 그때는 또 나름대로는 도덕이란 게 있어 더.. 2023. 4. 26. 창경궁, 효도로 포장된 잔소리 대마왕들의 골방 집합소 궁宮은 정의가 너무 간단해서 왕王이 사는 집이다. 그 집을 궁宮이라 하지만 시황제 이전엔 신분에 관계없이 집이라고 할 때 쓰던 말이었다. 요새 돈께나 있는 사람들은 집이 한 채가 아니라 오피스텔도 있고 별장도 있는 거랑 마찬가지로 왕은 본가 외에도 무수한 별채를 거느렸으니 큰집에 해당하는 본채를 정궁正宮 혹은 법궁法宮과 같은 말로 표현하기도 하며 기타 우수마발은 이궁離宮이라 했다. 이궁이 탄생하는 절대의 조건이 잔소리 대마왕 위리안치였다. 절대권력자로 군림하는 왕이라 해도 강상의 윤리는 거스를 수 없어 마누라야 싫어도 데불꼬 살면서 안주인 역할을 맡겼지만 문제는 엄마나 할매. 나이 들어가며 잔소리 많아지기는 이 엄마나 할매가 더 심했으니 오죽 성가신 존재인가? 왕이 잔소리에서 해방되려면 무엇보다 이런 할.. 2023. 4. 24. 합스부르크로 재미 본 국립박물관 또 서양미술전, 이번엔 내셔널갤러리 국립박물관은 동맥경화였다. 정체상태였고 더 엄밀히는 퇴보하는 징후가 뚜렷했으니 무엇보다 MZ세대한테서 버림받는 징후가 뚜렷해서 관람객은 쪽수만 많았지, 것도 내실 따져보면 허수가 너무 많은 데다 관람층도 따지고 보면 숙제하러 오는 얼나들과 중장년층으로 너무나 극심히 갈렸다. 종래 박물관이 주력 상품으로 내세우던 고고와 고고미술 그 어떤 것도 백약이 무효라 누가 이 고리타분함을 맘 편히 즐긴단 말인가? 고고미술이라면 괜히 내가 공부를 해야 할 듯한 그 압박이 박물관을 더 궁지로 몰아넣었다. 박물관은 그 태생으로 보면 루브르가 대표하는 미술품과 고고품 융합주의 대륙주의 계통과 고고와 미술을 분리해서 전자를 뮤지엄이라 하고 후자를 갤러리라 해서 분별하는 브리티시 뮤지엄 중심 영국주의로 대별한다. 한국은 영국주.. 2023. 4. 23. 조명빨에 최적화한 백자와 청화백자 조선백자를 일러 흔히 순백純白이라 하지만 제대로 살피면 순백은 없어 실은 곰보라 여드름 고민에 시달리는 청소년 얼굴이랑 진배 없다. 예서 살피면의 기준인데 그 어떤 경우건 육안이라 제아무리 순백이라 해도 현미경 들이대면 물광 피부도 살아남지 못한다. 육안과 더불어 또 하나의 조건이 있으니 태양광이다. 태양광에 노출한 조선백자로 순백은 없다. 다 곰보요 얼룩티끌 천지라 그 몰골을 보고선 조선백자를 순백이라 상찬할 수는 없다. 리움미술관 아트숍에 나와 있는 현대작가들 백자다. 우리가 상상속에 그리는 순백 백자는 현대작가에 와서야 비로소 가능해졌다. 저 현대작들은 작가들이 대체 무슨 요행수로 만들었는지 태양광 아래서도 순백으로 뺀질뺀질해서 저 수준은 조선시대 도공이 결코 따를 수 없다. 물론 시간이 흐르면서,.. 2023. 4. 23. 사진과 초상권, 그리고 그 역설 이 사진 작년 오늘 창경궁에서 찍고는 사진부를 통해 정식 발행하려 했지만 거절당했다. 이 정도는 누군지 모르니 발행해도 괜찮지 않느냐 하니 그래도 위험하다면서 거절하더라. 물론 난 저 사람을 모른다. 다만 시절이 시절이고 또 창덕궁이 저런 꽃으로 만발할 무렵이라 특히 신혼부부 기념촬영이 많았으니 아마 예비 신부 아닌가 했더랬다. 봄꽃은 참말로 한복과 절묘하게 조화해서 이 정도면 괜찮다 싶다 해서 망원으로 당겨 촬영한 것인데 결국 나만 간직하는 사진이 되고 말았다. 물론 꼭 발행해야 하는가 하면 나로선 절박이 없다. 내가 사진기자도 아닌 마당에 나로선 봄날 풍경 찍다가 얻은 장면인데 그걸로 만족한다. 그만큼 요새는 초상권이 더 존중받는 시대다. 이른바 몰카 사건들이 그것을 더 강화한 측면이 있기는 하겠지만.. 2023. 4. 22. 무덤은 집이다, 고로 왕릉은 왕궁이다. 이 평범성을 확인하는 데 나로서는 적지 않은 시간과 경험이 필요했다. 고고학 개론이나 건축학 개론 같은 데서 이런 말이 아마 보일 수도 있을 텐데 내 성정으로 보아 나는 그런 말들이 보인다 해도 개무시했을 테니 무엇보다 내가 직관하는 일이 중요했다. 나는 그런 사람이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좋게 보아 우직하다 할 테고 또 한편에선 시건방지게 보일지도 모른다. 나는 그리 살았다. 내가 간접으로 누군가의 교시를 따라 그것을 어느 순간 이후 내것으로 체득하면서 아 이게 내것이다 라고 여기며 살아가는 것이 많을 테지만, 그래도 저와 같은 것들은 설혹 이른바 선배 선학이 그런 말을 했다 해도 순전히 내것이라고 믿는다. 왜? 내가 본 그 무수한 고고학 건축학 관련 글에서는 저 비슷한 말이 그 어디에도 보이지 않았기 .. 2023. 4. 21. 이전 1 ··· 184 185 186 187 188 189 190 ··· 42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