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481 한글사랑, 한글을 옥죄는 괴물 한자를 억압하고 숨통을 끊어버리대서 그것이 한글사랑은 아니다. 네티즌을 누리꾼으로 바꾼데서 그것이 한글살리기도 아니다. 레미제라블을 불쌍한 사람들이라 옮긴다 해서 그것이 한글사랑인 것도 더더욱 아니다. 자칫하면 한글이 질식할 거 같다는 패배주의 버려라. 저것을 말살해야 내가 산다는 망상도 씻어라. 한글이 그리 간단한줄 아는가? 육백년을 살아남았고 앞으로 육천년을 갈 것이다. 지석영이 최현배가 한글을 지켰다는 말, 거짓말이다. 그것을 지킨자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다. (2012. 12. 28) *** 한글사랑이라는 그 운동이 표방하는 정신을 폄훼하고픈 생각은 추호도 없다. 하지만 내가 보는 한, 한글을 죽이는 범인은 그 한글사랑이다. 그건 사랑이 아니라 집착이며 윽박이다. 외래어? 남발한다 해.. 2022. 12. 28. 지증왕은 왜 우산국을 정벌했는가는 지도 한 장으로 충분하다 우산국, 곧 지금의 울릉도가 왜 그리 신라한테 중요했는지, 이 지도 한 장으로 충분하다. 신라가 북쪽으로 영토를 확장해간 과정은 그 통로 특성으로 볼 적에 육로와 해로 두 가지로 나뉘는데, 특히 해로를 통한 동해안 확장은 아주 집요해서 신라는 생득적으로 왜 동해를 장악해야 하는지를 알았으니, 이미 파사왕 무렵인가 강릉 일대를 먹어버렸으며, 자비 소지왕 무렵에는 다시 그 북쪽 함흥평야 일대까지 수중에 넣었다. 지금의 마운령 황초령 턱밑까지 신라가 새로이 개척한 영토를 순수해? 뭐 그렇다니깐 이 땅을 진흥왕이 개척한 줄로 착각하는 놈 천지다. 그 순수비는 신라가 새로 개척한 땅이라 했지, 진흥왕이 개척한 땅이라는 말은 한 적이 없다. 삼국사기 봐라! 신라가 진흥왕 때 저 땅을 개척해? 자비왕 소지왕 무렵에는.. 2022. 12. 23. 신라왕경을 장안성 평원경에 끼워맞추지 마라! 신라 왕경 연구가 왜 계속 헛다리 짚는가 하면 동아시아 맥락이라는 그럴 듯한 시각에서 툭하면 장안성 갖대 대고 평원경 갖다 대서 그렇다. 신라 왕경은 혁거세 건국 이래 천년간 단 한 번도 이동없이 그 천년간 간단없이 변모했으며, 시종 개발 압력에 시달렸으니 그 획기가 법흥왕 무렵이었거니와, 이 시절이 되면 이미 경주 분지내는 왕릉조차 쓸 땅이 없어(이는 말할 것도 없이 묘지가 늘어나서가 아니라, 주거 개발 압력 때문이었다!!!! 이걸 모르니 헛소리가 남발한다.) 외곽으로 튀어나갈 수밖에 없었다. 천년간 옴짝달짝도 못한 채 편의에 따라 변모한 경주 왕경을 제정신 박힌 놈이면 걸핏하면 신왕조 개창했으니 새술은 새부대를 외치며 허허벌판 찾아나서 LH 동원해 북극성에다가 딱 중심을 맞춘 다음, 그것을 기점으로 .. 2022. 12. 21. 파리, 꼴랑 한 번 보고 골백 번 본 듯한 환상 미라보 다리 아래로 세느 강은 흐르고 우리 사랑도 흘러가네 Sous le pont Mirabeau coule la Seine Et nos amours 파리를 가 봤어야 세느강이 흐르는지 미시시피가 흐르는지 다리껄이 있는지 없는지? 흘러가는지 뭉칬는지 알지? *** 2014년 9월 3일에 나는 저리 뇌까렸다. 믿거나말거나 저때까지도 나는 파리는커녕 프랑스라는 나라도 밟은 적 없고 불란서는 고사하고 로마는커녕 이태리도, 아테네는커녕 그리스도 밟은 적 없다. 그런 내가 2015년 11월, 해직되고서 2년을 룰루랄라 탱자탱자하던 시절에 저들 나라 저들 도시를 난생 첨으로 돌았으니 그때 내가 생각한 저들 도시 여행시리즈 제목이 였으니 감격에 계워 그랬겠는가 억울해서 그랬겠는가? 나중엔 저 제목이 너무 직설적이라 .. 2022. 12. 20. [김태식의 독사일기讀史日記] 법금法禁의 해체와 국민의 탄생 인류 문화사는 국민國民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이 추상명사이자 집합명사인 국민이 주권자로 설정된(혹은 상상된) 국가를 국민국가nation state라 한다.이 국민,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한 국민국가가 언제 어떻게 탄생했는지는 서구에선 논란이 적지 않은 줄로 안다. 한데 이 국민과 국민국가의 분기점이 명확히 갈라지는 곳으로 동아시아 문화권 만한 데가 없다.동아시아 전근대 법률 혹은 그에 버금 가는 각종 예제를 본 적이 있는가? 그 어디에도 개인을 말하지 않았으며 그 어디에도 그들의 권리를 말하지 않았다. 그들은 언제나 전체의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계급의 일부였고 공동체의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언제나 집합명사였고 언제나 추상명사였다.그런 계급 그런 공동체의 규범을 벗어나서는 안 된다는 강박과 윽박만이 존.. 2022. 12. 18. 붕괴와 폐허 그 자체가 미학美學이다 문화재는 무너져서도 안 되고, 부서져도 안 되며, 불에 타도 안 되며, 생채기조차 나서도 안 된다는 생각 버리기 전엔 야훼가 나타나도, 괴력난신이 나타나도 지키지 못한다. 사람이 일평생 살며 갖은 풍상 겪듯이, 그리고 파고가 있듯이 문화재도 마찬가지다. 천년 이천 년 수백 년을 살아남은 것은 동시대 건축물로 없어진 수많은 것에 비하면 새발의 피에 지나지 않는다. 부석사 무량수전이 고려시대 건물 같은가? 그것이 살아남은 까닭은 고려시대에 잘 지었기 때문이 아니다. 무수한 천재지변도 견뎠겠지만 더욱 냉혹히는 무수한 땜질의 승리다. 그런 까닭에 저것은 그 무수한 땜질의 기념비요 그렇기에 조선시대 건축물이면서 이십세기 이십일세기 건물이다. 석굴암 첨성대 안 무너진다는 말에 어떤 천박한 작자는 너가 책임지냐 따지.. 2022. 12. 17. 이전 1 ··· 190 191 192 193 194 195 196 ··· 4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