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77

이른바 유공토기有孔土器와 분주토기墳周土器, 그 환상을 깨뜨리며 http://m.kwangju.co.kr/article.php?aid=1598972400703211310 마한의 분주토기와 유공토기 지난 글 에서는 마한지역에서 분묘제사가 성행하였는데 이는 효를 바탕으로 공동체 의식을 다지기 위한 것이었음을 살펴보았다. 조상의 무덤에서 제사가 이루어졌던 증거물로는 무덤 주변 도�� m.kwangju.co.kr 마한지역 문화권 특징으로 거론하는 저 두 가지, 곧 몸통에다가 구멍을 뚫은 유공토기有孔土器가 주로 무덤 주변을 두른 배수로 기능을 겸한 도랑 주구周溝에서 집중 출토한다. 그렇다면 왜 그릇 몸통에다가 구멍을 뚫었는가? 그것은 그 그릇이 명기明器, 곧 죽은이를 위한 그릇임을 표시하는 장치에 지나지 않는다. 무엇인가 심오한 뜻이 있는 게 아니다. 구멍을 뚫음으로써 그 토.. 2020. 9. 6.
국가를 비판하며 국가더러 나서라는 형용모순 나는 대한민국이 국가의 힘이 지나치게 강대하다고 본다. 일전에 서너번 말했듯이 국가의 힘을 지나치게 키운 것은 그 국가의 힘을 비판하는 힘에 있다고 본다. 제왕적 대통령제를 비판하나 그런 비판이 그 힘을 키우는 독소라고 본다. 국가를 비판하고, 더구나 그 국가의 개입을 비판하면서 늘 하는 말이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고 한다. 이 시스템에선 국가는 더욱 힘을 키울 뿐이다. 이런 역설을 잘 보여주는 곳 중 하나가 대학사회다. 이들은 늘 국가더러 지원만 하고 간섭은 말라 한다. 지원을 받지 말아야 한다. 언제나 국가를 비판하면서 언제나 우리가 이리도 훌륭한 연구를 하는데 국가는 왜 지원하지 않느냐는 말 형용모순이다. 국가를 허수아비로 만들고 여타 사회 구성체랑 동등한 지위로 국가를 끌어내려야 한다. (2016... 2020. 9. 4.
조선시대의 만경평야? 만경평야... 조선시대에 이런 풍광 혹은 이 비스무리한 풍광 가능했을까? 난 아니라고 본다. 저 대부분은 황무지였다. (2016. 9. 4) *** 갈대밭이었다. 슾지였다. 잡초였다. 툭하면 물에 잠겼다. 우리가 아는 평야는 대부분이 식민지 유산이다. 보가 만들어지고 댐이 들어서며 수리협동조합이 우후죽순 등장하며 비로소 우리가 아는 곡창지대 평야가 맹글어졌다. 2020. 9. 4.
졸업과 동시에 사제 관계는 끝난다 내 주변, 그리고 이곳 페북으로 얽힌 친구 중에서도 선생질 하는 사람이 많아 대뜸 이 제목에 괜시리 기분나빠할 사람 있을지 모르겠지만, 사제 관계는 졸업과 동시에 종말을 고해야 한다. 졸업 이후, 아니 재학 기간에도 동등한 인격체에 의한 관계여야 한다. 문화재 업계로 국한한다. 이 사제 관계가 형성되는 곳은 특히 학예직이 유독 강한데, 이 관계가 청산되지 못해 질질 끌려가는 곳이 학예직 세계다. 한 번 선생은 영원한 선생이라 해서인지 모르나, 그 제자가 공직 혹은 다른 연구기관에 진출하고도 강고한 사제관계가 형성되니, 이러고서도 무슨 행정이 되겠는가? 문화재청이나 국립박물관 학예직으로 진출했으면, 그 순간에 사제관계는 청산해야 한다. 다이다이 맞다이적인 관계여야 한다. 이건 소위 제자들에게도 말할 것도 .. 2020. 9. 3.
고고학의 독점 유적은, 유물은 이 분야 전공자들, 예컨대 고고학도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보존이고 정비고 그것을 그들이 전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이유다. 학문적인 판단, 예컨대 그 유적 유물이 어느 시대 소산이고 그 성격은 무엇이고 하는 따위는 당신들이 해라. 기타 우수마발까지 우리가 해야 한다는 발상은 성립해서도 안되고 성립할 수도 없다. 한국 문화재정책의 비극은 그들이 처음이자 마지막까지 독점한다는 점이다. (2016. 8. 26) *** 그래서 문화재위원회 관련 분과는 해당 전공자를 외려 최소화해야 한다. 그 분야 전문가가 정책까지 책임질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가 책임을 지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그네들 손에서 정책이 놀아난다. 문화재위원회에서 이른바 전문가집단은 원천적으로 제외해야 한다. 2020. 9. 2.
허공을 향한 삿대질 문화재 현장에서 이런 일 너무 많이 봤다. 언제나 근엄하게, 그리고 언제나 정의롭게, 비난이 아닌 비판을 쏟아내는 사람을 많이 봤다. 한데 언제나 그 비판의 대상은 문화재청을 비롯한 정부기관이나 공공기관이다. 문화재청더러, 지자체더러, 이러이러해야 한다는 말을 쏟아낸다. 이런 비판 얼마나 쉬운 줄 아는가? 피드백이 없고, 명예훼손에 걸릴 염려도 없기 때문이다. 한데 그런 일이 언제나 정의인양 포장되곤 한다. 나는 허공을 향한 삿대질, 경멸한다. 싸우려거든 주민, 시민, 국민을 향해 싸우라. 돌진해봐라. 그에서도 살아남을 자신이 있거들랑 그에 돌진하여 옥쇄하라. 주민, 시민, 국민을 향해 도시락 폭탄 들고 돌진해 봐라. (2017. 9. 2) *** 이런 무책임을 보여주는 전형이 무슨 학회 이름으로 나오는.. 2020. 9.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