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75

하늘이 이순신을 단련한 녹둔도 전투 이순신을 임진왜란에 쓰려고 하늘이 단련한 사건이 녹둔도 전투라고 생각한다. 이 전투에서 이순신은 뒷날 임진왜란에서 겪은 모든 환란을 다 겪는다. 중과부적 모함 백의종군 이순신이 볼 때 임진왜란의 축소판 같은 싸움으로 정말 역사에 하늘의 손길이 작용한다면 아마 이 싸움 같으리라 생각한다. 그래서 일찌기 맹자는 다음과 같이 고난에 찌든 이들을 위로했다. 天將降大任於斯人也 하늘이 장차 이 사람에게 큰 일을 내리려 하면 必先勞其心志 반드시 먼저 그가 뜻을 세우는데 괴롭게 하고 苦其筋骨 그 육신을 피곤케 하며 餓其體膚 그 몸을 굶주리게하고 窮乏其身 그 몸을 궁핍하게 한다. 行拂亂其所爲 그가 하려는 바를 힘들게 하고 어지럽게 하는 것은 是故動心忍性 이로써 마음을 쓰는 중에 흔들리지 않을 성품을 기르고, 增益其所不能.. 2022. 11. 29.
그 사람네들의 취미, 서화 수집 1. 여러가지 의미로다가 꽤 유~명한 사람의 시집을 보게 되었다. 생각보다 꽤 재미있었다. 당대 이름난 정치가, 실업가, 관료, 학자들이 이 사람과 한시를 주고받으며 하하호호 하는 정황이 그려져서 말이다. 시 수준이 아주 높다거나 현학적이라거나 하는 건 아니지만, 오히려 그게 이 사람의 한계 또는 특징이라고 봐야 맞겠다. 2. 그런데 이 사람의 취미 중 하나가 바로 골동서화 수집이었다. 워낙 부자였으니 당연했겠지만 그의 소장품은 규모와 품질이 높기로도 이름났었다. 그런 면모를 자랑하고 싶어 근질근질했던지 이 시집 안에도 관련 내용이 적지 않다. 그는 높으신 분이었지만 틈나는 대로 서예가, 화가들을 불러 술 대접하면서 글과 그림을 받고 자랑하듯 시를 짓곤 했던 듯 하다. 한편으로는 자기 컬렉션을 소재로도 .. 2022. 11. 29.
[유성환의 이집트 이야기] 투탕카멘과 하워드 카터(1) 투탕카멘의 시대 *원래 연재할 생각은 없었는데 재미있는 이야기니까 한 번 정주행해 보겠습니다. 모쪼록 즐겁게 읽어주세요. 감사합니다.^^ 투탕카멘 Tutankhamen (재위 기원전 1336~1327)이 9살로 왕위에 올랐을 때 이집트는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해 있었습니다. 250년간 나일강 유역을 지배한 화려한 파라오 왕국 이집트가 번영의 절정에서 급격한 쇠퇴의 나락으로 떨어진 것입니다. 그의 부왕 아멘호텝 4세 혹은 아켄아텐 Amenhotep IV / Akhenaten (재위 기원전 1352~1336)은 소위 ‘일신교 혁명 Monotheistic Revolution’으로 유명한 ‘이단왕 heretic king’이었습니다. 당시 이집트는 파라오가 정치와 종교를 아우르는 절대 권력을 휘두를 수 있었기 때문에 중세 유럽에.. 2022. 11. 29.
[2022 베를린 풍경(18) 함부르크(Hamburg)行-② 로텐바움 세계문화예술박물관] by 장남원 [2022 베를린 풍경(18) 함부르크(Hamburg)行-② 로텐바움 세계문화예술박물관 Museum am Rothenbaum–Kulturen und Künste der Welt(MARKK)) (舊,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 로텐바움 세계문화예술박물관은 과거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이라 불렀다. 1879년에 개관했으니 올해로 143년. https://markk-hamburg.de/ ‘로텐바움’은 박물관이 위치한 동네 이름을 딴 것으로서 줄여서 “MARKK”라고 부른다. 몇 년 전 소장품 중 조선시대 문인석 2점이 불법 경로로 취득한 것이라 확인하고는 자진하여 한국에 반환한 일로 유명한 곳이다. https://m.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19022108100.. 2022. 11. 28.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충분히 있을 법한 우나사카번海坂藩 이야기 일본 시대 소설에 자주 나오는 번으로 海坂藩 우나사카번 이 있다. 기자 출신으로 대히트를 친 대중소설을 많이 펴낸 藤沢 周平 후쿠자와 슈헤이 소설에 자주 나오는 번이다. 대중소설을 많이 썼다고 하지만 요시가와 에이지상, 기쿠치 칸 상 등 문학상도 받아 평단에서도 상당히 인정받는 것으로 알려진다. https://ja.wikipedia.org/wiki/%E8%97%A4%E6%B2%A2%E5%91%A8%E5%B9%B3 藤沢周平 - Wikipedia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ja.wikipedia.org 이 사람이 쓴 소설은 영화로도 꽤 제작됐다. 한국에서도 개봉되어 좋은 평을 받은 기무라 다쿠야 주연 "무사의 체면 武士の一分 " 이나, "황혼의 사무라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된 た.. 2022. 11. 28.
궁중에서 쓰이는 말 궁중에서 왕, 왕비 등을 부를 때 "마마"라고 한다. 이 "마마"라는 말이 중국에서 왔음은 조선시대 임금들도 알고 있었다. 영조 대에 보면 이 "마마"라는 말이 어디서 왔는지, 왕과 신하들이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이 나온다. 우리나라 궁중용어를 보면, 몽골 기원인것도 꽤 있다. 고유어라면 모르지만 한국이 중국 지배를 받던 나라도 아닌데 어디서 이 용어들이 들어왔을까? 특히 단순한 외래어가 아니라 왕실 전문용어에 가까운지라 이 말들이 외국에서 들어왔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이미 전문가분들 연구가 있는지 모르겠지만, 필자 생각으로는 몽골 간섭기에 들어온것 아닐까 한다. 왜 하필이면 몽골간섭기일까? 우리나라 궁중 잡무 관리체제가 이때 크게 바뀌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원래 궁녀와 환관들이 왕을 근시에서 돕는 그.. 2022. 1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