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77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오방색, 다섯 색깔에 담긴 이야기 2편 오방색, 다섯 색깔에 담긴 이야기 2편 유물카드를 들고 직접 전시실에서 유물을 찾아 봤습니다. 코로나19가 진정되어 박물관에 학생들로 웅성웅성 거리는 그날이 올 때까지 파이팅 입니다. 2020. 6. 1. 죽순 찾아 남행열차 죽향竹鄕 담양 땅 영딕 公이 근자 죽순 잔뜩 꺾어 올린 현지 사진 용심 나서 나도 죽순이 구경하자 남행열차 급행 타고는 아무데나 내려 아무데나 대숲을 갔더랬다. 쫌 농가돌라 캤디마이 입 씻고 쌩까는데 낸들 재주 없어 손수 찾아 나섰더랬다. 살피니 이미 순을 넘어 나무 단계라 억세서 먹지도 못할 판국이라 분노의 셔터질만 하고 말았다. 장모님께 일렀으니 이번 주말엔 죽순 거둬오리다 했더니 장모님 이르길 난 죽순 삶을 줄 모르니 삶아달라 하시는데 영덕 공아 죽순 삶아 보내주오. 2020. 5. 31. 시루의 일대 변혁 현재의 우리한테 익숙한 시루 똥꾸녕이다. 우연의 소치가 아니라 음양오행이 작동한 구녕 배치다. 삼국시대 시루도 다 이래서 구멍이 딱 음양오행을 구현한다. 가운데 구멍을 중심으로 테두리로 구녕 6개 8개 등등으로 박는다. 한데 이 시루가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구녕 숫자가 중구난방이라 바늘로 풍선 찌르듯 곳곳에 구멍을 뽕뽕뽕뽕 뚫는다. 그래서 구멍 숫자가 졸라 많다. 이 시루 똥꾸녕 디자인 변화를 통해 한반도에 음양오행설이 언제 상륙 정착했는지를 안다. 2020. 5. 31. 사비시대 백제 돌삐 도관導管 1,400 year old Stone Water Pipe from Baekje Period Excavated at Sabi City Wall, Buyeo, Chungcheongnamdo Province 정확한 기능을 현재로선 짐작키 어렵다. 상수도관 하수도관으로 썼을 수도 있고 그것을 포함한 물대기 전반으로 사용했을 것이기에 그냥 도관導管이라고만 해둔다. 재질은 돌삐라 촬영은 2017. 5. 31 부여다. 조사자인 심상육 선생에 의하면 출토지는 부여 청산성 정상부, 사비도성 동북우 지점이라 하며 이와 흡사한 같은 석제 도관이 국립부여박물관에 1점인가 소장된 것으로 안단다. 발굴조사를 통한 첫 확인 사례다. 아마 발굴보고서는 나왔을 것이다. 사비도성 쌓을 적에 들어갔으니 그 나이는 대략 천사백살이다. **.. 2020. 5. 31. 추락하는 영화관엔 날개가 없다 백년만의 영화관 외출이라 아들놈이 영화보러 가재서 집구석에 있어봐야 잠만 자니 그래 가자 해서 인근 용산 cgv로 조조행차했다. 코로나19 직격탄 맨 먼처 맞아 좌초한 데로 영화관 만한 데가 있을까? 나 역시 얼마전까지 명색 영화 담당 문화부장으로 바쁘다는 핑계로 영화관 한번 제대로 가 보질 못해 못내 미안했거니와 그리하여 그 참상이 어떤지는 간접으로만 접할 뿐이었으니 일요일인 오늘 그 현장을 뒤늦게 살핀다. 영화광인 아들놈도 일찌감치 넷플릭스로 전환하고는 방구석족 된 지 오래라 저 또한 하도 간만이라며 하는 말이 가관이라.. 팝콘 맛을 잃어버렸어 하는 게 아닌가? 그래 대따시 큰 팝콘 한 사발 사서 부자지간 우거적우거적 씹어돌리자 도원결의하면서도 이리 손님이 없는데, 더구나 조조인데 못내 팝콘을 팔랑가.. 2020. 5. 31.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오방색, 다섯 색깔에 담 긴 이야기 1편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교보재 소개 오방색, 다섯 색깔에 담긴 이야기(1) 상설전시와 연계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초등학교 3~6힉년을 주 대상층으로 하고 있습니다. 오방색의 전통적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전시실에서 해당하는 유물을 찾고 주어진 미션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교보재를 구성하였습니다.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 아이들이 유물카드를 들고 전시실을 돌아다니며 즐거워 하는 날을 기다립니다. 분량 조절 실패로, 부득이 1편, 2편으로 나누었습니다. 우선 교보재 중 활동지를 소개하는 1편 부터 올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0. 5. 31. 이전 1 ··· 2701 2702 2703 2704 2705 2706 2707 ··· 36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