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84

기회의 균등과 공무원, 특히 학예직의 꿈 *** 이하는 March 27, 2017 글이어니와 전재한다. 그제 문화재 전문기자를 희망한다는 어느 청년의 편지를 받았다. 나한테 방법을 묻는데 답장을 하지 못하고 있다. 게을러서겠지만, 글쎄 어찌해야 할지를 나 역시 갈피잡지 못하는 까닭이다. 그에서 이 스무살 난 청년이 묻기를 "문화재 전문기자를 하려면 사학과를 나와야 하느냐"고 한다. 다른 거창한 것 몰라도, 이에 대해서만은 격발하는 바가 없지 않아, 늘상 하는 말로써 다시금 저 논제와 관련해 평소 이곳저곳에서 뇌까린 내 생각들을 정리해 몇 마디 보태어 재방송하고자 한다. 우리는 은연중 과거제는 전근대 유산이요, 그러면서 그 대안으로 추천제가 선진 모델이 되는양 생각하는 경향이 다대하다. 이는 결국 봉건제와 중앙집권제를 둘러싼 쟁투와도 같아, 각기.. 2019. 3. 27.
어플이 밀어낸 화초사전 묵직한 올컬러 사전이 신간으로 배달되었으니, 살피니 화초사전이라. 중년 남자들한테는 돌씽의 로망을 심어준다는 어느 티브 프로그램 《나는 자연인이다》든가? 그에 출연하는 산사람들은 누구나 구비하더라. 각종 화려찬란한 사진으로 우리가 흔히 접하는 화초 종류와 그 습생을 정리했거니와, 글쎄다. 저 자연인들 말고 저처럼 무거운 책자 이젠 관상용 완상용 아닌가? 사진 한장 찍어 화초 이름 알려주는 어플에 얹이면 그 꽃 그 식물 그 나무 단박에 아는 시대를 우리는 산다. 저런 사전류 책자 일일이 들춰보며, 무슨 꽃인지 궁구하는 과정이 如컨대 치매 예방이니 하는데 도움이 썩 되지 않을 것은 아니로대, 종래와 비교하면 저 꽃이 무슨 꽃이며, 저 식물이 무슨 식물인지 몰라 궁금 혹은 의아로 남겨둔 것들을 순식간에 어플 .. 2019. 3. 26.
팟빛 같은 봄 젤로 오묘한 빛깔 아닌가 한다. 솜털 송송하고 깔깔 웃으면 젓비린내 가득한 생후 백일짜리 아해 웃음 같은 빛깔이다. 그리하여 자꾸만 애무하는 색깔이다. 꼭 화살나무만 이러하리오? 예서 조금 더 자라 카락처럼 늘어뜨릴 적이면 데쳐 참기름 발라 먹곤 했으니, 별미가 괜시리 미안하기는 하나 그 데친 색감도 색시 같더라. 저 연초록 견주어 가죽나무 이파리 같은 돌단풍 빛깔도 또다른 봄의 전령이라, 그런 널 보면 미꾸라지가 생각나기도 하니 번질번질함 때문이라 해둔다. 봄이 얼만치 왔는지 둘러치다가 정독도서관 한 켠에서 붉음을 탐하기 시작한 명자나무를 조우한다. 이 계절 봄은 팟빛이라 해둔다. 2019. 3. 26.
스포츠광 고려 의종의 대중정치와 격구 고려 제18대 임금 의종(毅宗, 재위 1146~1170)은 은닉(隱匿)해야 하는 동아시아 군주상의 이단異端이다. 그는 스포츠 광이다. 폴로 경기에 미쳐 날뛰며 날마다 격구를 했다. 밤을 밝혔다. 궁성 사방에다가 격구장을 만들었다. 이는 대간들의 반발을 불러왔다.이는 군주는 자고로 이러해야 한다는 무언의 합의에 대한 배신이었다. 군주가 구중심처를 박차고 나가 대중 앞에 설 때 이를 가장 두려워한 자들이 있다. 대중 앞에 선 군주는 대중과 직거래를 한다. 그들의 박수갈채는 관료들에겐 위협이었다.의종이 결국엔 쫒겨난 까닭이다. 그의 이단적인 행보를 《고려사절요》 제11권 의종 장효대왕(毅宗莊孝大王)에서 추려본다. (의종은) 휘(諱)가 현(晛)이며, 자는 일승(日升)이요, 그 이전 휘가 철(徹)이니, 인종(仁宗.. 2019. 3. 26.
주석注釋의 숫자가 그 텍스트의 열독율을 말해주는 것은 아니다 문장이 간단할수록 후대 무수한 주석注釋(anecdotes)을 양산하니, 공자가 산삭刪削했다는 노魯나라 역사인 《춘추春秋》가 대표적이다. 문장이 심오할수록 후대 무수한 주석을 양산하니, 반고가 撰한 《한서漢書》가 대표적이다. 따라서 후대 주석본 숫자가 많을수록 그 텍스트가 많이 읽힌 증거로 보는 것은 섣부른 주장이다. 《사기史記》에 견주어 《漢書》가 압도적으로 주석본이 많은 이유는 문장이 더럽게 어렵기 때문이지, 이른바 열독율이나 독자숫자에서 《한서》가 《사기》를 압도한 적은 유사有史 이래 한번도 없다. 혹자 이 분야 직업적 연구자 중에는 각종 전거典據를 잡다스레 들면서 중국사 어느 시기에는 《한서》가 《사기》에 비해 존중되었느니, 더 많이 읽혔다고 주장하는 이도 있는 듯하고, 국내에 번역된 어느 일본인 .. 2019. 3. 26.
성근 봄 봄이 누군가에게는 고통이기도 할 것이다. 또 누군가에겐 찬란하기도 할 것이다. 성근 봄은 아직은 조금은 아픔이다. 그제 구례 화엄사에서 2년전 오늘 나는 이리 쓰고 저들 사진을 첨부했다. 바뀐 것이 없어 신기해서 다시 적어둔다. 2019. 3.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