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38

60세 이후는 단행본으로 승부를 내야 연구자는 논문으로 모든 것을 말한다는 말이 있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동료연구자에 의해 심사가 완료된 논문을 Peer-Reviewed Article이라 하는데, 이를 학계에서 다른 논문들보다 위에 놓고 평가해주는 경향이 있다. 이는 수백년에 걸친 학문의 발전과정에서 얻어진 관행으로 앞으로도 학계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계속 될 것이다. 다만 연구와 성과 발표가 60이후에도 논문의 형식으로 계속되어야 할 것인가. 이 문제에 관해 오랫동안 생각해 왔는데 결론은 그것이 아닌 것 같다. 이 연구 발표의 매체 차이가 바로 60이전과 이후를 가르는 차이가 될 것이라 보는데, 60이후가 그 이전까지는 불가능한 통섭적 연구의 큰 그림을 그리는 것이 목적이라면, 당연히 60이전과는 다른 방식의 성과물 도출을 시도해야 한다. .. 2023. 12. 19.
북유럽의 다빈치 알브레히트 뒤러, 인천을 오다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기획특별전 북유럽의 다빈치' 알브레히트 뒤러의 판화를 만나다 12월 19일부터 내년 3월 31일까지 전시 알브레히트 뒤러 Albrecht Dürer (1471~1528)는 내 세대에는 매우 익숙한 외국 화가다. 왜? 미술교과서에 나왔기 때문이다. 다만 그가 왜 유명한지는 몰랐고, 그럼에도 그의 자화상인가는 너무나도 유명했다는 정도만 기억한다. 미술에 그닥 조예가 없는 분들도 아래 자화상들을 보면 어? 이거? 하실 듯하다. 딱 보면 한 성질하게 생긴 얼굴이다. 그러면서도 어쩐지 중세 냄새 혹은 르네상스 냄새가 난다. 이런 초상들을 보면 그냥 그림쟁이 아닌가 하겠지만, 그가 특장을 발휘한 데는 판화다. 재질로 보면 목판화와 동판화에 특화했다. 독일 뉘렌베르크 출신인 그를 일컬어 흔히 북유.. 2023. 12. 19.
[전문직으로서의 학예직, 그 이상야릇한 처지를 보며] (3) 전공은 내가 만든 것이지 학위랑은 눈꼽만큼도 관계없다 그래 이젠 이 이야기도 까발려야겠다. 학예직을 보면서 그 고생하는 장면들이 안쓰럽기는 하면서, 한편으로는 대견하기도 하면서, 그럼에도 제일로 꼴보기 싫은 장면이 내 전공은 무엇입니다라는 스스로의 규정이다. 전공? 그네가 말하는 전공은 아주 간단해서 대학원 석박사 학위논문을 말하는 것이라, 거기서 내가 고고학을 했으면 나 스스로 고고학도라 하고, 미술사를 하면 미술사학도라 하며, 고건축을 했으면 고건축학도라 규정한다. 그러면서 왈, 것도 세부 전공이 있어 같은 고고학이라 해도 어떤 친구는 기와 전공이라 하고, 어떤 친구는 토기라 하며 어떤 친구는 무덤 고고학이라 하거니와, 그걸로 끝인가? 이 친구들 매양 하는 말이 나는 신라고분 전공인데, 나는 백제토기 전공인데, 나는 도자기 전공인데 하는 말이라, 또 이.. 2023. 12. 19.
[백수일기] 보장 받지 못하는 낮잠 백수한테 낮잠은 본잠이다. 간단히 말해 백수는 밤을 분주하게 보내고 낮을 밤으로 대체하는 사람이다. 백수인양 하면서 낮에 부지런히 움직이는 사람을 진짜 백수들은 증오한다. 가짜 백수 pseudo-백수인 까닭이다. 이 지점에서 강요백수랑 자발백수는 갈라진다. 강요백수 C는 낮에 부지런히 움직이고 밤에도 움직이지만, 나 같은 자발 백수는 밤, 더욱 정확히는 새벽을 이용해 그날 할 일을 다 해치운다. 한데 이 진짜 백수 생활을 진짜로 곤란케 하는 방해꾼들이 있다. 지인들 전화야 그렇다 치고... 나는 주로 아침 6시쯤 잠이 든다. 진짜 잠을 잔다. 한데 꼭 9시 무렵 거실에서 요란한 울림이 들린다. 장모님이시다. 아침 먹으라는 깨우침이다. 돈다. 조금만 늦으면 불호령이시라, 그 소리 듣고는 비상걸린 군발이마냥.. 2023. 12. 19.
[전문직으로서의 학예직, 그 이상야릇한 처지를 보며] (2) 문화재를 한다는 것 그 자신 처지를 반영한 것이는 하겠지만, 꼭 공무원으로 국한할 문제도 아니요 민간영역에도 나는 다 해당한다고 보는데 무엇이 학예직인가 하는 데 대해서는 오랜 기간 원주시에서 학예직으로 근무하다 얼마 전 퇴직한 박종수 선생이 정곡을 찌르는 말을 했다고 본다. 그가 말하기를 지자체에서 학예직은 그 지방 문화재청장이라 했다. 물론 이는 그 시절 지자체에 학예직 꼴랑 한 명 있을 시절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지금도 사정이 별반 달라지지 아니했다는 점에서, 또 지자체 영역을 벗어나 민간영역으로 간다 해서 인력이 더 넘치는 것도 아니라는 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다고 본다. 나는 언제나 저 말이 맴돌거니와, 저 말에는 여러 함의가 있다 보거니와, 나는 저 말을 문화재학으로 이해한다. 언제 문화재청장이 한가롭게 전공 따져서.. 2023. 12. 19.
신라와 백제의 수레 바퀴 흔적 고조선의 수레가 말이 끌었는가 소가 끌었는가는 솔직히 필자로서는 백프로 확신은 못하겠다. 고조선 유물을 보니 세형동검과 수레 부속이 나오는 무덤에서 말 재갈이 함께 나온 경우가 있어서다. 단 이것이 그 수레를 말이 끌었다는 것인지 아닌지는 모르겠다. 고구려의 예를 보면 서기 4세기 이후에는 귀인들의 수레는 소가 끌었던 것은 확실해 보이고, 이 시점이 되면 말과 소는 확실한 업무분담이 시작된것 아닌가 싶다. 말은 기승용으로 소는 귀인의 자가용끌기로. 아마도 김단장께서 올린 글처럼 북위에서 고구려로 전해진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이러한 전통이 말-소의 전파과 함께 일본에도 전해져 그 모양 그대로 헤이안시대에도 이어진 것이라 생각한다. 이렇게 보면, 가끔 보고되는 백제와 신라 왕성이나 성에서 확인했다는 수.. 2023. 12. 19.
[조선 세종시대의 장영실] (4) 자격루 제작과 출세길 4. 자격루 제작과 출세 세종은 재위 15년(1433) 자격루를 제작한다. 그 아이디어는 놀랍게도 세종 자신의 머리에서 나온 것이다. 자격루란 물시계 일종이다. 그 원리는 중언부언하지 않겠다. 하지만 세종이 제아무리 명민한 군주라 해도 그는 설계자였지 제작자일 수는 없다. 그 아이디어와 설계도를 실제로 구현할 인물이 있어야 한다. 그 일을 장영실이 맡아 훌륭히 수행한 것이다. 하니 당연히 포상이 따라야 한다. 이해 9월 16일자 다음 기록은 그 포상을 정리한 것이다. (임금이) 안숭선에게 명하여 영의정 황희와 좌의정 맹사성에게 의논하기를, “행 사직(行司直) 장영실(蔣英實)은 그 아비가 본래 원(元)나라의 소주(蘇州)·항주(杭州) 사람이고, 어미는 기생이었는데, 공교(工巧)한 솜씨가 보통 사람에 뛰어나므.. 2023. 12. 19.
[화랑세기 트라우마] (1) 용수-용춘의 문제 화랑세기 출현 이후 한국고대사학계, 특히 신라사학계에는 ‘화랑세기 트라우마’에 견줄 수 있는 현상이 있다고 했거니와, 그것을 잘 보여주는 사건 중 하나가 용수龍樹-용춘龍春 문제다. 두 이름은 김춘추 계보를 논하면서 그 아버지로 등장하는 표기로, 화랑세기 출현 이전에는 이 두 표기를 딴 사람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다. 하지만 화랑세기에는 뜻밖에도 이 둘이 다른 사람으로 드러났다. 한데 이에 놀란 사람들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이 두 표기가 등장하는 맥락을 다시 살피니, 정말로 딴 사람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해 이렇게 기록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집필진이 용수-용춘을 딴 사람으로 인식했느냐 하는 논란이 있다. 나는 적어도 삼국사기는 그랬다고 본다. 하지만 집필진이 그렇게 인식했건 아니했건, 이건 중요하지않다... 2023. 12. 19.
말과 소가 세트를 이룬 북위시대 귀인 행차 신동훈 교수 관련 글들, 그리고 그에 대한 바로 앞 코리끼표 명나라 만력제 행차와 연속하는 관점에서 북위시대 귀인 행차를 새삼 소개한다. 북위는 널리 알려졌듯이 북방 선비족이 이룩한 왕조로, 지금의 중국 동북방에서 밀고 내려와 세력을 확장하다 지금의 산서성 북쪽 대동大同에서 통일 왕조를 이룩하고는 이내 우리도 변방에서는 살 수는 없다 해서 낙양으로 천도하고는 중국 북방을 통일한다. 선비족은 본래 유목 부족이다. 그래서 말 없이는 살 수 없다. 그런 그들도 느긋한 행차에 쓰는 수레는 소를 썼다. 말은? 전쟁통에는 당연히 전투에 말을 썼다. 이 전쟁통도 우마 쓰임새에서 주목해야 하는 점이 있는데, 군량미나 무거운 무기는 모조리 소가 옮겼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전쟁통에도 말과 소는 언제나 세트로 움직였다... 2023. 12. 19.
소가 끌다 코끼리로 교체된 명나라 황제의 수레 요새 신동훈 교수께서 맹렬히 우리가 흔히 마차馬車로 아는 것이 말이 끄는 마차가 아니라 실은 소가 끄는 우차牛車일 가능성을 지적하는 글을 연속으로 쓰고 계신 바 간단히 그 맥락을 추리자면, 귀인貴人으로 분류할 만한 돈께나 있는 사람들은 나들이에 말을 이용하지 않았고 소를 이용했다는 말이 되겠다. 그렇다고 말을 타지 않았는가 하면, 꼭 그런 것은 아니어서, 군인들은 당연히 말을 탔다. 소 타고 싸울 수는 없는 법이다. 그런 날렵함을 무장해야 하는 사람들은 당연히 말이 도입되고서는 탔다. 하지만 그런 시급성을 다투지 아니하는 사람들한테, 또 말 타기에는 아무래도 서툴 수밖에 없는 사람들한테 말은 굉장히 위험한 교통수단이었으니, 낙마사고로 죽는 일이 그리 많았으니, 이는 요새 교통사고를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2023. 12. 19.
전문직으로서의 학예직, 그 이상야릇한 처지를 보며(1) 심심찮게 이 문제를 토로하는 글이 이른바 학예연구직으로 분류한 직업군에서는 많다. 그제도 우리 THE HERITAGE TRIBUE 필진 중 한 분이 스페셜리스트여야하는가 아니면 제너럴리스트를 겸해야 하는가를 토로하면서 후자가 되어야 하지 않느냐 하는 조심스런 의견을 제시했으니, 이 점에서 같은 학예직으로 분류하지만 처지가 조금 다른 지차체 학예연구사인 다른 필자 이서현 선생은 또 다른 맥락에서 전문성을 살리지 못하는 현실에 분노에 가까운 토로가 있었다고 기억한다. 두 분 모두 같은 학예직이나 사정은 조금 달라서, 전자가 어느 지자체 산하 박물관에서만 현재까지 근무한 까닭에 지금까지 한 일만큼은 전문직이라 분류할 수는 있겠지만, 그런 일을 하면서도 점점 제너럴리스트가 되어야 한다는 심적 외적 압박이 심해지.. 2023. 12. 19.
남산 정약용 동상도 낙서 남산도서관 앞 다산 정약용 동상도 당했습니다. 동상받침대 뒷면에 "친 응 冊 京 友 ㄴㄴ斗" 등의 글자가 씌어 있지 뭡니까. 주말 사이 경복궁 영추문쪽 담장에 낙서가 연속으로 발견되어 한바탕 홍역을 치렀는데 남산에 자리한 동상에도 낙서가 되어 있었습니다. 경복궁은 사적이니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처리하면 되지만 남산 동상들은 (아직은) 문화재가 아닌 까닭에 어찌 될지 모르겠습니다. 문화재가 아니라도 공공물의 원형을 임의로 훼손하면 안되겠지요. 엄동설한에 수습하느라 고생하실 분들이 떠오릅니다. #남산정약용선생상 #낙서 #대체왜 *** 인근 안중근기념관 이주화 선생 전언이다. 2023. 12. 18.
[백수일기] 忙年이 된 忘年 이번주 자발 백수 행적은 전국을 들쑤시고 다녀야 한다. 일주다. 어찌하다 보니 강요 백수에 버금하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떠날 때는 깨끗했다. 한달을 통째로 비워야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였다. 하도 동네방네 소문을 냈더니 혹 있었을지도 모르는 의뢰도 떨쳐버리는 효과가 있었으니 참 좋았다. 가끔 그를 모르고 연락오는 사람이 있었지만, 다행인지 불행인지 강요백수한테 떠넘길 대타는 없었다. 주로 기자 혹은 전직 기자한테 요청하는 그런 사안이었던 까닭이다. 보도자료 작성법이라든가 이런 걸 cb를 추천할 수는 없었다. 왜? 기레기가 아니니깐. 밀어내기 시즌인갑다. 이곳저곳에 올려둔 이름이 화근이라, 연말 밀어내기 차원인지 피하기 곤란한 자리에 오라니 어쩌겠는가? 주중 아버지 제사라 그를 고리로 왔다리갔다리.. 2023. 12. 18.
일본 헤이안 말의 귀인용 소 수레 일본의 "헤이지모노가타리 에마키 평치물어회권 平治物語絵巻"에 소가 끄는 귀인용 수레 관련하여 좋은 그림이 많다. 참고들 하시기를. 공경들은 모두 소가 끄는 포장 수레를 탔다. 말탄 이들은 모두 무사다. 기본적으로 무사들은 말을 타고 공경 귀족은 소가 끄는 수레를 탄다는 점에서 고구려 안악 행렬도와 비슷함을 느낄 것이다. 고구려든, 백제든 왕족은 소가 끄는 수레를 탔을 것이다. 고조선은 달랐을까? 고조선은 말이 끄는 수레를 탔을까? 2023. 12. 18.
안악 3호분 행렬도 안악 3호분 행렬도. 충주 고구려비 전시관에 있는 동영상 복원이라고 한다. 가운데 귀인 주변은 기마무사들이 호위하지만 정작 귀인의 수레는 소가 끌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귀인의 수레를 소가 끌고 있는 것은 고구려만 그런 것이 아니라 헤이안 시대 일본도 그랬다. 고조선-낙랑이라고 달랐을까? 필자는 고조선-낙랑의 청동제 수레부속이 들어간 수레를 정말 말이 끌었을지, 한 번 검토해 볼 필요는 있다고 본다. 2023. 12. 18.
다급한 서산 부석사, 발굴까지 했다는데 "서산 부석사, 늦어도 고려 전기 창건돼 1330년경 사세 확장" 송고시간 2023-12-15 10:13 석축·건물지 발굴조사 결과 보고회…참외형 주전자 조각 등도 출토 "서산 부석사, 늦어도 고려 전기 창건돼 1330년경 사세 확장" | 연합뉴스(서산=연합뉴스) 정윤덕 기자 = 일본에 있다가 절도범에 의해 국내로 들어온 고려시대 금동관음보살좌상 소유권을 놓고 일본과 기나긴 소송을 벌였던...www.yna.co.kr 이 소식을 어찌 봐야 하는지 모르겠다. 이미 기차는 떠났는데, 설혹 저렇게 급하게 파서 부석사 창건 연대를 고려 전기로 확정한다한들 그것이 무슨 소용이 있는지는 솔까 나는 모르겠다. 더불어 부석사를 파서 고려 전기 유물이 나왔다 해서, 그것이 적어도 그때는 부석사에 사찰이 있었다는 직접 증거.. 2023. 12. 18.
[조선 세종시대의 장영실] (3) 걸핏하면 뇌물죄로 걸려든 광물 전문가 3. 광물 전문가 이제 장영실이 어떠한 인물인가를 실록에 드러나는 그의 행적을 통해 정리해 보자. 현재 우리에게 주어진 자료에 의하건대 그가 맨 먼저 등장하는 시점은 세종 7년(1425) 4월 18일이다. 이 날짜 한 기록에 의하면 임금이 지금의 평안도 도지사 정도에 해당하는 평안도감사에게 명을 내리기를 “석등잔 대·중·소 아울러 30개를 이제 가는 사직(司直) 장영실(蔣英實)이 말하는 것을 들어 준비하라” 고 했다는 것이다. 석등잔이란 돌로 만든 등잔을 말한다. 그 사용처가 궁중이었음을 말할 나위가 없다. 당시에는 전기가 있을 리 만무하니 밤에는 촛불을 켜서 밤을 밝혔다. 등잔은 말할 것도 없이 촛불 받침대다. 한데 이에서 말하는 석등잔이 구체적으로 어떤 물건인지는 다른 사례를 검토해 봐야 한다. 그 .. 2023. 12. 18.
경복궁 고궁박물관 감시카메라 실태 조사해야 이번에 비름빡 스프레이 낙서가 발생한 경복궁 주변 일대에 설치한 감시카메라는 운영 기관별로는 아마도 경찰 쪽과 문화재청 두 기관에서 설치한 것들이 있을 것이다. 혹 종로구청 쪽에서도 관할하는 것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경찰조사 과정에서 이 문제가 대두할지 모르겠지만 이참에 이 실태도 쏵 조사해봐야 한다. 몇 대가 설치됐으며, 개중 몇대가 제대로 작동했는지, 혹 껍데기만 씌워놓고 카메라 설치했네 하는 것은 아닌지 이런 것들이 수사 혹은 조사대상이 될지 모르지만 그것이 꼭 경찰이 아니라 해도 실태 점검은 있어야 한다. 난 천성에서 감시카메라 설치 좋아하지 않는다. 감시와 처벌 그 대표 증좌가 무수한 감시카메라인 까닭이다. 다만 기왕 설치한 것은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는 믿음은 있다. 왜? 세금이 투하됐으니깐 말.. 2023. 12. 18.
다시 낙서 당한 경복궁 담장, 모방 범죄? 우롱? '스프레이 테러' 경복궁 담벼락 수사중인데…하루만에 또 낙서 송고시간 2023-12-18 07:18 (서울=연합뉴스) 안정훈 기자 =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인 서울 경복궁 담벼락이 스프레이 낙서로 훼손된 지 하루 만에 또다시 '낙서 테러'를 당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1218009000004?section=culture/scholarship '스프레이 테러' 경복궁 담벼락 수사중인데…하루만에 또 낙서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안정훈 기자 =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인 서울 경복궁 담벼락이 스프레이 낙서로 훼손된 지 하루 만에 또다시 '낙서 테러'를 ... www.yna.co.kr 같은 친구들이 했다면 이건 분명 반달리즘 vandalism 수준에 들어간 것.. 2023. 12. 18.
부실한 문화재 사진, 그건 역사 인멸이다 문화재 사진 역시 다른 부문과 마찬가지로 시간 혹은 영속성이라는 관점에서 그것이 비교적 영속하는가, 아니면 순간에 지나치고 마는가에 따라 분류가 가능하니, 그 품질이라는 관점에서 후자가 특히 중요하다. 왜? 그 순간이 아니면 담을 수 없는 장면이기 때문이다. 무슨 말인가? 예를 들어보자. 전자의 대표로 불국사 혹은 그 일부인 석가탑과 다보탑을 든다. 이 불국사 역시 시간 혹은 계절에 따라, 또 기상 조건에 따라 왕청왕청 달라지기는 하지만, 또 그것이 순간 포착이기는 하지만, 그렇다 해서 우리가 지금 보는 그 전체 풍광 자체가 크게 변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이런 장면은 오늘 안 되면 내일, 내일 안 되면 모레 담을 수도 있다. 반면 같은 문화재 현장이라 해도 발굴현장은 왕청나게 달라서, 지금 모습은 오.. 2023. 12. 18.
대학이 기업 아니면 무엇인가? 이 풍광은 보니, 작년 오늘, 그러니깐 2022년 12월 18일 덕성여대 교내를 우연히 지나다가 촬영한 것이라, 저 장면을 보면서 그날 나는 적기를 모든 대학의 문제는 저에서 비롯한다. 대학이 왜 기업 아니란 말인가? 라고 물었으니, 내 주변에 대학에 봉직하는 사람이 하도 많고, 또 저 사안을 두고 일정한 괴리가 발생하는 까닭에 물론 생각이 아주 다른 부문이 많을 것으로 보지만, 저 근간하는 생각은 나는 변함이 없다. 이는 대학 바깥에서 대학을 바라보는 문제라는 관점에서 봐 주셨으면 싶은데, 대학은 기업 맞다. 기업이라는 본질을 벗어난 대학은 있을 수가 없다. 물론 저런 반박이 왜 생기는지는 익히 이야기는 많이 들었고, 그런 생각에 일정 부문 동의할 수도 있지만, 그래서 흔히 나오는 말이 대학이 직업학교.. 2023. 1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