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971

37년 만에 다시 판 부여 용정리 소룡골 백제건물지 부여 용정리 소룡골 백제건물지, 백제 왕실 관련 시설 확인 송고시간 2023-04-07 16:43 "3단계 문화층·단계별 건물지·석축시설 확인…국가사적 승격 추진" https://www.yna.co.kr/view/AKR20230407108200063?section=culture/all&site=topnews01 부여 용정리 소룡골 백제건물지, 백제 왕실 관련 시설 확인 | 연합뉴스(부여=연합뉴스) 이은파 기자 = 충남 부여군은 사비도성 동쪽 외곽인 부여읍 용정리 소룡골 백제 건물지 발굴 조사 결과 6세기 후반 이후 지속 ...www.yna.co.kr 이런 소식이 부여발로 전해졌으니, 위선 그 위치 충남 부여군 부여읍 용정리 405-12번지 일원을 지도에서 살핀다. 네이버 지도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용정리.. 2023. 4. 7.
야요이시대 이주민과 가장 비슷한 사람은 "하가점 상층문화인"? 앞서 언급한 일본인 삼중구조론에서, 야요이시대 이주민과 가장 비슷하다는 "동북아주민"은 "하가점상층문화인"이다. 지금 일본에서는 이 야요이시대=동북아주민을 일본에 쌀 농사를 가지고 들어온 사람으로 지목하는데, 하가점 상층민을 지목했다는 건 정말, 정말 재미있는 이야기다. 이렇게 되면 한국도 삼국시대와 청동기-초기철기-삼한 때의 사람들이 서로 계통이 다르다는 이야기가 되는데, 비파형동검-세형동검을 쓰던 사람들과 삼국시대 사람들이 다른 게통이라는 이야기가 되지 않겠나? **** 弥生時代の移住民と最も似ているのは「夏家店上層文化人」? 前述の日本人三重構造論において、弥生時代の移住民と最も似ているという「北東アジア住民」は「夏家店上層文化人」である。 今、日本の学界ではこの「弥生時代人=北東アジア住民」を日本にコメ農業を持ち込んだ人と.. 2023. 4. 7.
기자들이 개무시한 2014년 천마총 천마도 추가 공개 천마총 특별전을 준비 중인 국립경주박물관이 그것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그것을 선전하고자 할 요량으로, 그리고 성과가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므로 새로운 천마도 장니를 공개했다. 천마도라 하지만 엄밀히는 천마를 도안안 문양이니 천마문天馬文이라고 표현해야 하며 실제 경주박의 관련 보도자료에도 그리 돼 있다. 경주박물관에서 전시회 개막에 앞서 언론에 미리 공개한다는 사실은 그런 프리뷰 행사가 있기 5일 전쯤 담당 기자들에게 통보한 것으로 안다. 나는 관련 통보를 동남아 휴가 중에 받았다. 그와 때를 같이해 이와 관련한 정보가 다른 데서도 속속 들어왔다. 프레스 프리뷰는 지난주 월요일 오후 2시 경주박물관 현지에서 할 예정이었다. 그 중요성에다가, 또 경주가 부쩍 생각나 나는 출장을 끊었다. 한데 막상 현지에 가 보니.. 2023. 4. 7.
일본인 3중 구조론 보유補遺 일본인 3중 구조론 도출에서 사용된 데이터 시료를 보면: 야요이인과 같다는 "동북아시아인": 요하 서쪽 청동기시대. 일본의 고분인 샘플: 서기 5-6세기 사람. "한족"과 같다는데 그 한족이 누군가가 문제. 한국사와 관련하여 폭발성이 매우 강한 주장이다. 2023. 4. 7.
학술발표: 최근 제기된 일본인 기원의 3중 구조론에 대해 토요일에 아래와 같이 학술발표를 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한일관계사학회 제206회 월례발표회(2023.04.08) : 월례발표회 및 학술대회 - 한일관계사학회 (hanilhis.or.kr) 한일관계사학회 제206회 월례발표회(2023.04.08) : 월례발표회 및 학술대회 -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학회 제206회 월례발표회】 ■ 일시 : 2023년 4월 8일(토) 오후 2시 ~ 오후 6시 ■ 장소 : 한성백제박물관 B2 세미나실 ■ 사회 : 이훈(한림대) ■ 제1주제 : 최근 제기된 일본 hanilhis.or.kr *** Editor's note *** 2023. 4. 7.
남자가 나이 들어 드라마가 좋아진다? 남자 중심이기는 하지만, 흔히 그네가 나이 들어가는 증상으로 꽃에 혹닉하며, 드라마를 보기 시작하는 현상을 들거니와, 그래 결과로만 보면 나 역시 그런 세대라 저에서 한 치 어긋남이 없으니 맞는 말인갑다 절감한다. 그래 꽃이 좋아라 희희낙락하는 사람들을 보며 얼이 빠졌다 핀잔한 때가 있기는 했으니, 과히 틀린 말은 아니로대, 그렇다 해서 그런 꽃에 무심했는가 하면, 꼭 그런 것은 아닌 듯하니, 지금보다 젊은 시절에도 꽃이 좋기는 했다. 다만 표시를 안 내거나 덜 냈을 뿐이다. 물론 나이 들어가면 살아온 날보다 살 날이 적어지는 조금함도 없지는 않겠으며, 그런 조급함에서 어쩌면 힘찬 탄생을 알리는 그런 화려찬란이 더 대비되어 상실의 두려움에 대한 보복심리가 일정하게 작동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 본다.. 2023. 4. 7.
창산 김정기, 박정희가 사랑한 건축학도 창산 김정기 박사가 생전에 자주 하던 말이 있다. "나는 건축쟁이다. 이런 사람이 남의 무덤이나 팠으니 영 께름칙했다." 그는 원래 일본으로 밀항해서 거기서 고건축을 전공했다. 오사카 시텐노지四天王寺 발굴에 참여했고 이런 경험들이 나중에 국내에서는 그의 이름을 고건축보다는 고고학에서 이름을 아로새기게 한다. 이런 고고학도가 귀국해서는 천마총 파고 황남대총 팠으니 심정이 어떻겠는가? 그가 국내에 발탁된 데는 황수영 박사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958년인가? 당시 한일국교 정상화 회담이 진행 중이었고 이 와중에 문화재 반환 분야에서 일한 황 박사가 일본에 갔다가 김정기 박사를 발탁해 국립박물관 고고과장인가로 스카우트한다. 이후 그는 1968년인가 국립문화재연구소 전신인 문화재연구실 초대 실장으로 초빙되는.. 2023. 4. 7.
안중근 눈썹 고공 낙하와 이재명 부친 묘소 흑주술 내막 모르고 달라들었다가 낭패 보는 일이 어디 내가 있고 너가 따로 있던가? 나 또한 그럴 수밖에 없고 당장 기억에는 나지 아니하나 그런 일로 내가 머쓱해진 일 한두 번이 아니다. 서울 남산 자락 안중근기념관에서 근자 이런 비스무리한 일이 있었댄다. 이곳 학예연구사 이주화 군 전언에 의하면, 이번 만우절이 낀 주말을 보내고 아침에 출근하니 전시관이 난리가 난 모양이라, 안 의사가 뤼순 법원에서 재판받는 상황을 재현한 공간에 세운 안 의사 밀랍 인형이 머리털, 눈썹, 수염이 뽑혔다 해서였더랜다. 자초지종 듣자니 토요일 오후에 초등생 하나가 법정 안으로 들어갔다 해서 이 초등생을 범인으로 내심 지목하고는 부리나케 CCTV에 담긴 그 장면을 돌려보았더니, 그 아이는 기특하게도 이미 떨어진 머리칼을 수습해 모으.. 2023. 4. 7.
포폄 없는 라이벌, 나폴레옹과 샤토브리앙 이 책 완독을 앞둔 상태인데, 이 친구 열라 잘 썼다. 약력 보니 좀 이상한데, 변호사라, 그러면서도 대학에 출강도 하는 모양이라, 역사를 이렇게 쓰니, 우리가 당할 재간이 있겠나? 이 시리즈는 보니, 굳이 한국식으로 하면 '프랑스의 역사상 라이벌' 이런 진부한 형식인데, 그 내용을 보면 하나도 진부하지 않으니, 모르는 자들도 그렇고, 역사를 직업적 학문으로 삼는 자들도 이런 책 앞에선 부끄러워 고갤 들지 못하리라? 왜 그러한가? 이쪽 혹은 우리네 전통은 근대 근대를 외치면서도 실상 그 구축하는 역사는 포폄이라는 전통시대 잣대에서 하나도 어긋남이 없이 평전이라 하지만, 그 속내는 뜯어보면 모두가 메시아가 되어, 혹은 클리오가 되어, 지가 역사의 심판자가 된양 하늘에서 역사를, 그리고 인물을 내려다 보면서.. 2023. 4. 7.
연녹색 털실 짜는 고비가 빚어내는 경악 고사리과 아닌가 하는데 이 고비가 터지는 모습은 경이다. 저리 이쁜 털실이 빚어내는 순간을 보았는가? 봄은 경이요 경외며 경악이다. 2023. 4. 7.
천마총 목곽 배치도(발굴보고서 기준) 이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은 줄로 안다. 일단 보고서에 수록된 그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세부에서 논란이 있을지라도 적석목곽분 구조를 이해하는 데는 일정한 도움이 되리라 본다. 2023. 4. 6.
천마도 바탕이 된 자작나무 껍질 천마총 천마도 장니 밑바탕 재료가 자작나무 껍질이다. 지금 평지에서 자라는 자작나무는 부러 관상용으로 심었지만 기후가 맞지 않아 잘 크지를 않는다. 앞 사진 속 자작나무는 2010년 5월 30일, 오대산 북대암으로 스님을 만나러 뵈러 갈 적에 그 정상부에서 만났다. 나는 자작나무만 보면 껍질을 홀라당 벗기곤 한다. 껍질은 이처럼 잘 벗겨진다. 그림을 그리려면 속껍질까지 홀라당 벗여야 하지만 그러면 나무가 죽어 맛배기만 본다고 벗겨봤다. 이 자작나무 껍질을 북대암에서 보니 이런 식으로 벗겨서 말리고 있었다. 아마 무슨 약재나 차로 쓰는 게 아닌가 했다. 혹여 기능을 아시는 분은 교시 바란다. (2014. 4. 9) 2023. 4. 6.
야요이인 도래 이후... 야요이인이 일본 외부에서 건너간 것은 확실하다. 다만 이들이 어디서 건너갔는지에 대해서는 우리는 모르겠지만 일본에서는 논란이 좀 있다. 김 단장께서 이야기한 것처럼 양자강 유역을 주목하는 경우도 일본에서는 있기는 하다. 이처럼 일본에서도 한반도 이외의 도래지를 계속 이야기하는 일이 있지만 결국 그 주장을 관철하지 못하는 것은 무엇보다 야요이문화가 한반도 색채가 너무 강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번에 일본에서 제기된 이 야요이인과 고분인에 대한 이야기를 보면, 야요이인은 중국 본토보다는 오히려 북방 쪽을 주목하고, 정작 고분시대인을 중국 본토와 유사하다고 이야기한다. 필자는 최근 보고가 야요이인 기원지로 동아시아 북방을 주목하는 것은 어쩌면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기원과도 관련이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한.. 2023. 4. 6.
찬란한 패배, 사쿠라에 항복한 미추왕 사쿠라..일본 꽃이라 해서 주워뽑고 생쑈를 해댔지만 결국에는 졌다. 항복 조인식 하는 일만 남았다. 내가 말했다. 나무에 국적이 있는가? 처참하게 패배한 이유다. (2016. 4. 6) *** related article *** 소나무에는 국경도, 국적도 없다 소나무에는 국경도, 국적도 없다소나무에는 국경도, 국적도 없다 2014/01/03 18:05 송고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문화재 보수 현장을 소재로 하는 사건마다 거의 늘 빠지지 않는 논리가 국수주의다. 우리 것이 마냥 최고로 좋historylibrary.net 2023. 4. 6.
야요이시대와 고분시대에 도래한 사람들이 서로 다르다? 최근 유전학과 인류학에서 제기되는 이야기 중에 하나가 일본 야요이시대와 고분시대 사람은 조몽인과 다른 것은 분명하며 대륙에서 들어온것은 맞는데, 이 둘도 서로 간에 유전적으로 구분된다는 이야기다. 이건 아주 흥미로운 주제다. 왜냐하면 야요이시대부터 고분시대까지는 전통적으로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인구 유입이 이루어졌다고 보는데, 야요이시대와 고분시대 사람이 서로 유전적으로 구분된다는 말은 한반도에도 사람들 간에 유사한 유전적 구분이 있어야 함을 전제하는 까닭이다. 고분시대 사람들을 삼국시대 사람으로 본다면, 야요이시대 사람들은 결국 우리 역사에서 청동기시대에 대응한다. 그렇다면 한반도 청동기시대 사람과 한반도 삼국시대 사람들은 유전적으로 구분된다는 의미일까? 이 문제는 단순히 일본의 예에만 머무를 수 없으며.. 2023. 4. 5.
이름도 요상하고, 성격도 요상한 해남 옥녀봉토성 미스터리 풀리나? 마한시대 산상 마을 '해남 옥녀봉토성' 비밀 풀린다 송고시간 2023-04-05 17:31 옥녀봉토성 시굴조사로 토성·주거지 등 발견 https://www.yna.co.kr/view/AKR20230405141400054?section=culture/all&site=topnews01 마한시대 산상 마을 '해남 옥녀봉토성' 비밀 풀린다 | 연합뉴스(해남=연합뉴스) 조근영 기자 = 전남 해남지역 고대사회의 실체를 규명하는데 중요유적으로 평가되는 옥녀봉 토성에서 마한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는...www.yna.co.kr 이 옥녀봉토성을 내가 주목하기는 아주 오래 전이라, 20년도 더 지난 아승끼 전세 겁에 현장을 다녀왔으니, 당시 현지로 나를 안내한 이가 동신대 이정호 교수였으니, 그때 이 양반이 동신대에 정착.. 2023. 4. 5.
박물관이 직장 : 무엇이 있는지 물으신다면 “그래서 뭐가 있는데?” 이것은 직장을 밝히면 종종 듣는 질문이다. 이름만으로는 어떤 박물관인지 모르겠으니, 대표 소장품을 알려달라는 의미다. 대표 소장품은 그 박물관이 가진 주요 컬렉션 중 하나로, 박물관의 이미지를 결정한다. 이를 보려고 박물관에 가기도 한다. 가령 국립중앙박물관의 반가사유상이랄지 루브르의 모나리자를 떠올렸다면, 딱 맞는 연상이다. 그러면 우리 박물관의 대표 소장품은 무엇일까. 그런데 여기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면, 나의 직장 적응기에서부터 시작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그래야 우리 소장품을, 우리 전시를, 우리의 활동을 어떻게 봐야할지 전달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그래야 본래 소소한 나의 일상을 쓰려했던 목적에 더 적합한 글이 되겠다. 직장에 적응하지 못한 이유 돌이켜 보면 이 직장.. 2023. 4. 5.
개항하는 시점에서의 조선과 일본의 차이 흔히 개항 이전 에도시대의 일본의 상황을 과대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그쪽이 여기보다 조선시대에 잘살던 것은 맞다. 하지만 질적으로 완전히 다른 사회는 아니다. 개항이전 에도시대와 조선의 차이는 지금으로 치면, 딱 베트남과 북한 정도 차이로 보면 된다. 지금 남한과 북한, 혹은 중국과 북한 정도의 차이가 아니라는 말이다. 따라서 개항 후 하나는 근대화에 성공하고 하나는 식민지로 전락한 이유는, 에도시대를 당시 유럽처럼 보고 과대평가하는 이외에서 원인을 찾는 것이 옳다. 2023. 4. 5.
타는 목마름, 비 봄비 꽃비 서울이야 그런대로 버텼지만 남부지방 봄가뭄 극심하던 터에 그래도 비다운 비가 얼마만인지 모르겠다. 남쪽에 퍼부어야 하거니와 얼마나 적셔줄지 모르겠다. 얼마전 내 경험치 들어 말했듯이 사쿠라 만발할 무렵에는 그 꽃잔치 산통 깨는 봄비가 와장창 내리곤 했으니 올해도 어김은 없다. 이 시즌 꽃비는 중의적이라 벚꽃엔딩이라는 말이 표상하는 낙화가 있으니 그것은 애잔함이요 또 다른 하나는 그 무렵 내리는 비를 말한다. 하긴 둘이 구분되기도 힘들다. 이런 일이 은행단풍 한창일 무렵에도 거의 예외가 없어 은행단풍 구경하기는 하늘의 별을 따는 일과 같다. 꽃이 문제겠는가 단풍이 대수겠는가? 타는 목마름은 피하고 봐야 한다. 2023. 4. 5.
홍릉수목원의 언터처블 넘버원 문배나무 홍릉수목원을 장식하는 나무로 이맘쯤 그 어떤 동료나무보다 압도적 위용을 자랑하는 이가 이 문배라 돌배나무 일종인 이 문배는 그 개화한 모양이 같은 시기 같은 장소 왕벚을 능가하지만 눈길은 덜 끈다. 이 문배나무 내력과 특징은 아래 현장 안내판으로 대체한다. 문배 장미과 / 한국 Pyrus ussuriensis var. seoulensis 개화 : 4월 / 결실 : 5월 새로운 식물을 발견하여 이름을 처음 붙이게 되는 나무를 기준표본목 이라고 한다. ■ 1935년 이곳의 문배(1906년생)는 현 위치에서 일본의 식물학자인 나카이(Nakai) 교수에 의해 처음 발견되면서 이름 붙여지게 되었으나 1966년 이창복 선생에 의해 다시 아름 지어진 나무로써 학술적 가치가 큰 나무이다. ■ 문배는 산돌배나무의 변종으.. 2023. 4. 4.
왜 조선시대 산성은 그렇게 만들어 졌는가 요즘은 산성을 고쳐 쌓으면서 신품으로 정비해서 아귀가 딱딱 맞게 쌓아 올리던데 필자가 어린 시절 산에 올라가 보면 조선시대 산성이라는 게 막돌 쌓아 올린 것이지 제대로 쌓인 것이 거의 없어 보였다. 반면에 삼국시대 신라 산성 몇 개에서 조사할 기회가 있었는데 차라리 그 성이 훨씬 제대로 쌓인 것처럼 보였다. 삼국시대 말 신라 산성을 보면 신라가 통일할 것 같다는 감이 딱 온다. 조선시대 산성이 왜 그모양으로 쌓여졌는지 그 이유를 알고 싶다면 북한을 보면 안다. 북한 탈북자들이 요즘 유튜브에서 이구동성으로 하는 소리의 하나가, "일을 하면 돈을 받아서 너무 좋다"는 것이다. 북한은 배급이 끊기고 장마당시장에 의존하는 경제가 되어 사실 국가동원의 노역이 있으면 안 되는데 아직도 이래저래 불러대는 노동이 많다.. 2023. 4.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