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03

가장 연로하신 아기 미라 Detmold child, a mummy found in Peru, about 6,500 years old, owned by Lippisches Landesmuseum in Detmold, in North Rhine-Westphalia, Germany. 데트몰트 아이이 어린아이는 페루에서 발견된 미라 이름이다.이 분 이래뵈도 연세가 대략 6천500살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보존 미라 중 하나다.이 미라를 보유 중인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데트몰트 Lippisches Landesmuseum이 저런 이름을 붙였다.원래 이 미라는 Witzenhausen 시 Völkerkundliches 박물관(민족학박물관) 소유였다.미라에서 곰팡이가 확인된 후 1987년 Lippisches Landesmuse.. 2025. 3. 2.
[마왕퇴와 그 이웃-19] 우리 청동기시대의 비단 옷 마왕퇴 소사단의의 기술사적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중국 뿐 아니라 우리와 일본의 비단 옷 역사에 대해서도 조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다들 알다시피 중국은 전통시대에 양잠과 비단 옷 짜는 기술을 비밀에 붙였다고 한다. 대륙에 통일왕조가 등장한 이후에는 줄곧 그런 경향이 있었던 모양으로 [대당서역기]에는 그 장면이 이리 적혀있다. "호탄 사람들은 뽕과 누에를 원했으나 구할 수가 없었다. 호탄왕은 중국에 혼인을 청했고 신부에게 뽕과 누에를 가져와 옷을 스스로 만들어 입으라고 했다. 그 말을 들은 신부는 남몰래 뽕과 누에 종자를 구하여 자신의 왕관에 숨겨 호탄에 가져왔다."비단이 가지고 있는 고급 직물로서의 선입견, 그리고 중국이 주변에 전파를 원하지 않았다는 위와 같은 기록 덕인지 한반도의 경우 양잠과 비단의 .. 2025. 3. 2.
[마왕퇴와 그 이웃-18] 소사단의素紗襌衣 마왕퇴에서 나온 유물 중에 소사단의라는 것이 있다. 이에 대해 이야기를 좀 해보고자 한다. 마왕퇴를 다루는데 있어 필자는 의학과 과학 쪽 이야기를 주로 할 것이며 문화적 부분은 김단장께서 풀어갈 것인데, 이 소사단의를 필자가 다루는 이유는 이 옷이 자연과학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마왕퇴 미라가 보관된 호남박물원 (전 호남성박물관) 홈페이지를 보면위 그림과 같이 소사단의가 메인 화면에 등극해 있을 정도의 대단한 유물임을 알 수 있다.  이 유물에 대한 설명을 보면, 한 점은 길이가 128센티, 소매 길이가 190센티인데 무게가 겨우 48이고 다른 한점은 49그램이었다. 옷 두 벌의 무게가 합쳐서 100그램이 안되었고 소매와 목둘레 동정을 떼버리면 겨우 25그램이었다. 라고 하여, 전한대에 이미 중.. 2025. 3. 2.
[마왕퇴와 그 이웃-17]: 회곽 구실을 한 백고니, 청고니 조선시대 미라는 다들 알다시피 일부러 만든 인공적 미라가 아니다. 우리 조상들은 시신이 모두 잘 썩기를 바랬지만, 또 한 가지 벌레와 식물 뿌리, 도굴꾼으로부터 시신이 완전히 썩을 때까지 지켜지기를 원헀다. 그래서 나온 것이 주자가례의 회곽이다. 이 회곽을 쓴 묘를 회곽묘라 부른다. 주자가례를 보고 만들었으므로 당연히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작된 것은 아니고, 주자가 그 만드는 법을 자세히 이야기했는데, 유심히 주자가례의 주소를 보면 주자 생전에 이미 강남 땅에는 회곽묘가 만들어지고 있던 것을주자가 이 무덤이 사대부들의 무덤으로 쓸 만하다 하여 현창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북송대 무덤 중에는 회곽묘가 발견된 바 있어 주자가 이 무덤을 처음 창안한 것은 아니며 강남 지역에 꽤 오래전부터 전해 오던 무덤임.. 2025. 3. 2.
[楚문화 탐구] (2) 대사마 도활의 영원한 집 오소리 무덤 https://www.youtube.com/watch?v=UcVRWoxPsDg 약칭 엄창묘严仓墓라고 하며, 좀 더 길게는, 또 무덤이 한둘이 아닌 떼거리라 엄창 전국 고묘군严仓战国古墓群이라고도 하며, 엄창고묘严仓古墓 혹은 엄창고묘군严仓古墓群 따위로 다양하게 쓴다. 전국 시대 초나라 대형 공동묘지인 저곳에 자리잡은 무덤 중에서도 엄창 환자총严仓獾子冢이라는 데가 발굴조사를 거쳐 꽤 이름 있는 무덤으로 등극했거니와, 위선 저 獾子冢이라는 지명이 생소하기 짝이 없으니 저 환獾이라는 글자가 오소리를 의미한다고 한다. 그럼 오소리 새끼 무덤?이 무덤은 대형 초묘楚墓, 곧 초나라 시대 무덤이라, 이 무덤은 엄창1호묘严仓 1 号墓라고도 한다. 이런 춘추전국시대 제후국은 춘추시대인가 전국시대인가를 중대 분기점으로 삼거.. 2025. 3. 1.
형편없는 봉황대고분 한 무제 유철 무릉茂陵 高 46.5米,底边长:东边 243米,西边 238米,南边 239米,北边 234米。곽거병묘 底部 南北长 101.5米,南宽 56.70米,北宽 58.40米,高 18.38米,占地面积 5841.33平方米,봉황대고분 높이 22m, 지름 82m. 간단히 요약하면 명세표가 저렇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가 소개하는 경주봉황대고분[慶州鳳凰臺古墳] 기술은 아래와 같다.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노동동에 있는 고분.내용 ‘경주노동리고분군’에 속하며, 경주평지에 산재하는 단독 원분(圓墳) 중 제일 거대한 무덤으로 분구의 높이는 22m, 지름은 82m이다. 보다 큰 고분으로 황남대총(皇南大塚, 98호분)이 있으나 이것의 경우 표형분(瓢形墳)으로 2개의 무덤이 합쳐진 것이다. 아직 발굴이 되지 않아 내부구조 및.. 2025. 3. 1.
[마왕퇴와 그 이웃-16] 마왕퇴를 증오한 강청 사인방은 마왕퇴와 상극에 있다. 처음 마왕퇴에서 어마어마한 전한 시대 무덤이 발견되었단 보고가 올라간 당시, 이 보고를 받고 그까짓 건 아무것도 아니니 그냥 태워버리라고 일갈한 것은강청을 위시한 사인방이었다. 전한 시대 무덤이라고 해도 결국 반동적 지주계급 유산일 뿐이니문화혁명의 와중에 있는 중국으로선 그딴 것 보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하긴 공자묘도 작살내는 판에 마왕퇴를 왜 보존하겠는가. 이렇게 태워버리라는 명령을 뒤집어 버린 건 당시 총리 주은래였다. 주은래와 곽말약은 마왕퇴 발굴이 진행되는 동안 이 발굴이 공격받지 않도록 계속 보호하는 역할을 했는데 이들 역시 사인방에 의해 호시탐탐 공격받을 가능성이 있었다는 점에서 마왕퇴를 보호하는 일은 아무리 주은래와 곽말약이라고 해도 정치적으로 매우 위험.. 2025. 3. 1.
[마왕퇴와 그 이웃-15] 조사단이 두려워한 홍위병 앞에서 홍위병과 마왕퇴에 대한 이야기를 했지만, 마왕퇴 발굴이 있던 1971-1974년 연간에는아직 홍위병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했고, 여전히 중국 정계를 휘두르던 사인방은 심지어는 주은래와 곽말약까지도 수정주의자 내지는 주자파 딱지를 붙여 호시탐탐 노리고 있었다. 발굴단은 주은래 재가를 받아 마왕퇴 발굴을 시작했지만 이들이 가장 두려워한 것 역시 홍위병이었다. 이 때문에 발굴 당시 채증한 카메라 필름은 모두 셋으로 나누어하나는 중국과학원, 다른 하나는 호남성박물관, 또 하나는 호남성 도편사 세 군데에 따로 보관하게 했다. 말하자면 우리 조선왕조실록처럼 여러 군데 나누어 보관하여 한 군데가 홍위병 습격으로 기록이 사라져도 다른 두 군데만 온전하면 복구가 가능하게 하였던 것이다. 마왕퇴 발굴단이 가장 .. 2025. 3. 1.
주댕이가 앙증맞은 초국 돼지 칠기 같은 칠기라 해도 남방 초나라 칠기는 동시대 다른 지역 칠기, 혹은 그 전후 다른 지역 칠기랑 구별되는 묘한 특징이 있다. 이를 감感이라 하고, 겐또라 한다. 저리 보이는 건 덮어놓고 초국楚國 칠기라 하면 10개 중 아홉 개는 맞다. 고고학? 미술사? 뭐 거창할 거 없다.많이 보는 놈이 장땡이다.저 분은 전국시대 초국 문화권 칠기임이 분명한데칠목채회저형주구합漆木彩绘猪形酒具盒이라 해서 아주 요상한 이름으로 일컫는 칠기다. 형주박물관荆州博物馆 소장품이라 상태가 아주 좋다. 칠을 했으니 漆이라 하고 나무에 채색을 했으니 목채회木彩绘라 하며,전체 모양은 돼지, 것도 집돼지라 저형猪形이라 했으며술을 마시기 위한 그릇 일종이라 해서인지 주구합酒具盒이라 한다. 한데 돼지 저금통 같다. 저것이 2천 년 이상 흘러서 그.. 2025. 3. 1.
주검과 함께 한 띨띨이 반려견 중국 양양시박물관襄阳市博物馆이 소장한 동한东汉시대 유도구釉陶狗라 해서 유약 바른 도기로 만든 띨띨한 멍멍이 반려견이시다. 양양襄阳 왕가항 유지 무덤 王家巷遗址墓에서 발굴됐다.개는 몸집이 큰 종류인가 싶은데 출토 당시에는 유약 색이 더 좋았다고 한다.보통 저런 무덤에서 나온 개가 회흑색 계열인 데 견주어 이건 볼 만하고 무엇보다 애들한테 인기가 좋으니박물관에서는 동물관 역할도 할 겸 해서 독립전시장에 내어 놓았다고 한다. 한데 저 멍멍이님 띨띨함의 첨단이시다. 왜 저리 머리가 비게 보일까? 남방 초가 금새 물려서 동한으로 내려온다. 2025. 3. 1.
중산국에서 초나라로 마실 간 옥인? 삼인답수옥식三人踏兽玉饰 혹은 삼인답저형옥패三人踏猪形玉佩 등으로 일컫는데 물론 저걸 만들어 쓴 시대에 어찌 불렀는지는 증언이 없어 편의상 저 양태를 보고선 중국 고고학도들이 지 맘대로 만들어낸 말이다. 세 사람이 짐승, 개중에서도 돼지로 생각되는 그런 짐승을 밟고 선 옥으로 만든 장식이라 해서 저리 부른다. 두 사람이 돼지로 생각되는 동물 등때기에 올라타고 섰으니 그 위에 다시 한 사람이 그 두 사람 대가리 정수리에를 밟고 선 모습을 형상화했다. 아래 두 사람은 위에 선 사람을 공구기 위해 어깨를 살짝 서로 댄 모습이고, 위에 선 사람은 가랭이를 아주 쭉 벌렸다. 세 사람 모두 얼굴은 편편넓적 솥뚜껑 모양이라 아주 둥글고 볼태기는 피둥피둥 살이 든 양태고, 문제는 그 아래 깔린 돼지. 저게 돼지인지 뭔지 .. 2025. 3. 1.
환빠보다 백배는 더 위험한 낙빠 한국역사학 독초 중 하나는 환빠 혹은 그네가 대표하는 유사역사학이니 사비이역사학이 아니다. 그 환빠보다 연원도 오래고 뿌리도 아주 깊어이제는 더는 제초제도 안 먹고황산 염산을 바케스로 갖다 부어도 죽일 수가 없는 거대한 만성 말기 암덩어리가 있는데낙빠다. 무엇을 낙빠라 하는가?낙랑빠들이다.이 놈들은 낙랑 아니면 이야기할 것도 없고 낙랑 아니면 할 수 있는 얘기도 암것도 없어 죽어나사나 낙랑에서 출발해 낙랑으로 수렴하며 그리하여 한국고대국가 성립도 낙랑 덕분이라 하며 물론 그 덕분은 그에 대한 도전에 대한 응전으로서의 성립이라 하나 피장파장 똥끼나밑끼나라 낙랑이 없으면 한반도는 고대국가 성립도 불가능하다 하며 뭔가 조금은 이질적인 것만 나왔다 하면 덮어놓고 낙랑 영향 운운이라 이 놈들이야말로 내셔널리즘에 .. 2025. 3. 1.
[초楚문화 탐구] (1) 호좌조가고 토해낸 구련돈九连墩 중국 남방 초문화를 대표하는 기물 호좌조가고虎座凤架鼓 이야기를 하는 김에 그에서 구련돈 2호 초묘九连墩2号楚墓 라는 말이 잠깐 나왔으므로 내친 김에 이 무덤을 포함해 이른바 구련돈 무덤을 저 악기를 중심으로 잠깐 살펴보자. 저 악기는 2호묘 이른바 매장주체 시설 중에서도 북쪽에 있는 방 북실北室에서 수습된 것으로, 이는 현재까지 초나라 무덤에서 발굴된 가장 큰 현고를 지탱하는 호좌봉가라, 높이 약 1미터에 이른다.받침은 등을 돌린 호랑이 두 마리고, 호랑이 등에는 명봉鸣凤이 한 마리씩 서 있다.봉황은 고개를 들고 입을 벌리고, 자세가 당당하며 날아갈 듯하다.반면에 복호伏虎는 왜소하고 움츠러들며, 공손히 길든 모습이다. 뭔가 좀 쪼다 같다. 이를 두고 초나라 사람들이 봉황을 존중하고 호랑이를 억제한다는 의.. 2025. 3. 1.
호좌조가고虎座鸟架鼓, 호랑이가 바치고 새가 비벼주는 남방 악기 몇몇 분이 이 유물이 뭐냐 여쭈어 새삼 소개하고자 한다. 호좌조가고虎座鸟架鼓라 해서 노자 각종 판본을 비롯해 그 유명한 선진先秦시대 죽간을 마구잡이로 쏟아낸 중국 하북성湖北省 형문시荊門市 곽점 1호 초묘 郭店一号楚墓 라는 무덤에서 나왔다. 이 무덤 만든 시점을 대략 기원전 300년 어간으로 보니 그 무렵 남방 초나라 문화 유산이 되겠다. 먼저 호좌조가고虎座鸟架鼓라는 명칭을 풀어야 그 의미가 확연해진다.이 말은 호좌虎座/鸟架/鼓라, 호랑이 모양 받침에다가 새 모양 걸대를 갖춘 북이라는 악기가 되겠다. 실제 저를 보면 쌍호雙虎, 곧 호랑이 두 마리가 받침대로 서고, 그 양 옆에는 쌍조雙鳥, 곧 새 두 마리가 버팅겨 주면서 북을 보호한다. 세상이 참 요상해서 이제는 영어로 표현해야 그 의미가 더 쉽게 다가오는.. 2025. 3. 1.
하노이 거리 붕어빵 장사 K푸드라 해서 뭔가 대단한 한류 열풍처럼 이야기하고 K팝 K드라마 선풍에 힘입어 그 맹렬한 힘이 대단한 것만은 엄연한 사실이지만 저 K푸드만 해도 혹 외국 다녀본 사람들 알겠지만 베트남 푸드 견주어서는 아직 새발의 피다. 베트남 푸드? 그 바람이 언제 일기 시작했는지 모르지만 베트남 쌀국수 없는 나라 없다. 저에 견주어 K푸드? 난 아직 멀었다고 본다. 그보다 훨씬 앞서 진출한 J푸드는 말해서 무엇하겠는가?차이나 푸드는 버글버글한 인구에 힘입어 어딜 가나 중국인 관광객 넘쳐나는 세상이라 그런 본국에서 온 사람들만으로도 버텨나간다. 난 문화사 맥락에서, 이른바 교류사 측면에서 저와 같은 현상을 뭔가 분석하려 하는데 저 장면은 2017년 하노이 갔을 적에 길거리에서 한국 붕어빵을 만들어 파는 베트남 현지 여.. 2025. 3. 1.
정원용鄭元容 경산일록經山日錄 91년을 살면서 90년간 일기를...1873년 1월2일 담체와 오한 증세가 있어 약을 지어먹고 이튿날 세상 하직. 그 직전까지 일기를 썼다.연세대 중앙도서관 국학자료실에 그의 일기 경산일록經山日錄 17책 소장.1808년 4월7일부터 5월초까지 열성 실록을 포쇄曝曬하고 정조대왕 지장誌狀을 봉안하기 위해 오대산 사고를 거쳐 고성군까지 25일간 다녀온 과정을 쇄사동정일기曬史東征日記라 해서 1책 31장으로 기록. 회령부사로 재직하던 1829. 8. 13.~30. 11. 23 1년 남짓한 기록은 경산북정록經山北征錄이라 해서 제10책에 수록. 31. 10. 16에는 동지정사로 출발해 이듬해 3월 27일 한양에 돌아와 입궐 숙배하기까지 5개월 12일은 연차록燕槎錄이라 해서 2책 가운데 1책에 수록, 2책은 한시. 독.. 2025. 3. 1.
새에 빠져 탐조를 탐닉하던 어느날 한참 새 사진에 빠져 탐조探鳥랍시며 장비빨 구비해서 전국을 싸돌아다닐 때다. 마침 그때 나는 저짝 회사 연합뉴스 한류기획단장인지 K컬처기획단장인지를 할 때라 나 역시 그에 직접 일조한다 해서 자연유산을 팔아먹자 해서 그 섹션을 이름하기를 [K-Geography] 라 해서, 주로 한국의 자연유산을 영문으로 소개하는 일을 했거니와 저걸 탑재하며 국문에서는 이르기를순백이 지닌 장점이 이것이다.  어디서건 빛을 발한다는 점이다. 했거니와 그 본판인 영문판에서는 이르기를 [K-Geography] Egrets resting in pine tree 연합뉴스  / 2022-03-01 19:05:30 Three birds that appear to be egrets or herons are resting in a pin.. 2025. 3. 1.
청고니 혹은 백고니, 부패를 막는 미라화의 원천 소스 백고니白膏泥라고도 하는 청고니青膏泥는 학명이 미정 카올린[미정 고령토微晶高岭土다.일찍이 양저문화良渚文化에서 팽공 댐彭公大坝은 청고니로 쌓았다.청고니는 상주商周와 진한秦漢 때 무덤에서 흔히 사용된 흙으로, 질감이 섬세한 것이 특징이다.상나라와 서주西周 시대에 청고니 사용 범위와 두께는 비교적 적고 작은 편이다.상주와 진한 때 무덤에서 흔히 사용되던 흙으로, 질감이 곱고 점성이 크며 비교적 습하고 침투수가 적으며 습하면 청회색을 띠기 때문에 청고니靑膏泥라고 하며, 햇볕에 말리면 백색 또는 청백색을 띠기 때문에 백고니白膏泥라 한다.백고니 주성분은 이산화규소二氧化硅, 삼산화알루미늄三氧化二铝, 삼산화제2철三氧化二铁, 칼슘钙, 마그네슘镁, 나트륨钠, 칼륨钾 및 기타 산화물로 구성되며 점도가 높고 분자가 조밀하며 강.. 2025. 3. 1.
2천400년 전 미라 목에다 밧줄 걸고 질질 끌고 간 만행 곽가강 1호 초묘 郭家岗一号楚墓 이른바 ”전국여시战国女尸" 훼손 사건은 도굴 과정에서 2천400년 전 전국 시대 초나라 여인 시신을 차마 눈뜨고 봐줄 수 없을 정도로 훼손했다는 점에서 중국 국내 여론을 들끓게 했으니이 사건이 부른 가장 큰 파장은 도굴에 대한 경각심을 한층 북돋우는 한편 정부 당국에 대해서는 도굴 방지를 위한 각종 시책에 총력을 기울이게 하는 기폭제가 되었다는 사실이다. 실제 이를 계기로 도굴이 기승을 부린 저 무대, 곧, 형문시 일대 초나라 대규모 공동묘지 곳곳에는 감시시설이 대폭 설치되고 경찰의 단속이 대폭 강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적어도 이 일대 도굴은 연간 발생 건수가 1~2건으로 사실상 종적을 감추게 됐다 한다. 그에 대한 처벌도 강화해서 저 사건 가담자 중 주모자급 3.. 2025. 2. 28.
[마왕퇴와 그 이웃-14] 문화혁명과 하방 하방下放이라는 말이 있다. 뭐 그 배경 설명을 이야기하자면 긴데, 쉽게 말하면 이렇다. 중국혁명은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하여 노동계급이 형성된 사회에서 일어난 것이 아니라 공업화는 전혀 없이 전 국민 대다수가 농민인 사회에서 일어났다.  지식인과 농민이 결합하여 중국판 사회주의 혁명을 이루자는 것이 곧 마오이즘이다. 그러다 보니 당원들이 농민의 삶을 잘 알지 못하여 농민과 공산당원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경계하여 혁명분자들을 농촌에 보내 생활하면서 농민과 혁명가들 사이에 상호 긍정적 영향을 주고자 하는 것이것이 바로 하방이다. 문화혁명기간 동안 중국에는 각급 기관에 하방이 무시로 강요되어심지어는 박물관 고고학자들까지 모두 농촌으로 하방을 나가야 하는 판이었다. 쉽게 말해 유적 발굴이 있어도 몽땅 하.. 2025. 2. 28.
형문 곽점 초나라 여자 미라 발굴 이야기 湖北挖出千年不腐女尸,墓中惨象让人揪心,专家开棺后当场痛骂 2022-12-05 18:01 후베이서 천년 묵은 여인 시신 발굴묘중 참상이 가슴을 졸이게 하자, 전문가는 관을 열고 그 자리에서 호되게 꾸짖었다. 2022-12-05 18:01 1994년 초, 연이어 발생한 두 건의 도굴 사건이 후베이성 징저우시 지산진湖北省荆州市 纪山镇의 한 마을의 평화를 깨뜨렸다. 그중 도굴범 일당을 비롯한 세 명은 직접 사형을 선고받았고, 도주 중인 세 명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은 각각 3년에서 12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그러나 도대체 어떤 고분인지, 이 도굴범들이 이렇게 엄격한 심판을 받게 된 것일까?몇 년 후, 후베이의 문물 작업자들이 이 마을 근처의 쉐자와薛家洼라는 곳에서 조사를 진행하던 중, 선진 시기 초나라의 고급 귀.. 2025. 2.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