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928

진의(眞義)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비류왕본기 : 30년(333) 7월에 진의(眞義)를 내신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우복(優福)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비류왕본기 : 18년(321) 봄 정월에 왕의 서제(庶弟) 우복(優福)을 내신좌평(內臣佐平)으로 삼았다. 24년(327) 9월에 내신좌평 우복이 북한성(北漢城)을 근거로 삼아 반란을 일으키자 왕이 군사를 발동해 토벌했다. 2018. 3. 2.
보과(寶菓)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책계왕본기 : 책계왕(責稽王)은 고이왕 아들이다. 키가 크고 뜻과 기품이 웅장하고 뛰어났다. 고이가 죽자 왕위에 올랐다. 왕이 장정들을 징발해 위례성(慰禮城)을 보수했다. 고구려가 대방(帶方)을 정벌하자 대방이 우리에게 구원을 청했다. 이에 앞서 왕은 대방왕(帶方王)의 딸 보과(寶菓)를 맞이하여 부인(夫人)으로 삼았기 때문에 “대방과 우리는 장인과 사위의 나라이니 그 청에 응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고는 드디어 군사를 내어 구원하니 고구려가 원망하였다. 왕은 고구려의 침공과 노략질을 염려하여 아차성(阿且城)과 사성(蛇城)을 수축하여 이에 대비하였다. 2018. 3. 2.
직선(直宣)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33년(266) 가을 8월에 군사를 보내 신라의 봉산성(烽山城)을 공격하였다. 성주 직선(直宣)이 힘센 군사[壯士] 200명을 거느리고 나와 쳐서 우리 군사를 이겼다. 2018. 3. 2.
유기(惟己)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8년 2월에 진가(眞可)를 내두좌평으로 삼고, 우두(優豆)를 내법좌평으로 삼고, 고수(高壽)를 위사좌평으로 삼고, 곤노(昆奴)를 조정좌평으로 삼고, 유기(惟己)를 병관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곤노(昆奴)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8년 2월에 진가(眞可)를 내두좌평으로 삼고, 우두(優豆)를 내법좌평으로 삼고, 고수(高壽)를 위사좌평으로 삼고, 곤노(昆奴)를 조정좌평으로 삼고, 유기(惟己)를 병관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고수(高壽)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8년 2월에 진가(眞可)를 내두좌평으로 삼고, 우두(優豆)를 내법좌평으로 삼고, 고수(高壽)를 위사좌평으로 삼고, 곤노(昆奴)를 조정좌평으로 삼고, 유기(惟己)를 병관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우두(優豆)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8년 2월에 진가(眞可)를 내두좌평으로 삼고, 우두(優豆)를 내법좌평으로 삼고, 고수(高壽)를 위사좌평으로 삼고, 곤노(昆奴)를 조정좌평으로 삼고, 유기(惟己)를 병관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진가(眞可)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8년 2월에 진가(眞可)를 내두좌평으로 삼고, 우두(優豆)를 내법좌평으로 삼고, 고수(高壽)를 위사좌평으로 삼고, 곤노(昆奴)를 조정좌평으로 삼고, 유기(惟己)를 병관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우수(優壽)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7년(260) 3월에 왕의 동생 우수(優壽)를 내신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나갈(羅渴)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5년(258) 봄에 말갈 추장 나갈(羅渴)이 좋은 말 열 필을 바쳤다. 왕은 사자를 후하게 위로하여 돌려보냈다. 2018. 3. 2.
익종(翊宗)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2년(255) 가을 9월에 군사를 내어 신라를 쳤다. 신라의 군사와 괴곡(槐谷) 서쪽에서 싸워 이기고 그 장수 익종(翊宗)을 죽였다. 2018. 3. 2.
진물(眞勿)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14년(247) 2월에 진충(眞忠)을 우보(右輔)로 삼고, 진물(眞勿)을 좌장으로 삼아 군사 업무를 맡겼다. 2018. 3. 2.
질(質)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9년(242) 여름 4월에 숙부 질(質)을 우보(右輔)로 삼았다. 질(質)은 성품이 충직하고 굳세어 일을 꾀함에 실수가 없었다. 2018. 3. 2.
진충(眞忠)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7년(240) 여름 4월에 진충(眞忠)을 좌장(左將)으로 삼고 중앙과 지방[內外]의 군사 업무를 맡겼다. 13년(246) 가을 8월에 위(魏)나라의 유주자사(幽州刺史) 관구검(丘儉)이 낙랑태수(樂浪太守) 유무(劉茂)와 삭방태수(朔方太守) 왕준(王遵)과 더불어 고구려를 쳤다. 왕은 그 틈을 타서 좌장 진충(眞忠)을 보내 낙랑 변방 주민들을 습격하여 빼앗았다. 유무가 이를 듣고 노하자 왕은 침공을 받을까 염려하여 그 사람[民口]들을 돌려주었다. 14년(247) 2월에 진충(眞忠)을 우보(右輔)로 삼고, 진물(眞勿)을 좌장으로 삼아 군사 업무를 맡겼다. 2018. 3. 2.
충훤(忠萱)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본기 : 25년(220) 봄 3월에 이벌찬 이음이 죽었으므로 충훤(忠萱)을 이벌찬으로 삼고 군사의 일을 겸하여 맡아보게 하였다. 27년(222)…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우두주(牛頭州)에 침입하였으므로 이벌찬 충훤(忠萱)이 군사를 이끌고 그들을 막았는데, 웅곡(熊谷)에 이르러 적에게 패하여 혼자 말을 타고 돌아왔으므로 진주(鎭主)로 좌천시키고 연진(連珍)을 이벌찬으로 삼아 군사의 일을 겸하여 맡게 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24 백제본기 제2 구수왕본기 : 9년(222)…겨울 10월에 군사를 보내 신라의 우두진(牛頭鎭)에 들어가 민호(民戶)를 약탈하였다. 신라 장수 충훤(忠萱)이 군사 5천 명을 거느리고 웅곡(熊谷)에서 맞아 싸웠으나 크게 패배하여 한 필의 말을 .. 2018. 3. 2.
귀수(貴須) 삼국사기 권 제24 백제본기 제2 구수왕본기 즉위년 : 구수왕(仇首王)은 초고왕(肖古王) 맏아들이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6대 구수왕(仇首王)은 귀수(貴須)라고도 하는데 초고왕(肖古王) 아들이다. 갑오년에 즉위해 21년을 다스렸다. ☞구수왕(仇首王) 2018. 3. 2.
회회(茴會) 삼국사기 권 제24 백제본기 제2 초고왕본기 : 49년(214) 가을 9월에 북부(北部)의 진과(眞果)에게 명하여 군사 1천 명을 거느리고 말갈의 석문성(石門城)을 습격하여 빼앗았다. 2018. 3. 2.
설부(薛夫)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본기 : 19년(214) 가을 7월에 백제가 나라 서쪽의 요거성(腰車城)을 공격해 와서 성주 설부(薛夫)를 죽였다. 왕이 이벌찬 리음(利音)에게 명하여 정예군사 6천 명을 이끌고 백제를 치게 하여 사현성(沙峴城)을 함락시켰다. 삼국사기 권 제24 백제본기 제2 초고왕본기 : 39년(204) 가을 7월에 군사를 내어 신라의 요거성(腰車城)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성주 설부(薛夫)를 죽였다. 신라 왕 나해(奈解)가 노하여 이벌찬(伊伐湌) 리음(利音)을 장수로 삼아 6부의 정예 군사를 거느리고 와서 우리의 사현성(沙峴城)을 공격하였다. 2018. 3. 2.
구도(仇道) 화랑세기 세종공 전 : 미추대왕(味鄒大王)이 광명을 황후로 삼으며 후세에 알려 말하기를 ‘옥모(玉帽)의 인통(姻統)이 아니면 곧 황후로 삼지 말라’고 하였다. 까닭에 세상에서 이 계통을 진골정통(眞骨正統)이라 한다. 옥모부인(玉帽夫人)은 곧 소문국(召文國)의 왕녀인 운모공주(雲帽公主)가 구도공(仇道公)에게 시집가서 낳은 사람이다. 옛날부터의 진골(眞骨)이 아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아달라니사금본기 : 19년(172) 봄 정월에 구도(仇道)를 파진찬으로 삼고 구수혜(仇須兮)를 일길찬으로 삼았다. 2월에 시조묘에 변고가 있었다. 서울에 돌림병이 크게 번졌다. 삼국사기 권 제23(백제본기 제1) 초고왕본기 : 25년(190) 가을 8월에 군사를 내서 신라의 서쪽 국경의 원산향(圓山鄕)을 습격하.. 2018. 3. 2.
소고(素古) 삼국사기 권 제23(백제본기 제1) 초고왕본기 즉위년 : 초고왕(肖古王)은 개루왕(蓋婁王) 아들이다. 개루가 재위 39년에 죽자 왕위를 이었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5대 초고왕(肖古王)은 소고(素古)라고도 한다. 개루(盖婁)의 아들이다. 병오년에 즉위해 51년을 다스렸다. ☞초고왕(肖古王) 2018. 3.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