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410

Missing you 日本國 長野県 安曇野市 穂高3640 大王わさび農場 2019. 6. 18.
죽어서도 안 읽을 책 완독 도전 수십번하다 실패한 책이 꽤 된다. 단테 《신곡》괴테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칸트 무슨 놈의 《비판》 사르트르 《존재와 무》 훗설 앞으로는 쳐다도 안 보기로 했다. 문젠 저들 책은 각기 다른 판본으로 서너종을 서고에 갖췄다는 거임. 2019. 6. 18.
F조 최약체 독일, 작년 오늘의 예보 Taeshik KimJune 18, 2018 at 12:54 AM · F조 최약체가 독일이라 했는데..전반전만 보면 맞는듯 한데 두고 봐얄듯멕시코한테 지면 독일은 스웨덴한테도 져서 2패로 탈락한다. 모르겠다.내 느낌은 그랬다. 독일이 근자 보여준 모습은 98 월컵과 2000 유로 우승 이후 프랑스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후반전에서 반전하지 못하고 멕히코한테 지면 독일 탈락은 따논당상이다.이걸 극복하면 독일은 여전히 가장 강력한 우승후보라 본다. *** 꼭 1년 전 오늘 나는 이렇게 썼다. 독일은 예상대로 러시아월드컵 조별리그에서 F조 마지막 경기에서 한국한테도 0-2으로 발려 짐을 쌌다. 2019. 6. 18.
제3차 동남아시아 고고학회 참관기 : 태국 방콕 (1) 신동훈 (서울의대 생물인류학 및 고병리학 연구실) 연구실의 국제학회 참석은 아무리 그 중요성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필자가 독립 연구실을 차린 지 어언 20년 째인데 그 동안 여러가지 변화가 학계에 있었다. 첫째는 학제 간 연합 기풍이 농후해 진 것을 들 수 있다. 필자가 초창기 연구에 뛰어들 때만 해도 의학 내에서도 각 분과별 연구 교류는 거의 없었다. 그러던 것이 이제는 의학의 벽을 넘어 자연과학, 심지어는 인문학까지도 학제간 연합의 기운이 농후하게 되었고 주변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는 상황이다. 물론 학제간 연합이라는것은 단순히 여러 분야 연구자가 모여 함께 연구하고 결과물을 공동 작성한다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학제 간 연합 연구가 성공적이 되려면 서로 다른 분야 연구자가 부단히 대화하고 .. 2019. 6. 18.
8개월만에 해 치운 신도시 건설, 수隋 대흥성大興城의 경우 **** 2008년 7월 16일 지금은 사라진 내 블로그 포스팅이다. 양견楊堅은 북주北周를 대체해 선양禪讓이라는 형식으로 소위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룩하고 隋 왕국을 창건하거니와, 창건 직후에는 北周가 종래 사용한 장안성長安城이 비좁다 해서 새로운 도읍지를 물색하거니와, 이렇게 해서 선택된 곳이 같은 장안의 용수산龍首山이란 곳이었다. (여담이지만 내가 아는 중국 음식점 중에 용수산이 있는데 혹여 이에서 따왔는지 모르겠다) 통상 新왕조 건국과 함께 다른 곳에다가 도읍지를 물색함은 상례지만, 그래서 대체로 중국에서는 낙양洛陽과 서안西安(장안長安)을 왔다리갔다리한 까닭이 이에서 말미암는다. 그래서 두 도시는 이미 前漢 시대에 동도東都(혹은 동경東京. 낙양)와 서도西都(혹은 서경西京. 장안)이라 불리거니와, 그러.. 2019. 6. 18.
An Early Summer Day of Gyeongju 경주 시내 북쪽을 관통한다 해서 북천北川이라 일컫는 알천閼川 둑방으로 넘실대는 초여름 꽃 우로 해가 뜬다. 가만 낙조인가? 저 생김새 보아하니 토함산 비스무리하니 일출인가? 일출 일몰인가가 중요한가? 상념이 중요하지 어느 하나 버릴 것 없는 데가 경주라는 말 나는 여러번 했다. 예서 관건은 경주가 이리 되기까지의 과정이다. 버리고 싶은 것이 부지기였던 그런 경주. 그것을 쳐낸 지난한 과정이 오늘의 힘이었다. 경관은 가꾸는 것이지 자연히 주어지는 그 무엇이 아니다. 곤쳐야 한다. 끊임없이 뜯어곤쳐야 한다. 둑방이 필요하면 맹글고보가 있어야 하면 강을 막고꽃이 필요하면 심카야 한다. Photo by Oh Seyun 2019. 6. 18.
Daio Wasabi Farm / 大王わさび農場 / 일본 나가노 대왕 와사비 농장 일본국日本國 나가노현長野県 아즈미노시安曇野市 소재 대왕와사비농장大王わさび農場. 다이오우 와사비노우죠(だいおうわさびのうじょう)라고 발음한다. 대왕농장大王農場, 혹은 대왕와사비원 大王わさび園이라고도 한다. 1917年, 대정大正 6年에 개장했으니, 지금은 有限会社大王이 운영한다. 2015年 6月 17日 訪問했다. 물을 제외하면 인삼 재배와 비슷한 느낌을 준다. 와사비농장 인근을 사이강과 그 지류인 만미즈강이 흐르는데, 수초 우거진 이 강물이 하도 끼끗해 이 자연 강물을 그대로 대서 와사비를 제공한다 생각하기 쉽겠지만, 이 강물로는 와사비를 키울 수 없단다. 저 물레방아는 이 와사비농장을 소개할 때 빠지지 않는다. 현장에서 판매하는 와사비들인데, 뭐 대강 저리 다듬어 파는 모양이다. 저걸 어찌해서 가공하고 요리.. 2019. 6. 17.
Goryeong Jisandong Tumuli of Daegaya / 高靈池山洞古墳群 / 고령 지산동 고분군 Located along the ridge of Jusan Mountain (elevation 310m above sea level), which surrounds the town of Goryeong these tombs were first built around 400 CE when Daegaya began to develop in full swing. Their construction came to an end in 562 CE when the kingdom finally met its demise. In 1963, this cluster of tombs was designated Historic Site No. 79 (830,181m2 in ground area) and came to be kno.. 2019. 6. 17.
농부가 된 경주학연구원장의 카페 겸 펜션 <바실라> **** 지금 소개하는 곳은 내 지인이요, 여러번 현장을 가봤지만 숙박은 한 적 없으므로 혹 이 글을 보시는 분들 중이 이 근처를 지나시게 되면 들려보았음 하는 바람을 담은 광고성 포스팅임을 밝힌다. 그에 대한 그 어떤 반대급부, 예컨대 커피 한 잔 대접받지 않았다. 들어서며 주인장 오느라 외쳤더니 반응은 없고 한 중늙은이가 축대 아래서 열심히 수도꼭지 틀어 잔디와 화단에 뿌린다. 나름 독특한 폼새나는 전통한옥식 건물이라 해서 경주시에서 주는 건축상도 받은 모양이라 그 주인장 그게 못내 자랑인지 그 수상내역 돌삐에 박아 관객 유혹한다. 경주시에 압력을 넣어 받은 상인지, 아닌지는 자신이 없다. 저기 물뿌리는 늙은이가 경주지역사회에선 경주시장보다 바쁘다는 박임관이다. 현직은 농부, 부업은 경주학연구원장 제.. 2019. 6. 17.
한달만에 해치운 한양도성 축성 《세종실록世宗實錄》 148권, 지리지地理志 경도한성부京都漢城府 한 대목이거와, 현재 우리가 서울도성 혹은 한양도성이라 일컫는 그 거대한 공사 축성 과정을 집약 정리한 것이다. 번역은 문맥을 부드럽게 하는 수준에서 내가 손을 조금 봤다. 도성都城은 둘레가 9천 9백 75보步인데, 북쪽 백악사白嶽祠로부터 남쪽 목멱사(木覓祠)에 이르는 지름이 6천63보요, 동쪽 흥인문(興仁門)으로부터 서쪽 돈의문(敦義門)에 이르는 지름이 4천3백86보가 된다. 정동正東을 흥인문, 정서正西를 돈의문, 정북正北을 숙청문肅淸門, 동북東北을 홍화문弘化門【곧 동소문東小門】, 동남(東南)을 광희문光熙門【곧 수구문水口門】, 서남西南을 숭례문崇禮門【곧 남대문】, 소북小北을 소덕문昭德門【곧 서소문西小門】, 서북西北을 창의문彰義門이라 한다. .. 2019. 6. 17.
백원百圓만 있으면 누구든 성공하는 조선 고서점[古本屋]과 세책점貰冊店 창업(1) 유춘동(선문대 역사문화콘텐츠학과) 1910년 이후부터 일본에서는 일본인들의 조선으로의 이주(移住)가 ‘붐’을 이루던 때였다. 러일전쟁에서 승리하고 대한제국을 합병한 일본으로서는 확장한 영토를 일본인들이 관리해야 한다는 명분에서 일본인들의 이주를 적극적으로 권장했다. 일본 정부는 일본인들에게 “조선은 인생 역전의 마지막 기회의 땅”이라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조선에 정착해서 수월한 생활을 위해 조선어를 배우려는 열기, 조선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호기심이 높아졌다. 출판업계는 이러한 시대 분위기를 놓칠세라 와 같은 각종 책자들을 무더기로 간행했다. 일본 정부는 처음에는 주로 농업(農業) 이민을 적극적으로 장려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조선인들을 대상으로 한 상업(商業), 공업(工業), 서.. 2019. 6. 17.
시간을 잊은 사마귀 아들놈이 부화시키고 키운 사마귀 똥똥한 배를 보니 알을 품었나 보다. 보통 이 모습은 자연상태서는 가을 풍광이다. 2019. 6. 16.
대원군 서원훼철령에서 살아남은 47곳 고종실록 8권, 고종 8년 3월 20일 경술 4번째기사 1871년 조선 개국(開國) 480년 전국의 서원 중에서 47개 서원만 남기고 나머지는 철폐하다 예조(禮曹)에서, ‘한 사람에 대해 중첩하여 세운 서원(書院)을 헐어버리는 문제는 두 차례의 하교에 따라 신 조병창(趙秉昌)이 대원군(大院君) 앞에 나아가 품의(稟議)한 결과, 「성묘(聖廟)의 동쪽과 서쪽에 배향하는 제현(諸賢)과 충절(忠節)과 대의(大義)를 남달리 뛰어나게 지킨 사람으로서 실로 백세토록 높이 받들기에 합당한 47개 서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제사를 그만두며 현판을 떼어내도록 하라.」는 뜻으로 하교를 받들었습니다. 이미 사액(賜額)하여 계속 남겨두어야 할 47개의 서원을 별단(別單)으로 써서 들입니다. 계하(啓下)한 뒤 각도(各道)에 행회(行.. 2019. 6. 16.
서왕모의 곤륜산 선도산과 서악서원 경주분지를 중심으로 서쪽에 똬리를 튼 큰 산이라 해서 서악西嶽이라지만, 嶽이라는 별칭에는 어울릴 만한 높은 산은 아니니 일명 이곳을 서형산西兄山이라 하거니와 글자를 곧이곧대로 풀면 서쪽에 있는 형님 혹은 누님 같은 산이란 뜻이니 결국 서악을 이리 푼데 지나지 않거니와 그 기슭에 정좌한 서악서원西嶽書院 저 뒤편 펌퍼짐한 산이 바로 서악이요 서형산이다. 조선시대 서원은 항용 그곳이 자리한 곳 지명을 따서 명명하거니와 이 서원 역시 그리 불리는 원천이 저 산에서 말미암는다. 이곳 서악은 다른 별칭도 있어 선도산仙桃山이라 하거니와 이건 말할 것도 없이 서왕모西王母라는 지상의 절대 여성, 절대 권력자가 사는 신선의 서쪽 궁전이라는 관념에서 따왔으니 仙이란 서왕모가 대표하는 신선들의 궁전이란 뜻이요, 그곳에는 불사.. 2019. 6. 16.
포석정, 버닝썬에서 종묘로 경주 남산 기슭 포석정鮑石亭은 유흥주점 버닝썬으로 한동안 통용했으나, 당당한 신라의 종묘였다. 그 정식한 이름은 포석사鮑石祀, 약칭 포사鮑祀였으며그것이 등장한 시기는 법흥왕 이전 신라 중고기 혹은 상고기였고 그것은 신라라는 왕조의 통합성을 버무려낸 국가사당이요 국가보혼시설이었다. 그곳은 현충원이었다. 2019. 6. 16.
기적을 이룩한 U-20 월드컵 전사들한테 박수갈채를 보내며 성인 월드컵에서는 우리가 조별리그에서 탈락하고도 환호했다. 마지막 경기에서 거함 독일에 2-0으로 완승한 여파였다. 1, 2차전 결과가 좋지는 아니했지만, 그래도 우리가 조별리그를 통과한다는 가능성은 희박했던 이유도 톡톡했으리라 본다. U-20 월드컵에선 우리가 결승까지 올랐다. 누구도 예상 못한 선전이었고, 그래서 기적이라 불러도 손색없다. 그런 어린 친구들이 방금 끝난 우크라이나와의 마지막 결승에서 1-3으로 분패하고 눈물을 흘린다. 이것이 아이러니다. 준우승은 박수를 넘어 갈채를 받아야 하는데, 지금은 당장의 패배가 좀 쓰리다. 이것이 냉혹한 스포츠 세계이기도 하다. 지금 당장은 저들에게 그래도 잘했다는 말이 결코 위로가 될 수는 없으리라. 당장의 패배가 그만큼 아픈 까닭이다. 그래도 내가 이 말은.. 2019. 6. 16.
접시꽃 encountering pine trees 도종환이 접시꽃을 당신에 견주었을 때 그 백대서는 비름빡이었을까? 비름빡 뒤로 다시 노송들이 병풍처럼 둘러쳤으니 빛나는 건 접시꽃인가 소나무인가? 아님 비름빡인가? 포석정 비름빡 비낀 접시꽃 붉음 한창이라 천년사직 종말을 기뻐하리라 2019. 6. 15.
Tomb of King Jima | 祗摩王陵 | 지마왕릉 이 능은 신라 제6대 지마왕( 재위 112~134)을 모신 곳으로 남산 서쪽 아래에 있다. 능은 밑 둘레 38미터, 높이 3.4미터로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형태이며 별다른 특징은 없다. 지마왕은 파사왕婆婆王의 아들로 태어나 23년간 재위하면서 가야, 왜구, 말갈의 침입을 막아 국방을 튼튼히 했다. This is the tomb of King Jimar. 112-134 AD, the sixth king of the Silla Kingdom. It is located at the foot of the western part of Mt. Namsan. The round earthen mound measures 38m in circumference and 3.4m in height. King Jima was .. 2019. 6. 15.
Daewang-am, or the Great King's Rock | 文武大王陵大王巖 | 문무대왕릉 대왕암 Daewang-am, or the Great King's Rock, about 200m off the coast here, is the undersea tomb of Munmu-wang(661~681), the 30th ruler of the Silla Kingdom(57B.C~ 935). The rocky islet about 20m long has a small pond at the center and at the bottom of it is a granite stone 3.6m long, 2.9m wide and 0.9m high. It is said that the King was cremated in a Buddhist ritual and his ashes buried here according.. 2019. 6. 15.
Three-Story Pagodas at GAMEUNSA Temple | 慶州感恩寺址 | 경주 감은사지 Three-Story Pagodas at GAMEUNSA TempleHistoric Site NO.31. National Treasure NO.112 Location : Yongdang-ri, Yangbuk-myeon, Gyeongju City, Gyeongsangbuk-do After unifying the Korean Peninsula Munmu-wang(r.661-681), the 30th ruler of Silla(57.B.C-A.D.935). began to build the temple to repel Japanese marauder. It was completed in 682 by his son, Shinmun-wang (r.681-692). Munmu-wang vowed to become .. 2019. 6. 15.
신라사학회 창립선언문(2003년 3월 21일) *** 이 창립선언문은 내가 쓰고, 당시 초대회장 김창겸 선생이 손을 봤다. 그 마지막 "신라사학회여! 너를 세상에 내보내나니, 그 탄생의 울음소리 고고하구나. 나아가 소리칠 지어다. 포효할 지어다. 그리고 신라를 위해 변명할 지어다. 스스로 주창하여라"는 내 원고에는 "신라사학회여! 너를 세상에 내보내나니, 나아가 소리칠 지어다. 포효할 지어다. 그리고 신라를 위해 변명할 지어다. 스스로 주창할지어다" 정도였다고 기억한다. 이 마지막 구절은 신채호가 어느 단행본인가 내면서 그에다가 붙인 글을 응용한 것인데, 신라를 경멸한 그의 구절에서 이걸 굳이 내가 가져와 신라를 웅변하는데 썼다. 신라사학회를 창립하며 이 땅에 삶을 살았으며, 또 지금 이 땅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 그들의 시대는 지금까지 신라를 한켠에.. 2019.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