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491

법선(法宣) ☞김법선(金法宣) 2018. 3. 6.
김의관(金義寬) 삼국유사 기이2 원성대왕(元聖大王)조에 등장하는 의관(議官)과 동일인물이라 생각된다. 삼국사기 권제6(신라본기 제6) 문무왕 상 : 10년(670)…가을 7월에 왕은 백제의 남은 무리들이 배반할까 의심하여 대아찬 유돈을 웅진도독부에 보내 화친을 청하였으나 [도독부는] 따르지 않고, 사마(司馬) 예군(=軍)을 보내 우리를 엿보게 하였다. 왕은 [그들이] 우리를 도모하려는 것을 알고 예군을 붙잡아 두어 돌려 보내지 않고 군사를 일으켜 백제를 쳤다. 품일, 문충, 중신, 의관(義官), 천관(天官) 등이 성 63곳을 쳐서 빼앗고 그 사람들을 내지(內地)로 옮겼다. 천존과 죽지 등은 일곱 성을 빼앗고 2천 명을 목베었으며, 군관과 문영 등은 12성을 빼앗고 오랑캐 군사를 쳐서 7천 명을 목베었으며 빼앗은 말과 병.. 2018. 3. 6.
의관(義寬) ☞김의관(金義寬) 2018. 3. 6.
위문(魏文) ☞김위문(金魏文) 2018. 3. 6.
김위문(金魏文) 신라 성덕왕 11년(712) 3월, 이찬으로 중시가 되었다가 이듬해 10월, 나이가 많음을 이유로 물러났다. 그의 손자 김경신이 즉위해 원성왕이 됨으로써 흥평대왕(興平大王)에 추봉됐다. 삼국사기 권 제8(신라본기 8) 성덕왕 : 11년(712)…3월에 이찬 위문(魏文)을 중시로 삼았다. 12년(713)…겨울 10월에 중시 위문(魏文)이 나이가 많아서 관직에서 물러나기를 청하였으므로 허락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원년 2월에 왕의 고조부 대아찬 법선(法宣)을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증조부 이찬 의관(義寬)을 신영대왕(神英大王)으로, 할아버지 이찬 위문(魏文)을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죽은 아버지 일길찬 효양(孝讓)을 명덕대왕(明德大王)으로 추봉하였다. ☞흥평대왕(興平大王) 2018. 3. 6.
마질차摩叱次 신라 원성왕 김경신의 5대조로서 생전 최고 관위가 잡간임을 확인할 뿐, 그 외 흔적은 발견되지 않는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 2 원성대왕(元聖大王) : 왕의 능陵은 토함산吐含山 서쪽 동곡사洞鵠寺(지금의 숭복사崇德寺)에 있는데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비문이 있다. 왕은 또 보은사報恩寺와 망덕루望德樓를 세웠다. 조부 훈입訓入 잡간匝干을 추봉追封하여 흥평대왕興平大王이라 하고, 증조曾祖 의관議官 잡간을 신영대왕神英大王이라 하고, 고조高祖 법선法宣 대아간大阿干을 현성대왕玄聖大王이라 했다. 현성대왕의 아버지는 곧 마질차摩叱次 잡간이다. 2018. 3. 6.
효양(孝讓) ☞김효양(金孝讓) 2018. 3. 5.
김효양金孝讓 신라 제39대 원성왕 아버지로, 아들이 즉위하자 명덕대왕明德大王에 추붕됐다. 생전 최고 관위는 일길찬이었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원년 2월에 왕의 고조부 대아찬 법선(法宣)을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증조부 이찬 의관(義寬)을 신영대왕(神英大王)으로, 할아버지 이찬 위문(魏文)을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죽은 아버지 일길찬 효양(孝讓)을 명덕대왕(明德大王)으로 추봉하였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39대 원성왕(元聖王)은 김씨다. 이름은 경신(敬愼)인데 경신(敬信)이라고도 한다. 당서(唐書)에는 경즉(敬則)이라 했다. 아버지는 효양(孝讓) 대아간(大阿干)이며 명덕대왕(明德大王)에 추봉됐다. 어머니는 인=(仁□)인데 지오부인(知烏夫人)이라고도 하는데 시호는 소문왕후(昭文王后.. 2018. 3. 5.
명덕대왕明德大王 신라 원성왕 김경신의 아버지 김효양을 말한다. 김경신이 즉위하면서 추봉된 존호다. 생전에 최고 관위는 삼국사기에서는 일길찬, 삼국유사에서는 대각찬이라 해서 차이가 있다. 만파식적을 아들 김경신에게 전했다고 한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원년 2월에 왕의 고조부 대아찬 법선(法宣)을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증조부 이찬 의관(義寬)을 신영대왕(神英大王)으로, 할아버지 이찬 위문(魏文)을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죽은 아버지 일길찬 효양(孝讓)을 명덕대왕(明德大王)으로 추봉하였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39대 원성왕(元聖王)은 김씨다. 이름은 경신(敬愼)인데 경신(敬信)이라고도 한다. 당서(唐書)에는 경즉(敬則)이라 했다. 아버지는 효양(孝讓) 대아간(大阿干)이며 명덕대왕(明.. 2018. 3. 5.
흥평대왕(興平大王) 신라 원성왕 김경신의 조부 김위문(金魏文)을 말한다. 김경신이 즉위하면서 추봉된 존호다. 생전 최고 관위는 이찬이었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원년 2월에 왕의 고조부 대아찬 법선(法宣)을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증조부 이찬 의관(義寬)을 신영대왕(神英大王)으로, 할아버지 이찬 위문(魏文)을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죽은 아버지 일길찬 효양(孝讓)을 명덕대왕(明德大王)으로 추봉하였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 2 원성대왕(元聖大王) : 왕의 능(陵)은 토함산(吐含山) 서쪽 동곡사(洞鵠寺; 지금의 崇德寺)에 있는데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비문이 있다. 왕은 또 보은사(報恩寺)와 망덕루(望德樓)를 세웠고, 조부(祖父) 훈입(訓入) 잡간(匝干)을 추봉(追封)하여 흥평대왕(興平大王)이라 .. 2018. 3. 5.
신영대왕(神英大王) 신라 원성왕의 증조로, 원성왕 즉위와 더불어 추봉된 존호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원년 2월에 왕의 고조부 대아찬 법선(法宣)을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증조부 이찬 의관(義寬)을 신영대왕(神英大王)으로, 할아버지 이찬 위문(魏文)을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죽은 아버지 일길찬 효양(孝讓)을 명덕대왕(明德大王)으로 추봉하였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 2 원성대왕(元聖大王) : 왕의 능(陵)은 토함산(吐含山) 서쪽 동곡사(洞鵠寺; 지금의 崇德寺)에 있는데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비문이 있다. 왕은 또 보은사(報恩寺)와 망덕루(望德樓)를 세웠고, 조부(祖父) 훈입(訓入) 잡간(匝干)을 추봉(追封)하여 흥평대왕(興平大王)이라 하고, 증조(曾祖) 의관(議官) 잡간을 신영대왕(神英大王)이.. 2018. 3. 5.
현성대왕(玄聖大王) 신라 원성왕의 고조로, 본명 김법선이며, 원성왕이 즉위하면서 추봉된 존호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원년 2월에 왕의 고조부 대아찬 법선(法宣)을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증조부 이찬 의관(義寬)을 신영대왕(神英大王)으로, 할아버지 이찬 위문(魏文)을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죽은 아버지 일길찬 효양(孝讓)을 명덕대왕(明德大王)으로 추봉하였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 2 원성대왕(元聖大王) : 왕의 능(陵)은 토함산(吐含山) 서쪽 동곡사(洞鵠寺; 지금의 崇德寺)에 있는데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비문이 있다. 왕은 또 보은사(報恩寺)와 망덕루(望德樓)를 세웠고, 조부(祖父) 훈입(訓入) 잡간(匝干)을 추봉(追封)하여 흥평대왕(興平大王)이라 하고, 증조(曾祖) 의관(議官) 잡간을 신영.. 2018. 3. 5.
훈입(訓入) ☞김훈입(金訓入) 2018. 3. 5.
마질차(摩叱次) ☞김마질차(金摩叱次) 2018. 3. 5.
신술(神述) ☞김신술(金神述) 2018. 3. 5.
김신술(金神述)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원성왕(元聖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경신(敬信)이고 나물왕(奈勿王) 12세손이다. 어머니는 박씨 계오부인(繼烏夫人)이고, 왕비 김씨는 각간 신술(神述)의 딸이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39대 원성왕(元聖王)은 김씨다. 이름은 경신(敬愼)인데 경신(敬信)이라고도 한다. 당서(唐書)에는 경즉(敬則)이라 했다. 아버지는 효양(孝讓) 대아간(大阿干)이며 명덕대왕(明德大王)에 추봉됐다. 어머니는 인=(仁□)인데 지오부인(知烏夫人)이라고도 하는데 시호는 소문왕후(昭文王后)이니, 창근(昌近) 이간의 딸이다. 비는 숙정부인(淑貞夫人)이니 신술(神述) 각간 딸이다. 을축년에 즉위해 14년을 다스렸다. 능은 곡사(鵠寺)에 있는데 지금의 숭복사(崇福寺)이니, 치원.. 2018. 3. 5.
복신(福信) 백제 무왕의 조카로서, 백제가 멸망하자 승려 도침과 함께 주류성을 근거지로 삼아 부흥운동을 일으켜 왜국에 가 있던 의자왕의 아들 부여풍을 맞아들여 왕으로 세웠다. 삼국사기 권 제27(백제본기 제5) 무왕 : 28년(627) 가을 8월에 왕의 조카 복신(福信)을 당나라에 보내 조공하니, 태종은 [백제가] 신라와 대대로 원수가 되어 서로 빈번히 침략·토벌한다라고 하면서 왕에게 조서[璽書]를 내려 말하였다. 『왕이 대대로 군장(君長)이 되어 동쪽 번병[東蕃]을 위무하고 있다. 바다 귀퉁이[海隅]가 멀고멀며 바람과 파도가 험난하지만 충성이 지극하여 조공이 서로 잇따르고, 더욱이 [경의] 아름다운 꾀를 생각하니 심히 기쁘고 위로가 되도다. 짐은 삼가 하늘의 명[寵命]을 받들어 강토에 군림하고 정도(正道)를 넓히려.. 2018. 3. 5.
사걸(沙乞) 무왕 28년(627), 신라 변경 두 성을 공격해 함락한 백제 장군이다. 삼국사기 권 제27(백제본기 제5) 무왕 : 28년(627) 가을 7월에 왕이 장군 사걸(沙乞)에게 명령하여 신라의 서쪽 변경의 두 성을 함락하고 남녀 300여 명을 사로잡았다. 왕은 신라가 빼앗은 땅을 회복하려고 크게 군대를 일으켜 웅진(熊津)으로 나아가 주둔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4 진평왕 : 49년(627)…가을 7월에 백제 장군 사걸(沙乞)이 서쪽 변방 두 성을 함락시키고 남녀 300여 명을 사로잡아 갔다. 2018. 3.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