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475

한국 민족주의의 운명 최근 한국은 과거와 달리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여 한국을 바라보는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위상이 과거와는 완전히 다르다는 이야기를 한다. 특히 젊은 층에서 한국인으로서 가지는 생각 자체는 필자와 같은 구세대와는 다르다. 단언컨데 세계적 위상을 가진 한국이라는 나라라는 지금의 동향이 맞다면 식민지시대 이래 활용된 민족주의는 이와 같이 공존하기 힘들다고 하겠다. 혹자는 열린 민족주의 등의 이야기로 이미 시한을 다한 민족주의 생명을 유지시키고자 하는 시도도 하는데, 한국문화가 의미를 갖는다면 한국인이 그것을 향유하기 때문에 소중한 것이 아니라 어느 나라 어느 문화권 사람들이 봐도 쿨한 그런 것만이 가치로 인정받는 시대로 이미 들어간 것이다. 항상 그렇다. 사라질 때를 알고 저무는 시기에 저항하지 않는 것이 개인의.. 2023. 8. 16.
독도와 관련된 1946년 GHQ 군정명령 우리는 독도야말로 역사적으로 우리 영토로서 실효적 지배가 분명히 합법적이라는 쪽에만 관심이 있기 때문에 독도 영유의 역사적 연원과 일본의 독도 침탈 문제에만 자연히 관심을 갖게 되는데, 이미 규명된 사실 중에 우리가 놓치는 부분 중의 하나가 이승만정부 때 이른바 평환선, 이승만 라인의 성립의 전후 사전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부분에 대해 조금만 써 보겠다. 독도가 대한민국 정부의 실효적 지배 하에 놓인 결정적 사건이 이승만의 평화선=이승만 라인의 선포인데, 이 평화선이 선포될 당시는 한국전이 한창 진행 중이던 1952년이었다. 이 평화선이 선포되고 한국정부가 독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를 시작한 시점에, 일본정부가 왜 항의를 하지 못했는가 하면, 김 단장께서도 쓴 글처럼 평화선 선언 당시, 일본 정부라는 게.. 2023. 8. 15.
한일 영어교육의 기원 최근 한국의 국위가 상승하다 보니 한국말을 잘하는 외국인은 정말 많다. 특히 한국말의 디테일 한 부분까지 구사하는 외국인을 보면 더 찬탄을 금치 못할 때가 많다. 그런데 한 가지 생각나는 부분은 이들 한국어를 잘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운 기간이 생각보다 짧다는 것이다. 물론 잘 하는 사람들만 티비 등에 노출되기 때문에 그런 것일 수도 있는데, 항상 느끼는 일이지만 한국과 일본인의 경우 초중고 대학에 일반인이 되어서도 영어에 투자하는 시간을 생각하면 외국인들보다 영어 대화가 정말 잘 안 된다는 생각이다. 한 10년 한국어를 했다는 외국인들, 특히 요즘에는한국에 장기체류도 하지 않고 다만 자국에서 배웠다는데도 유창하게 한국어를 하는 사람들을 보노라면, 내 영어도 나름 수십년의 시간을 투자한 영어인데 과연 .. 2023. 8. 13.
멸망의 역사를 담담하게 볼 노력 근대한국사에 식민사관이라는 것이 애초부터 없었다고 한다면 그건 착각이라고 본다. 일제시대 만들어진 한국사의 전체 뼈대는 분명히 패배자의 역사를 '그러니까 이 역사는 안돼'라는 시각에서 쓴 부분이 있었고 그런 부분은 해방이후 치밀한 고증에 의해 고쳐져야 할 부분임도 틀림없다. 이 때문에 식민사관의 극복이야말로 해방 이후 한국사학이 짊어져야 할 최대의 태스크로 간주되어 왔는데, 재미있게도 최근에는 이러한 '식민사관'-정체성과 타율성 등은 전혀 다른 이유에서 해결될 징후가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는 해방이후 한국이 지지리도 못살던 삼류 후진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불과 몇십년만에 도약하면서 이러한 식민사관적 파라다임은 더이상 무의미한 이야기가 되어버렸다는 점이다. 지금 한국을 두고 '정체성'과 '타율성', '열.. 2023. 8. 13.
막부 학문소와 동경대학 이제 동경대 이야기를 해 보자. 일본 근대교육제도에서 메이지 초년에 원래 일본 전체에서 대학은 동경제국대학 단 한 개였다. 이러한 상황은 제국대학령에 의해 동경대 외에 쿄토대 등 다른 제국대학이 추가로 설치되면서 달라지게 되었지만, 아무튼 메이지시대의 교육제도 초반은 상당기간은 일본에 대학이 단 한 개만 있는 상황이 오랫동안 이어졌다. 원래 메이지 정부의 방침은 동경대를 막부의 공식적인 최고학부인 昌平坂学問所를 중심으로 만들려고 했었다. 昌平坂学問所는 강항으로 부터 감화받아 일본최초의 본격적인 성리학자가 된 후지와라 세이카의 제자, 하야시 라잔이 막부의 지원을 받아 설립한 것으로 에도 막부의 명실상부한 최고학부가 되었다. 이 학문소의 유지가 일본 동경 간다역 근처에 가면 아직 남아 있는데 지금은 "유지마.. 2023. 8. 11.
아이지현愛知県 제4중학이 된 번교藩校 시습관時習館 1752年(宝暦2年) - 藩校時習館、藩主松平信復により、城内の八丁小路(現在の豊橋市八町通)に設立。 1806年(文化3年) - 「時習館規条」制定。 1872年(明治5年) - 藩校時習館廃止。 1893年(明治26年) - 私立補習学校時習館(愛知県立時習館高等学校の前身)設立。藩校時習館の名を借りて称した。 1900年(明治33年) - 愛知第四中学校(ナンバースクール)へ改名。 1948年(昭和23年)10月 - 豊橋時習館高等学校の校名に改称し、「時習館」の名称が復活する。 1956年(昭和31年) - 愛知県立時習館高等学校に改称。 아이치현에는 미카와요시다 번이 있었는데 이 번의 번교藩校를 논어의 글귀를 따 시습관時習館이라 불렀다. 번교가 설립된 시기는 1752년. 메이지유신후 폐지되었다가 사립학교로 전환되었고, 1900년에 아이치현의 제4중학.. 2023. 8.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