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런저런1935

ai 쓰나미에 구닥다리만 양산하는 나 유행은 순식간에 변한다.글도 그렇다.작년 이맘쯤엔 나름 신선하다 했던 것도 일년 지난 지금 보면 out of date라그 글쓰기도 몇 달이 되지 않아 시대에 처진 구닥다리가 되고 만다.꾸준히 한 우물을 파는 짓 만한 멍청 없다.끊임없이 변신해야 하는 이유다.그 점에서 나는 어떤가?작년의 나가 여전히 아닌가 되묻는다.***작년 오늘 쓴 글이다.지난 1년 ai 쓰나미라 이 흐름에 어찌 대처해얄지 모르겠다.ai가 모든 걸 삼킨다.학습속도가 너무 빨라 가르친 인간을 우롱한다.내 아무리 뛰어난 글도 저 친구가 학습하면 구문이 되어 버린다.ai를 먹여살리는 기계가 되어간다.저를 제대로 내가 조정하는가?갈수록 회의가 든다. 2025. 6. 7.
주인 잃은 개, 권력교체의 비정함 서먹서먹하기는 피차 마찬가지라 권력 틀어쥐고서 첫 국무회의라고 하기는 했지만새로운 권력도, 주인 잃은 패잔병들도 맥 빠지긴 마찬가지라 뭐라 권력이 당부하기는 하겠지만 그 지시가 울림이 있을 리 만무하지 않은가?세월아내월아 시간만 가라 서로 시계추만 잴 뿐이다.패잔병들이 무슨 일을 하겠는가? 그들의 비극은 직전까지 점령군이라는 데 있다.그래서 축출은 더 비참하다. 본래 없이 살면 권력이 누가 되건 눈꼽만큼도 내 일상과 관계가 없다.결국 저런 자리를 빌린 지시는 곧 나가는 저들은 제끼고 남아 있을 사람들, 곧 이른바 공직사회를 향하는 것이니 저 자리 참석한 사람들은 꿔다논 보릿자루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현대 민주정이 강고해질수록 all or nothing 게임이 확고한 법칙으로 자리잡을 수밖에 없으니 아.. 2025. 6. 6.
에베레스트 죽음의 지대란? 에베레스트 탐험: 죽음의 지대 이해하기 해발 8,848.86미터(29,031.7피트)로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 산은 전 세계 산악인들의 궁극적인 꿈이다.하지만 정상으로 향하는 여정은 극한의 도전과 마주하게 되는데, 그중에서도 "죽음의 지대Death Zone"만큼 두려운 곳은 없다.8,000미터(26,247피트) 이상에 위치한 이 악명 높은 구간은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환경으로 극도의 준비, 기술, 그리고 결단력을 요구한다. 죽음의 지대란 무엇일까? 죽음의 지대란 산소량이 장기간 생존하기에 부족한 고도를 말한다.이 고도에서 이용 가능한 산소량은 해수면의 약 3분의 1에 불과하여 호흡이 어렵고 지치게 된다. 등반가들은 생존을 위해 종종 산소를 보충하지만, 이것조차도 위험을 완전히 없애지는 못한다.죽음의 .. 2025. 6. 6.
총질하는 트럼프와 일론 머스크, 더 안쓰러운 나 트럼프-머스크 비난전 속 파국…"정부계약 취소" vs "탄핵 예스"(종합2보) | 연합뉴스(워싱턴·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박성민 임미나 특파원= 한때 '주군(主君)과 최측근'으로 불리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www.yna.co.kr죽자사자한 트럼프 일론머스크 관계는 주변에서 볼 때는 위태위태하기만 했으니 나 역시 언제 끝나냐를 기다리는 중이었다.그리 보인 까닭은 간단해서 어울리기엔 두 사람은 너무 주관 주장이 뚜렷하기 때문이었다.이해 관계가 맞을 때야 그 관계가 혈맹이 되고 폭발성이 배가하지만 그 관계는 실은 곡예 게임에 지나지 않는다.무던하다는 말이 있는데 누구 하나는 무던하기만 해야 한다.관중과 포숙아가 그 대표라 저 관계가 죽을 때까지 간 오직 하나의 이유는 포숙아의 .. 2025. 6. 6.
[전문] 이재명 대통령, '취임 선서 후 국민께 드리는 말씀' [전문] 이재명 대통령, '취임 선서 후 국민께 드리는 말씀'2025-06-04 제21대 대한민국 이재명 대통령 취임식이 국회에서 있었으니 그 취임선서식에서 말한 '국민께 드리는 말씀' 전문이다.취임식은 이날 국회 본청 로텐더홀에서 있었다.『존경하고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여러분이 선택해 주신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이재명 인사드립니다.한없이 무거운 책임감과 한없이 뜨거운 감사함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5천200만 국민이 보내주신 5천200만 가지 열망과 소망을 품고 오늘부터 저는 대한민국 21대 대통령으로서 진정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향한 첫발을 내딛습니다.미래가 우리를 향해 손짓하고 있습니다. 벼랑 끝에 몰린 민생을 되살리고, 성장을 회복해 모두가 행복한 내일을 만들어갈 시간입니다.정쟁 수단으로 .. 2025. 6. 4.
그리 많이 죽는다는 산을 왜 갈까? 에베레스트의 경우 에베레스트 산에서 시신이 발견된 지점을 표시한 지도랜다. 좀 기분이 묘하다. 20세기 초 등반가들이 처음 에베레스트 산 정상 등정을 시도한 이후 2024년 기준, 330명 이상이 에베레스트 산에서 사망한 것으로 집계된다.사망 원인은 눈사태, 낙상, 노숙, 고산병, 탈진 등이 거론된다.특히 산소 농도가 매우 낮은 "죽음의 지대Death Zone"(해발 8,000미터 이상)에서는 시신 수습이 매우 어렵고 위험하기 때문에 많은 시신이 산에 그대로 남아 있다.이러한 위험을 무릅쓰고서도 에베레스트는 계속 등반객을 끌어들인다.무엇을 위해 갈까?산이 있으므로?산촌에서 태어나고 그곳에서 자라며 산과 함께 생활한 내가 처음 등산 문화라는 존재를 접했을 적에는 저들이 왜 산으로 가는지를 이해할 수 없었다. 왜?나한테 산은.. 2025. 6.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