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115

암짝에도 쓸모없는 기와 빗질 정면 타령 요새 내 친구 춘배가 가끔씩 과거 직장 토지주택박물관 소장품을 소개하거니와 오늘 아침 들고 나온 것이 이 통기와라 그러면서 그가 이르기를 토지주택박물관 소장 통와. 통일신라시대. 외면에 덩쿨무늬가 베풀어져 있고 안쪽에는 마포흔과 사절 소지 절단흔적이 선명하다. 이걸 빗질 정면 했다고 누가 그러더만 그건 아님 이라 했거니와 이에서도 한국고고학 뻘짓이 그대로 재현하거니와 저걸 빗질을 해서 정면, 곧 표면을 고르게 했니마니 하는 문제가 무에 중요하단 말인가? 물론 정면을 했다면야, 그만큼 저런 기와의 장식성을 높였다는 일 증거는 되겠지만, 그딴 거 하나도 안 중요하다. 도대체 저딴 걸 신라사람들은 왜 만들었으며, 저걸 어디다 어케 써먹었는지가 중요하지 않겠는가? 정면 타령 일삼을 그 시간에 그걸 궁구해야지 않.. 2024. 8. 25.
페니키아 도시 시돈이 선사한 아케메네스 황소 머리 기원전 5세기 페니키아 최대 도시 레바논 남부 시돈 Sidon 근처 에시문 Eshmun 사원에서 출토한 황소머리 조각 장식이다. 이 대리석 프로톰 protome은 이 지역이 당시 아케메네스 왕조 영향을 짙게 받았음을 보여준다. 레바논 베이루트 국립박물관 소장품이다. 프로토메(그리스어: προτομή)란 인간이나 동물 머리와 상체 형태를 취하는 장식을 말한다. 이를 출토한 에쉬문 사원 Temple of Eshmun은 페니키아 치유의 신인 에쉬문Eshmun을 모시는 고대 예배 장소로, 레바논 남서부 시돈에서 북동쪽으로 2km 떨어진 아왈리 강 근처에 있다. 이 유적은 기원전 7세기부터 서기 8세기까지 사람 거주 흔적이 있다. 이로 보아 인근 도시 시돈과 통합된 관계에 있었다고 본다. 아케메네스 지배기(BC .. 2024. 8. 25.
카우보이 정신 vs. 사무라이 정신 우리는 미국인이 우리에게 와서 "카우보이 정신"을 이야기 하면 웃을 것이다. 아니, 카우보이 정신, 뭐 있을 수도 있는데, 총은 카우보이의 상징이자 정신이다라던가, 무사도처럼 카우보이도, 검선일체처럼 총선일체를 이야기 하고 이것이 미국의 정신이라고 하면, 일단 미국인들 자체가 이야기 하면서 웃을 것이고, 우리도 듣고 웃을 것이다. 미국인들의 파이오니어 정신이라는 건 필자도 그들을 만나면서 분명히 있다고 느끼지만그것이 카우보이 정신으로 추앙할 만한 일은 아니라고 보기 때문이다. 왜일까?미국에서 카우보이가 뜬 것은, 웨스턴 무비 때문으로, 우리는 카우보이가 소를 모는 목동에서 일약 정의의 화신으로 뜨는 순간을 직접 영화에서 목도했기 때문이다.  소위 말하는 사무라이 정신이라는 것이 그렇다. 제국주의 시절 일.. 2024. 8. 25.
룰루랄라 말 타는 파지리크 스키타이 기원전 300년 무렵 어떤 무덤에서 출토한 카페트 그림에서 보이는 한 파지리크Pazyryk 기마병이다. 이 파지리크 사람들은 스키타이족Scythians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본다.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 이를 통해 사카Saka 고대 유목민의 기마 생활 방식을 엿본다. 사카Saka는 이란계 유목민족으로 중앙아시아에 살던 스키타이인을 부르는 명칭이다. 유라시아의 평원을 이동하며 살던 민족이다. 고대 그리스인은 사카를 스키타이라 했으니 사카는 페르시아 제국에서 부르던 민족명이다. 흔히 파지리크 문화 Pazyryk culture라 하면 현대 고고학자들이 기록한 사카, 곧 스키타이 매장지에는 남부 시베리아(몽골 근처) 알타이 산맥에 있는 노보시비르스크 남쪽, 알타이 공화국 울라간(.. 2024. 8. 25.
도기 등장 이전 만년 전 직조 바구니 예루살렘 동쪽 유대 사막 Judaean Desert 무라바아트 동굴 Muraba’at cave 에서 도기 등장 이전 신석기시대 Pre-Pottery Neolithic period에 속하는 약 1만500년 된 것으로 추정되는 완벽하게 보존된 직조 바구니woven basket  하나가 발견되었다고 지난 2021년 3월, 이스라엘 문화재청에서 발표했다.​ 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이런 종류 유물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일 수도 있다.​ 도기가 개발되기도 전에 직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전문가들은 92리터를 담을 수 있는 이 바구니 재질을 분석 중이다고 했거니와 이후 조사 결과가 어찌되었는지는 내가 추적하지 않아 모르겠다.​   저 발굴 소식은 아래에 있으니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는 분들은 참고 바란다.  .. 2024. 8. 24.
대중문화의 영역인 사무라이 픽션 흔히 일본사회는 사무라이 문화-. 국가대표 스스로를 사무라이 블루라고 부르기도 하고, 태평양전쟁 때에는 말단 군졸까지도 야마토 다마시이, 사무라이 정신을 부르짖었지만, 사실 지금 일본인의 태반은 사무라이가 아니라농민의 후손들이다. 그리고 일본인들 스스로 가지고 있는 사무라이 이미지, 그리고 외국인들이 일본문화를 볼 때 갖는 사무라이에 대한 선입견도, 역사적 팩트라기 보다는 대중문화의 영역에서 창조한 픽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역사라는 것, 전통이라는 것은 그런 것이다. 실제로는 관객이나 끌어보려고 영화나 가부키 판에 올려진 픽션과 과장들이 몇 세대만 내려가면 역사적 전통이 되어 사실인양 받아들여진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한국문화 한국의 전통도 마찬가지이다. 과연 저런 의례를 조선시대에도 몇 번이나 했.. 2024. 8. 24.
나무 한 그루 남기지 않은 이 여름 남한강변 절터들 좀 께름칙하기는 했지마는 새삼 확인하는 차원에서 한 번 밀어부쳐봤다. 역시나 무더위 기세 꺾이지 아니한 이 시즌 절터 답사는 상당한 인내를 요구하고 때론 죽음을 무릅쓰게 했다. 무엇보다 우리네 문화재 현장은 늘 말하듯이 나무 한 그루 남겨 놓지 않아 그늘이 없는 저 광활한 운동장주의가 판을 친다. 이리 만든 놈들은 뭐 잡고 반성에 반성을 거듭해야 한다. 특히 발굴한 놈, 그걸 저리하라 허가한 문화재위와 문화재청 놈들이 석고대죄해야 한다. 이 여름 문화재 현장이라며 너희가 만들어 놓은 그 현장 어떤 참사를 빚고 있는지 체험으로 확인하고 뭐 잡고 진짜로 반성 반성해야 한다. 열사병 걸린다. 너흰 저리 만들어놓은 너희가 자랑스러울지 모르나 그걸 향유해야 하는 사람들은 비극이요 참극이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 2024. 8. 24.
[독설고고학] 갑옷은 한 번이라도 걸쳐보고 갑옷이 어떠네 하고 떠드는 고고학도가 부지기 숫자인데 장담하지만 단 한 친구도 그 갑옷 걸쳐 본 이 없다.왜?그거 걸치고서도 각종 뻘소리 할 고고학도 없을 테니깐 말이다.함 입어봐라.입어보고 또 그 입은 옷으로 말 한 번 타 보고 철기병이니 기마병 떠들어도 늦지 않다.간단한 방법 있다.사극에 갑옷 입고 출연한 연기자들 만나 봐라.최수종은 힘들 테니 엑스트라들 함 인터뷰 해 봐라.그러고도 저런 뻘소리 나오는지.하긴 농업의 농자도 모르는 자들이 농업을 떠들고 있으니 그 한심함 더 말해서 무엇하랴?*** previous article ***[독설고고학] 나이 먹었다고 현장 떠나 훈수질 하는 이가 고고학도인가? [독설고고학] 나이 먹었다고 현장 떠나 훈수질 하는 이가 고고학도인가?일정한 나이에 도달하고 직책도 .. 2024. 8. 24.
필자의 새로운 프로젝트 소개 필자가 준비하고 있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이 제목을 보면 무엇을 하는 것인가 궁금하시겠지만, 결국 한국과 일본의 연구자들 사이에 가장 핫 이슈의 하나인, 한반도 남부 고대 한국인의 일본 이주에 대한 부분이라고 생각하면 간단히 이해가 되지 않을까. 이를 위해 역사학, 고고학, 유전학, 인류학 등 관련 분야의 연구를 계속 파고들어최대한 객관적 사실에 가까운 결론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사실 필자의 연구 편력에 있어 이 주제에 대한 관심은 아주 오래전부터 있었는데 오랫동안 교유해 온 고고학 전공자 분의 도움을 얻어학제간 연구의 형태로 이제 마침내 첫 발을 떼게 되었다. 이에 관련 연구성과를 앞으로 매년 2-3편은 보게 될 것이며필자 인생에서 완전히 절필하게 되는 날까지 이 연구는 계속 될 것이다.첫.. 2024. 8. 24.
이에야스의 아마겟돈 준비 (2) 다음으로 도쿠가와씨의 방비는-. 하타모토였다고 할 수 있다.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쇼군과 주종관계가 맺어진 상대는 각지에 분봉된 번주(다이묘)들도 있지만, 1만석이 안 되는 자들은 번에 분봉하지 않고 하타모토旗本라 불러 쇼군의 직속으로 삼았다. 아무리 큰 번의 번사라도 쇼군의 입장에서 본다면 배신이므로 쇼군을 직접 대면할 수 없었지만, 하타모토는 아무리 석고가 낮아도 쇼군을 직접 배알할 수 있었다. 하타모토는 쇼군 집안의 가신이라는 개념 때문이다. 따라서 불과 몇천 석의 하타모토와 백만석의 거대 번의 번주는 대등한 관계로 서로를 "도노"라고 불러야했다. 하타모토는 유사시 동원령이 내려지면 그 종자들까지 합쳐서 병력이 대략 8만명 정도로 설계되어 있었다고 하므로 "하타모토 8만기"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2024. 8. 24.
데 미른 선박들[Ships of De Meern], 게르마니아 국경 라인강 전선 로마를 지탱한 수송선 데 미른 1[De Meern 1]이라는 이름을 얻은 로마 선박은 1997년 네덜란드 Veldhuizen에서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배를 보존하기 위해 땅에 남겼지만 2003년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발굴하기로 결정했다. 이 배는 정확히 로마 제국과 게르마니아 국경에 위치하며 그 연대는 서기 200년경으로 추정한다. 길이 25m이고 네덜란드에서 자란.참나무로 만들었다. 참나무는 나이테연대 측정 결과 서기 148년 무렵 벌채했다. 증거에 따르면 이 배는 게르만족과의 전투에서 침몰한 것이 아니라 우연히 침몰했다. 이 선박은 현재 Museum Hoge Woerd[발음은 도저히 내가 알아들을 수 없는데 편의상 호그 부어드라 해둔다]에 있다. 데 미른 선박[Ships of De Meern]이란 네덜란드 위트레흐트Utr.. 2024. 8. 24.
이에야스의 아마겟돈 준비 (1)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세키가하라의 싸움, 오사카의 진을 거치며에도막부를 마침내 굳건한 반석 위에 올려놓았다. 다만, 에도막부는 이 막부를 쓰러뜨릴 전쟁이 언젠가는 오리라 생각하고 그 최후의 전쟁, 반 에도막부 세력과의 아마겟돈 전쟁이 벌어질 시기에이를 성공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막번체제를 설계하였다. 이에야스는 에도 막부에 도전할 아마겟돈 전쟁을 어떻게 준비했을까? 그 이야기를 좀 적어보겠다. 먼저 다이묘大名의 분봉. 에도시대 다이묘에는 세 종류가 있었다. 신판親藩, 후다이譜代, 도자마外樣 다이묘가 그것이다. 신판 다이묘는 도쿠가와 집안의 혈족이 영주인 번이다. 후다이 다이묘는 도쿠가와 집안이 세키가하라 싸움에서 이겨 천하를 손에 넣기 전부터 이에야스를 따라다니며 신종하던 집안이 영주인 번이다. 이 신판.. 2024. 8. 23.
진사 이상은 벼슬하지 말라는 뜻 흔히 당파 싸움에 환멸을 느껴 집안에 진사 이상의 벼슬은 하지 말라, 사마시만 급제하면 벼슬길에 나가지 말고 향촌에서 학문수행에 힘쓰라는 가르침이 있었다는 이야기가 의외로 우리나라 선비 집안에는 많이 전해져 온다. 물론 그런 고고한 뜻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뒤집어 이야기해 보면, 이는 굳이 벼슬길에 나가 녹사하지 않더라도 먹고 살 수 있었다는 이야기와도 같다. 왜냐하면 지주전호제에 바탕한 향촌 지주로서 넉넉하지는 않아도 벼슬길 나가지 않아도 먹고 살 경제적 기반이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은-. 에도시대의 경우 이게 불가능했다. 사무라이라면 앞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쇼군이 되던가, 다이묘가 되던가, 아니면 하타모토가 되던가 그보다 낮은 등급의 고게닌御家人이 되던가, 아니면 다이묘 수하의 번사라도 되어야 석고제.. 2024. 8. 23.
투트모시스Thutmosis, 역사가 기록한 최초의 조각가 투트모시스Thutmosis 혹은 투트모세Thutmose는 저 유명한 네페르티티 흉상 Nefertiti Bust 조각가로 아마도 인류가 기록한, 현재까지 알려진 최초의 전업 조각가였다 할 만하다. 저를 일컬어 "The King's Favourite and Master of Works, the Sculptor Thutmose", 곧 파라오가 가장 총애한 예술의 마스터라 했거니와 이른바 아마르나 양식 Amarna style이라 일컫는 고대 이집트 시대 조각풍을 확립했다고 평가되는 인물이다. 오늘날 아마르나 Amarna 로 알려진 인적 드문 마을 아케타텐 Akhetaten 에서 독일 고고학 탐험대가 1912년 12월 초, 폐허가 된 한 주거지와 스튜디오 단지(P47.1-3, 작업장을 말함) 하나를 발견했으니 이.. 2024. 8. 23.
당쟁의 온상 재지사족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일본의 에도막부와 달리조선에는 향촌에 특별한 직역 없이도지주라는 경제적 기초, 사족이라는 최소한의 요건만 충족할 정도의 명예만 보장되면 대대로 사대부로 존재할 수 있는 계층이 광범위하게 존재했는데 이들은 현실적으로 중앙정부가 어떠한 세력에 의해 장악되는가 상관없이 향촌을 지배하면서 대대로 내려갈 수 있었다. 이들 재지사족이야말로조선후기 당쟁이 격화되면서 (필자 주: 필자는 이 시기의 정쟁을 붕당정치라는 이름으로 미화하지 않는다. 그렇게 정의할 수 있는 것인가 나름 면밀히 검토하였는데, 붕당정치라는 이름보다 당쟁이라는 이름이 더 정확하다고 판단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세력간 싸움이 당대에 그치지 않고 대대로 몇백년씩 이어질 수 있는 사실상의 기초가 되었다. 얼핏 보면 지방.. 2024. 8. 23.
하타모토旗本 8만기 에도시대에 관한 글을 보다 보면, 소위 하타모토旗本 8만기라는 말이 나온다. 막번체제는 중앙에 막부가 자리잡고, 지방에는 막부 통제를 받으며 번이 지배하였는데, 번의 신하가 되는 사무라이가 바로 번사가 되는 것처럼막부의 신하에도 두 가지가 존재하였다. 첫째는 번주가 되는 영주 계급으로, 이들은 독립적 영토를 가지고 그 아래에 번사를 데리고 있었는데 막부에 대해 번사는 배신이기 때문에, 번사는 막부를 직접 상대할 수 없었다.  반면, 번주에 소속된 번사처럼 막부에 직접 소속된 사무라이들도 있었는데이들이 바로 하타모토다. 하타모토는 막부에 소속된 사무라이였기 때문에 신분상으로는 영주와 동일하였다. 영주 계급과 하타모토 차이는 전자는 번의 주인인데 반해, 하타모토는 번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들은 석.. 2024. 8. 23.
조선의 재지사족과 에도시대 사무라이 에도시대는 소위 막번 체제로서, 사무라이의 경우 그가 막부의 직할 무사가 되건 (하타모토), 아니면 1만석 이상의 영주(다이묘)가 되건, 영주에 귀속된 번 소속 배신(번사)이 되건 간에 어떤 형태든 소속이 있어야 석고제에 따라 먹고 살 수가 있었다. 쉽게 말해 직역이 없는 사무라이는 없었다는 뜻이 되겠다. 소속이 없는 끈떨어진 사무라이가 결국 낭인이 되겠는데, 요즘 식으로 말하자면 실업자가 되겠다. 이렇게 낭인이 한 번 되어 버리고 나면 다시 막번체제로 돌아가기 위해 공을 세울 기회만 노리고 정치적 혼란기에는 끊임없이 분란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이들을 막번체제는 적극적으로 제거하고자 하였다. 반면 조선시대에는 출사하지 않아 직역을 받지 않고도  대대로 사대부 신분을 유지할 수 있는 이들이 지방.. 2024. 8. 23.
극심한 가뭄이 준 축복, 반세기 만에 전모 드러낸 스페인 스톤헨지 흔히 스페인의 스톤헨지Spanish Stonehenge라는 별칭으로 통하는 이 유적은 일전에 자세히 소개한 적 있다. 이 과달페랄 고인돌Dolmen of Guadalperal은 스페인 엑스트레마두라Extremadura 지역에 장엄하게 서 있으며 이집트 피라미드보다 오래 전인 7,000년 이상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이 인상적인 기념물은 약 150개 커다란 화강암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는 높이가 2미터가 넘는다.비바람에 노출된 영국 스톤헨지와는 달리 고인돌은 1960년대에 생겨난 발데카냐스 저수지 Valdecañas reservoir 때문에 자주 물에 잠긴다.2019년 7월, 극심한 가뭄으로 50년 만에 처음으로 150개 돌이 모두 드러났고, 연구자들은 이 고대의 경이로움을 연구할 수 있는 희귀하고 .. 2024. 8. 23.
조선 양반님네들의 아주 좋지 아니한 버릇 책 앞장에 찍힌 전 주인의 장서인을 그냥 두지 않는다. 도려내고 문지르고...그것까지면 모르겠는데 그 자리에 자기 도장을 찍는다. 시간이 지나면 그렇게 덧찍은 인영印影도 사라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 책이 거쳐온 역사는 깡그리 잊혀지고 마니, 이 어찌 매우 나쁜 버릇이라 하지 않을손가!사진은 안평대군이 원글자를 쓴 경오자를 본뜬 훈련도감 목활자본을 목판에 뒤집어붙여 새긴 복각판을 17-18세기쯤 인쇄한(복잡하지만, 금속활자>목활자본>목판본) 《주문공교창려선생집》의 일부. 솜씨가 좀 거칠지만 그래도 안평대군 글씨의 흔적이 간간이 보인다. *** editor's note ***  장서인을 없애거나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경우의 수는 많다. 가장 대표가 도둑질이다. 이때 도둑한 사람이 그 흔적을 지우고자 장서인.. 2024. 8. 22.
[독설고고학] 전공이라는 폭력은 모른다는 고백을 후벼판다 내가 맨날맨날 내 친구 춘배를 놀리거니와 춘배는 못가본 곳만 골라서 넌 못 봤제 하고 후벼판다. 돌이켜 보면 넌 봤냐? 난 봤다만큼 훌륭한 무기 없다. 하지만 그 실상을 까보면 쭉정이 빈깡통이라 난 직접 가서 기념사진 박았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한국고고학 틈만 나면 혹독하게 까는데 솔까 그 까는 빌미는 지들이 초래했지 내가 만든 시나리오도 허상도 아니다. 지가 고고학했다 하면 적어도 고고학을 하지 않은 나 같은 사람들이 봤을 때 와! 진짜 넌 고고학도 맞구나 넌 다 계획이 있구나 하는 찬탄 추앙을 자아내야 정상 아닌가? 한데 그 꼬라지들을 보면 한심하기 짝이 없어 이건 뭐 고고학을 한 놈이나 안 한 놈이나 그 어떤 차이도 없으니 얼마나 한심한가? 그걸 나는 개돼지라 표현한다. 너희가 하는 일 개돼.. 2024. 8. 22.
[가우디도 울고 갈 인도건축] 자이나교 사원 중앙돔 인도건축은 그 재료가 아무리 상대적으로 조각이 쉬운 사암 계통이 주류라 해도, 그 섬세함과 장엄함은 여타 문화권에서는맛보기 힘든 그 무엇을 선사하곤 하거니와 이 루나 바사히 Luna Vasahi 또는 네미나타Neminatha 사원이라 하는 구자라트 주 소재 자이나교 사원 또한 예외는 아니다. 사진은 구자라트 장관을 역임한 Porwad 형제 바스투팔Vastupal과 테이팔Tejpal이 1230년, 먼저 죽은 형제 루리그Lunig를 추념하며 지은 이 사원 중에서도 랑 만답 Rang mandap 이라는 메인 홀 중앙 돔을 장식하는 펜던트다. 이를 보면 앉은 자세 72개 티르탕카라 tirthankara 형상이 원형 띠 모양으로 배열되었으며 이 밴드 아래에는 또 다른 원형 밴드에 360개 작은 자이나교 승려들을 .. 2024. 8.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