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107

어머? 여기가 어디라고 함부로 드루와? 한 잠수부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해안에 침몰한 고대 그리스 도시 헤라클레이온Heracleion 여성 조각에 접근한 장면을 포착한 사진이다.Photo by @antikcag.tarihi이 헤라Heracleion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북동쪽 아부키르만 Abu Qir Bay 에 위치한 고대 이집트 도시로 이곳을 토니스Thonis 또는 토니스-헤라클레이온 Thonis-Heracleion이라 불렀다는 사실이 이 수중발굴을 통해 밝혀졌다.이 도시는 기원전 8세기에 건립되어 번성하다가 서기 8세기 말에는 완전히 지중해로 잠기고 만다.  *** related articles ***  바다가 삼킨 도시 헤라클레이온 Heracleion 2천년 지중해 해저를 지킨 스핑크스 지중해 해저에서 드러난 고대 이집.. 2024. 8. 30.
노인들은 통일할 것인지 스스로 결정할 자격이 있다 우리는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기 때문에 산업화도 하고선진국도 만들어야 하고민주주의도 해야 하고 복지국가도 만들고통일도 해야 되고 그런 게 아니다. 필자 세대는 모르겠지만, 지금 70-80대 영감님들은 거지나 다름없던 한반도 남쪽 반을 산업화하여 여기까지 끌고 오는데 큰 기여를 한 사람들로, 이 세상 그 누구도 이 들에게 민족적 책임감을 갖고통일에 협조하라고 강요할 수 없다고 본다. 한반도 북쪽 절반-. 그야말로 필자도 할아버지 외할아버지께서 생각을 잘 못하사 월북이라도 하셨다면 나도 북쪽에서 거지처럼 살고 있을 가능성 백프로라그들의 운명이 불쌍하기는 하지만, 일차적으로 남한의 부, 남한의 돈주머니를북한에 통일이라는 이름으로 풀 것인가 말 것인가를 결정해야 할 가장 첫 번째 권리가 .. 2024. 8. 29.
긴 병에 효자 없고 가난 앞에 민족은 없다 긴병에 효자 없다는 말이 있다. 마찬가지로 가난 앞에 민족은 없다. 통일은 지상 최고의 가치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다. 정말 그런가를 한 번 곰곰히 생각해 봐야 할 때다. 간단히 설명해 보면, 우리집이 2인 가족이라 치면-. 완전히 거지가 된 생명부지 친척이 어느날 우리 집에 들어와야 할 상황이 되었다고 하면 그걸 반길 사람도 물론 있겠지만, 대부분은 거절할 것이다. 친척이라 해도 생명부지인데다 무엇보다 2인 가족이 거지 한 명을 부양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그 친척은 학력도 딸리 앞으로 얼마나 시간이 더 지나야 세상사에 적응하여 벌이라도 해올지 알 수도 없다고 한다면, 그래도 친척이라고 떠 안겠는가? 북한이 바로 이렇다. 민족. 좋다. 하지만 가난 앞에 민족은 없다. 인구 5천만에 거지가 된 2500.. 2024. 8. 29.
5천년 전 아일랜드 땅을 강림한 거대 신석기 무덤 보인 계곡 Boyne Valley의 노스 무덤 Knowth Tomb으로 들어가는 통로다. 아일랜드를 대표하는 신석기시대 횡혈식석실분[passage tome]의 대표 중 하나다. 기원전 3200년 무렵에 만들었을 이 고대 무덤은 브루나 보인 Brú na Bóinne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일부다. 이 노우스는 커다란 원형 마운드와 동지winter solstice에 떠오르는 태양과 일직선을 이루는 인상적인 통로로 유명하다. 이 유적에는 나선형과 구불구불한 모양을 포함해 복잡한 조각으로 아름답게 장식된 100개 이상 돌이 있어 뛰어난 장인정신을 보여준다. 무덤 안으로 통하는 통로는 이러한 조각으로 장식되어 있어 이 고대 기념물에 신비로움과 문화적 중요성을 더해준다. 이 신석기시대 거석기념물을 간헐로 여러 번 .. 2024. 8. 29.
도둑처럼 다가올 통일 우리나라 해방은 국내에 있던 이들에게는 정말 도둑처럼 찾아왔다. 믿어지지 않지만, 해방 직전까지 조선땅에서 태평양전쟁의 정국도 제대로 파악하고 있었던 사람들은 거의 없었으며, 필자가 이야기 했듯 아마 당시 전쟁의 정국만 국내에 제대로 전해졌어도전쟁말기 일제에 부역하여 평생의 업적에 먹칠을 한 많은 이가 인생행로를 바꾸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당시 국내의 인사로, 박헌영과 여운형 등도 해방은 전혀 눈치채지 못해박헌영 스스로도 해방은 도둑처럼 찾아왔다는 취지의 이야기를 남길 정도였고, 태평양전쟁의 정국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다면여운형도 건준이나 인공이라는 무리수를 두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하겠다. 해방? 당시 한반도 안에 있던 이들은 일제가 그렇게 망할 것이라 생각했던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렇게 갑자기 .. 2024. 8. 29.
[202408 도쿄풍경(1) KITTE의 도쿄대학 종합연구박물관IMT by 장남원    키테란 ‘우표[切手]’라는 말이기도 한데, 지요다구 옛 도쿄우체국 건물 일부를 보존하면서 현대식 쇼핑몰로 부활시켜 JP타워를 짓고이 건물 입구에 “KITTE”라고 이름을 붙여서인지사람들은 이곳을 ‘키테’라고 부른다.  옥상정원에서는 도쿄역과 광장 너머 마루젠이 보인다.격이 있지만 아주 비싸지는 않은 괜찮은 디자인 상품들과 카페, 맥주집, 음식점들이 가득한 곳이다. 과감하게 현대식 건축과 유적을 물리적으로 결합했지만일본 현대 건축의 시조격인 요시다 데쓰로(吉田鉄郎, 1894-1956)의 모던한 담각 덕분인지100년의 시간차는 느껴지지 않았다.https://en.wikipedia.org/wiki/Tetsuro_Yoshida Tetsuro Yoshida - WikipediaFrom Wikip.. 2024. 8. 29.
2024년 과천시 추사박물관 특별기획전 《영남을 찾아간 추사》 2024년 과천시 추사박물관 특별기획전 《영남을 찾아간 추사》 과천시 추사박물관에서는 9월 11일(수)부터 11월 30일(토)까지 하반기 특별기획전 《영남을 찾아간 추사》 를 개최한다. 이번 특별기획전은 추사 가문 및 추사 김정희 선생이 영남지역과 어떠한 관계를 맺었는지를 각종 글씨·현판·서화 등 작품을 통해 살핀다. 이번 전시는 총3부로 구성한다. 제1부 '영남과 추사 가문'에서는 추사 생부인 김노경(金魯敬,1766∼1837)이 경상도관찰사로 재임한 시기(1816.11~1818.12)의 작품들이 선보인다. , 포항 내연산 바위에 새긴 탁본, , 안동에 있던 상촌 김자수 비각에 쓴 등을 살핀다. 제2부 '영남과 추사 김정희'는 영남지역의 가문 및 불교와의 교류를 조명한다. 1839년 화재로 김정희가 다시.. 2024. 8. 29.
에트루리아가 직수입한 그리스 늑대 채색 도기 고르곤과 늑대 문양이 있는 에트루리아 채색 도기 중 하나다.만든 시기는 기원전 6세기 초현재 이탈리아 살레르노Salerno에 있는 폰테카냐노 박물관Museo archeologico nazionale di Pontecagnano이 소장한다. 이 채색도기를 저짝에서는 An Etruscan-Corinthian kotyle with a head of a Gorgon and a wolf 라 명명하는데 에트루리아 채색 도기이기는 하되 그 뿌리 혹은 견본은 그리스 본토 코린트 스타일인 코틸레kotyle 라는 의미 정도가 되겠다. 그렇다면 코틸레가 무엇이 되겠느냐가 문제가 될 터인데 코틸라kotyla라도도 하는 모양이며 그 뿌리는 코틸로스kotylos라 하니, 뭐 볼짝 없이 그리스어서 비롯된다 하겠다.저 키워드로 검색.. 2024. 8. 29.
모색만 하다 날 새는 두 번째 삶 이에서 두 번째란 거창한 무엇일 수는 없어 간단히 평생 직장을 숙명처럼 안고 산 내 세대에 주로 해당하는 이야기로 정년 퇴직 혹은 그에 버금하는 평생 직장 이후의 삶을 말한다. 나는 법이 허용한 시점을 아주 조금 앞당겨 일찍 떠났지만, 주변 내 세대는 똑같은 고민을 안고 산다. 이 평생 직장 이후 삶을 어찌 설계해야 하는가? 이게 고민이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 옛날이야 죽을 준비를 했다지마는, 이제는 정말로 백세시대라, 꼭 그것이 아니라 해도 어찌 고민이 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제정신 박혔다면 내 세대는 이 걱정으로 날밤을 까야 하며, 실제 주변을 봐도 같은 고민을 다 안고 산다. 하지만 이 나이에도 꿈이 없다는 데 절망하고 만다. 꿈? 있는 듯한데 막상 그것이 무엇인자 자문하면 도통 떠오르지를 않는.. 2024. 8. 29.
갈수록 맥만 빠지는 문화재판, 어찌해야 하는가? "문화재로는 무엇으로도 장사가 안 된다."이런 토로에 역시 같은 문화재 업계에 오래 투신하는 어느 지인을 근자 만났더니 이렇게 말한다."왜인 줄 알어? 문화재는 정적이기 때문이야. 동적인 감동을 하나도 주지 못하잖아."나는 전적으로 찬동한다. 문화재가 판판이 실패하는 원인은 어떠한 감동도 주지 못하기 때문이며 그 가장 큰 원인이 저에 있다고 나도 본다.돌이켜 보면 이걸 알기에 그 죽은 문화재에 나름 생명을 불어넣겠다고 실감콘텐츠니 해서 난리 블루스를 추어대는 것 아니겠는가?하지만 그 모든 시도가 유감스럽게도 다 실패로 돌아가는 것이 아닌가 한다.그런 시도가 실패하는 원인은 언발에 오줌누는 일과 같기 때문이라 나는 본다. https://www.youtube.com/shorts/Pl-cAQzEVxU암것도 아.. 2024. 8. 29.
될 성 싶은 떡잎, 뱀을 씹어돌리는 얼나 헤라클레스 로마 베네치아 광장 인근 카피톨리니박물관Capitoline Museum이 소장 전시 중인 서기 2세기 무렵 로마시대 이 대리석 조각을 일러 흔히 Young Hercules with snakes곧, 뱀을 잡고 있는 어린 헤라클레스라고 해서 그가 손에 잡고 흔들어대는 뱀이 한 마리가 아니라 snakes라 해서 여러 마리라 하지만, 언뜻, 혹은 저에서 보이는 장면은 분명 잡은 뱀이 한 마리라 Young Hercules with a snake 정도로 표현해 줌이 좋다고 보는데, 혹 모르겠다, 다른 뱀이 있는지는. 높이 64cm인 저 조각은 힘이 센 천하장사는 될 성 싶은 나무 떡잎부터 다르다? 뭐 이런 느낌을 구상화한 게 아닌가 싶은데 암튼 저 조각은 땅에 주저앉은 채 두 마리 뱀[분명 한 마리 아닌가?]과 사.. 2024. 8. 29.
오직 두 가지 선택만 있던 대한제국의 관리들 연전에 어떤 판사 양반이 직을 관두면서내가 무슨 조선시대 사또냐 이런 취지의 말을 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는 조선시대의 사법체계를 우습게 보는 언설로,비단 이 판사분 뿐 아니라우리 사회에는 실제로 사또 재판이라는 말도 있다. 엉터리 재판, 판사 지 맘대로 하는 재판을 말하는 것일진대, 그만큼 조선시대의 관리와 사법체계에 대한 비하가 깔려 있다 하겠다. 그러면 조선시대 재판은 정말 그렇게 엉터리였을까. 최근 필자는 구한말 검시 자료를 의학적으로 분석하고 있는데,이 작업을 하면서 느낀 것은 대한제국의 관리들이 굉장히 유능하고 부지런했다는 것이다. 구한말 정부 관리, 하면 무능하고 게으르며 애국심도 결여된 그런 존재로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 이들은 살인사건이 나면 며칠만에 바로 현장에 나타나 증인 심문과.. 2024. 8. 28.
병자호란 때 이야기라는데 사대부 집안 아녀자들이 강화에 많이 피란 와 있었다 한다. 다들 오랑캐가 오면 자진하겠다느니 하는데, 한 사람만 "그때 가봐야 알 일"이라고 했다. 그러자 다들 그를 욕했다. 예친왕이 이끄는 청나라 수군이 강화에 왔다. 그러자 그때 가 봐야 알 일이라고 한 그 한 사람만 끝까지 항거하다 죽음을 맞이했고, 그를 나무랐던 이는 그러지 못했다고 한다. *** editor's note ***그래서 나는 지금 정의를 부르짖는 자들을 믿지 않는다.목이 칼이 들어와도 절개를 지키는 이는 딴 사람들이다. 2024. 8. 28.
공립이 죽으면 박물관 전체가 죽는다 나는 공립박물관이 처한 심각성에 계속 경종을 울리면서 특히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무엇보다 박물관계 내부가 단일대오를 형성하여 그 개선을 위해 가열차게 나서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이는 그만큼 절실한 문제인 까닭이다. 공립이 죽으면 박물관이 죽는다. 위선 그 숫자에서 공립은 국립을 압도한다. 대학박물관은 있는둥마는둥이라 존재가치 제로라 봐야 하고, 있어도 그것이 산업이라는 측면에서 무슨 큰 도움 된다 생각하지 아니하며, 사립은 그 자체 내장한 문제가 한둘이 아니라서 이 또한 박물관업의 산업화라는 측면에서 난 도움 안 된다고 본다. 무엇보다 사립은 쪽수만 많지 그 처우 대우를 보면 형편 없어 국가가 지원하는 쥐꼬리 만한 최저임금 종사자가 대부분이라 이 자체 무슨 산업효과 고용효과가 있는지 솔까 나는 모르겠다.. 2024. 8. 28.
하라파가 선물한 테라코타 그릇 하라파Harappa 출토 테라코타 의식용 그릇이다. 사히왈Sahiwal 구 하라파 박물관Harappa Museum이 소장한다. 이 용기는 기원전 약 2600-1900 성숙한 하라파 시대[인더스 문명]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기는 복잡하게 장식된 그릇으로 대표되는 고급 도시 계획, 건축, 정교한 장인 정신으로 유명하다. 2024. 8. 28.
마차와 말을 함께 묻은 동주東周시대 떼무덤 2011년, 중국 고고학도들이 저명한 고도古都 낙량에서 2천500년 전 동주東周시대 무덤 하나를 발굴하고 그에서 첨부사진과 같은 마차갱과 함께 묻은 말뼈를 확인했다. 마차는 총 다섯 대가 나왔고 말뼈는 12마리 개체분이었다. 저와 같은 무덤이 고대 중국에서는 드물지는 않다. 다만 우리는 안 나온다는데 환장할 노릇일 뿐이다. 저들은 조상 잘 만나 저런 걸로 후손이 장사 해먹는데 단군 할배는 저런 것도 주지 않으셨다. 암튼 저와 같은 양태를 통해 지금의 우리는 고대 중국에서 권력과 부를 쥔 사람들 호화 생활 양태 일단을 들여다 본다. 저 마차 어디에다 썼겠는가? 당연히 무덤에 묻힌 사람이 생평에 쓰던 것이 들어갔을 수도 있고, 무엇보다 빈소에서 무덤까지 시신을 나르는 데 썼던 상여다. 그 상여를 말들이 맡아.. 2024. 8. 28.
원주 법천사 거돈사 절터를 노는 가을 별빛음악캠프 남한강변 대표 절터인 원주 법천사지와 거돈사지서 저와 같은 행사가 10월에 열린다 하거니와 접수가 마감되었다지만 다른 방식을 찾는 모양이다. 내가 주목하는 점은 안내팜플렛이다. 이쁘게 잘 만들었다. 행사기획자 공지를 첨부한다. 캠프 신청자가 많아 3일만에 매진(?)으로 접수 종결하였습니다만,, 아쉬워하는 분들이 많아 2024. 8. 28.
황금으로 재림한 승리의 여신 나이키 이 화려찬란한 유물을 아래와 같이 소개하는데 A Hellenic Gold Diadem (3 Century BC), which depicts the goddess of victory Nike and is adorned with garnet and cornelian stones. 곧, 승리의 여신 니케Nike[나이키]를 묘사하고 가넷garnet과 코넬리언 돌cornelian stone로 장식한 헬레니즘 시대 머리띠, 곧 금관으로 제작 시기는 대략 기원전 300년 어간이라 한다는데 더 구체로는 폰티카Pontika(현재 우크라이나) 출토품이라 하며 reef knot, 암초 매듭? 형태르 한다 하는데어떤 데서는 기원전 150년 무렵 출토품이라 해서 정확한 성격을 종잡기 힘들다. 다른 추가 자료가 검색되지 않아서 .. 2024. 8. 28.
인더스 문명의 채색도기 인더스 문명 4000년 전 채색 도기​ painted pottery다. 인더스 문명이라고도 알려진 인더스 계곡 문명 Indus Valley Civilization 은 남아시아 북서부 지역 청동기시대 문명으로, 기원전 3300년부터 1300년까지 지속되었고, 성숙한 형태는 기원전 2600년부터 1900년까지다. ​ 고대 이집트 및 메소포타미아와 함께 근동 및 남아시아 세 가지 초기 문명 중 하나였으며, 세 가지 중 가장 널리 퍼진 문명 유적은 현대의 북서 인도와 파키스탄(분할 후 파키스탄) 지역에 걸쳐 있었다. 저 채색도기 현재 소장처는 어딘지 모르겠다. 2024. 8. 28.
트라키아 오드리시아 오드리시아 왕국Odrysian kingdom(고대 그리스어: Βασίλειον Ὀδρυσῶν, 오드뤼시아)은 기원전 5세기 초와 기원전 3세기 초/1세기 후반 사이에 번성한 고대 트라키아Thracia 국가였다. 오늘날의 불가리아, 루마니아 남동부(북부 도브루자Dobruja), 그리스 북부, 유럽 터키에 위치한 이곳은 발칸 동부에서 최초로 발전한 거대 정치 실체인 오드리시아인들이 지배하는 부족 아말감이었다. 오드리시아 왕국은 기원전 480-79년 그리스 침공 실패로 유럽에서 페르시아의 존재가 붕괴된 것을 이용하여 왕 테레스Teres 1세가 건국했다. 테레스와 그의 아들 시탈케스Sitalces는 확장 정책을 추구하여 왕국을 당시 가장 강력한 왕국 중 하나로 만들었다. 초기 역사의 대부분 동안 아테네의 동맹국.. 2024. 8. 28.
뱀실 넣은 로만 글라스 플라스크 무색 유리colourless glass로 로마 플라스크Roman Flask​ 뱀 실 snake thread 장식을 여러 색으로 했다.​ 서기 2~3세기로 추정한다.​ 네덜란드 발호프 니그메겐 박물관Valkhof Nigmegen네덜란드는 나로서는 생소라 저 박물관 역시 생소하다. 뱀실snake thread이라는 표현이 보이는데 저 유리에 보이는 저런 줄무늬를 그리 부른갑다. 암튼 로만글라스도 열라 다양하다. 2024. 8.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