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697

번역 이후를 생각해야 할 한국 문화 [논설실의 뉴스 읽기] 2000년 이후 해외문학상 44회 수상… 3세대 번역가 양성 시급논설실의 뉴스 읽기 2000년 이후 해외문학상 44회 수상 3세대 번역가 양성 시급 곽효환 前 번역원장이 말하는 노벨상 이후 한국문학 세계화www.chosun.com 이런 작업이 큰 의미가 있다는 것은 부정할 필요가 없다.누가 뭐래도 최근의 노벨상 쾌거에는 번역이 큰 역할을 했다. 그 작업에 찬사를 보낸다. 다만 한 가지만 토를 달아 본다. 지금 우리나라 번역과 자국 문화를 우리 재원을 써서 알리는 작업은기본적으로 버블 붕괴 이전까지 일본 문화의 고양 작업과 그 궤를 일치하는 것이다. 일본이 그랬다. 엄청난 돈을 쏟아 부었으며 미국과 유럽의 세계적 미술관에서는 일본문화전이 빈번히 개최되었고 물론 그 배후에는 일본의 돈.. 2024. 12. 20.
교두보 삼았다가 반한 피우미치노 아테네로 일단 입국하는 애들 픽업을 위해 시칠리아를 떠나 로마 피우미치노로 잠깐 들어왔다. 내일 바로 떠나야 하므로 공항에서 차로 15분 거리 B&B를 집사람이 잡았는데,자리를 보니 피우미치노 공항 남쪽 해변이라, 갈매기 천지인 동네이며 집사람도 나도 B&B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없어 아리숑숑했으니, 에어비앤비를 통해 골랐으니, 그냥 밥해먹고 하는 데인 줄 알았더니 호텔과 일반 에어비앤비 숙소 중간 단계라, Bed and Breakfast라 해서, 요리를 해먹는 곳은 아니고, 간단한 아침 요깃거리를 방에 비치하는 그런 시스템이다. 그 비싼 시내를 다시 들어갈 필요는 없어, 공항 인접 지점을 고른 것인데, 이곳은 집주인이 거주하는 공간이라, 할아버지가 주인이라, 직접 문을 따서 나를 맞이하고서는 그리 능숙.. 2024. 12. 20.
토기를 버려야 고고학 박물관이 산다는 말 아는가? 살아남는 박물관은 토기가 단 한 점도 없다는 사실을? 토기를 쓸어버려야 박물관이 산다. 인민이 토기를 버렸다. 오늘로부터 꼭 2년 전인 2022년 12월 20일, 나는 저와 같이 적었다.물론 과장법이다.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사람은 없다고 본다.다만 저것이 말하고자 하는 취지는 무엇인지 같이 생각해 볼 문제다.내가 말하는 고고학박물관은 늘 말하듯이 언제나 고고학도 중심주의다.고고학도가 좋은 전시, 고고학도를 위한 전시가 판을 친다. 영화나 드라마로 말하면 시청자는 안중에도 없고, 감독 혹은 평론가만 좋은 영화나 드라마를 말한다.물론 그런 작품 중에서도 왜 성공작이 없겠는가?내가 말하는 토기 중심 전시는 바로 내가 좋은 전시를 말한다.준비하는 내가, 혹은 준비에 관여한 내가 좋은 전시랑 그것을 .. 2024. 12. 20.
나주 다시면 잠애산성에서 후삼국시대 대규모 건물 군집 드러나 이 발굴사업 시행처인 전남 나주시 19일자 보도자료라, 이르기를 이곳 다시면에 소재하는 잠애산성이라는 옛 성터를 발굴조사한 결과 후삼국시대에 만든 것으로 보이는 대규모 건물터 10개 동 이상을 확인했다 한다. 후삼국시대라, 후삼국시대 나주는 소속이 아주 묘해서, 신라가 이미 중앙에서 지방 통제력을 상실한 시기에 애초에는 견훤에 속했다가 왕건한테 털려서 고려에 의한 후삼국 통일에 이르기까지 내내 태봉, 곧 훗날 고려 왕조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후삼국시대라 하지만, 어느 정치체가 쌓았는지에 대해서는 추정조차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아무튼 후삼국시대 어간이 맞다면, 이번 발굴을 반길 데는 나주 현지보다는 외려 후백제 현창 사업을 벌이는 전주 쪽에서 반색할 소식 아닌가 싶기도 하다. 아무튼 나주시는 이 ‘잠.. 2024. 12. 20.
국회 지위 규정이 없는 대한민국 헌법 나는 당연히 국회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최고의 국가기관인 줄 알았다. 한데 조금 전 대한민국 헌법 조문을 찾아보니 그런 규정이 전연 없다. 그리하여 하도 이상해서 '일본국헌법'을 보니 다음 구절이 보인다. 제4장 국회 제41조 국회의 지위 국회는 국권(國權)의 최고기관으로서, 국가의 유일한 입법기관이다. 우리 헌법에는 '국회의 지위'를 규정하지 않았다.하긴 국민의 자격도 규정하지 않고 국민의 권리와 의무만 나열한 이상한 헌법이다. 아마 하위 법률 어디에 있지 않을까시퍼 국회법을 봤는데도 국회의 지위 규정이 없다. 대신 대한민국 헌법 국회 관련 조항은 이렇다. 제3장 국회 제40조 입법권은 국회에 속한다. 제41조 ① 국회는 국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에 의하여 선출된 국회의원으로 구성한.. 2024. 12. 19.
시칠리 타바키Tabacchi에 격발한다 저 타바키 Tabacchi라는 말이다.담배라는 뜻인데 뜻만이 아니라 단어 자체가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 나와이태리 와서는 타바키가 되었고 한국에서는 담바고 라는 말로 조선시대에 수입되어 오늘에 이른다.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이 같은 말을 공유한다는 게 놀랍지 않은가?요새야 워낙 각종 정보망으로 세계가 하나로 뒤엉켜 오늘 아침 여기서 쓰는 말이 오후가 되면 지구반대편으로 날아가는 일이 예사라그에 비하면 암것도 아니겠지만 저 엄혹한 빗장걸이 시대에도 조선은 어케든 뚫린 데가 있어 세계랑 소통하는 구멍이 있었고 타바키 담바고는 그 뚫린 상흔이라는 사실이 에사일 수는 없다분명히 저들은 저 너머 다른 세계가 있음을 알았음에도 뭐가 그리 두려웠을까?이건 사실 간단한데 기득권 상실에 대한 두려움 딱 이거다.변화는 좋.. 2024. 12. 19.
다시 환율을 쳐다보며 지금 유로 원화 환율을 보니 1,509.03원이라계엄사태 이전에는 1천470원대인가로 기억한다.내가 놀래서 환전할 때가 1천503원일 때였다.그러다가 계엄령 해제되고 하니 다시 1천400원대로 떨어져서 뻘쭘했지만, 탄핵 사태에 휘말리며 다시 고공행진을 거듭하며 저 어간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환율과는 관련 없는 삶을 살다가 유럽에 서너달 주저앉게 되면서 환율을 쳐다보게 되었으니 진짜 사람 인생 알 수 없다. 문제는 1503원일 때 사놓은 유로화가 다시 아래로 떨어질 때는 나 자신이 등신 같았지만 그 위로 치고 올라가니 이게 무슨 시추에이션인가 싶기도 하다.뭐 환전이라 해 봐야 얼마나 되겠는가? 백만원 안팎이었다.간댕이가 작으니 나같은 놈은 투기 투자를 못한다. 이런 데 재미 들어 이런 인생을 사는 사람.. 2024. 12. 19.
겪을수록 신이한 無도마 문화 작년 로마 한달살이에서도 이 말을 했다고 기억하는데 우리와 견주어 유럽쪽 부엌 생활에서 우리가 아쉬움을 크게 느끼는 게 도마다.이쪽은 도마가 없다.당연히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에 도마가 없을 것이다.미국은 어떤지 모르겠다.그래서인가 외국 생활하러 나가는 사람들이 여기서 준비해 나가는 것 중에 도마가 낀다는 말을 들은 것도 같다.이쪽이 도마문화가 아니란 말은 시장에서도 도마를 구하기 힘들다는 뜻 아니겠는가?한데 부엌 생활하다 보면 도마가 필요하다.나같이 부엌생활을 안 해본 사람도 거의 본능으로 도마를 찾는데 저들은 그 도마를 다른 방식으로 소비하니 살필수록 묘하다.도마가 유럽 쪽엔 본래 없었는가?갈돌 갈판이 이쪽에도 부지기로 나오는 걸 보면 그게 아닐 듯한데또 빵 만들 때도 분명 도마가 있어야는데 그것이 .. 2024. 12. 19.
박물관 휴관일이 다른 그리스와 이탈리아 종교 전통, 곧 가톨릭과 그리스 정교회 차이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우리는 대개 매주 월요일이 박물관 미술관 혹은 기타 유적 휴관이며이탈리아 쪽 또 물론 예외가 왜 없겠느냐마는 월요일이 휴관이다. 아주 구찌가 커서 떼돈을 긁어모으는 곳, 예컨대 콜로세움 같은 데는 월요일도 당연히 문을 연다. 휴관은 언제 하는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그리스 쪽도 파르테논 신전 있는 아크로폴리스는 화요일에도 문을 열지 않았나 기억한다. 돈이 얼만데 문을 닫는단 말인가?것도 방문객 대부분이 외국 사람들이라 외화 회득해야지 않겠는가? 나는 국제룰 비슷한 것이 매주 월요일 휴관 아닌가 했지만, 그리스는 원칙으로 매주 화요일이 휴관이다. 중국 일본 또한 한국과 마찬가지로 매주 월요일 휴관으로 안다.난 경복궁이 매주 월요일인가 .. 2024. 12. 19.
[202412 항저우 풍경] (2) 천목산天目山에서 생긴 일 by 장남원 학술대회 2일째 일행은 천목산으로 갔다.새벽에 항저우를 출발, 버스로 2시간 정도 거리에 있다.행정구역상 절강성 임안(臨安)현에 위치한다.중국의 명산 중 하나이며 이백을 비롯한 수많은 문인들의 성지이기도 하다.https://zh.wikipedia.org/wiki/%E5%A4%A9%E7%9B%AE%E5%B1%B1 天目山 - 维基百科,自由的百科全书维基百科,自由的百科全书zh.wikipedia.org유네스코 세계생물권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2025년에는 생물다양성 세계대회가 열린다.https://www.unesco.org/en/mab/tianmushan 천목산록 어디쯤안가 도착하니중국미술학원 도예전공이 운영 중인 실험용가마가 있었다. 천목산의 흙을 채취하여 .. 2024. 12. 19.
아기로 태어나지 않는 사람 있나? 아기 예수가 주는 의문 몰론 노자 노담은 태어날 때 이미 머리가 허얘서 노자老子, 곧 늙은이로 불렸다는 기록이 있기는 하지만 사람은 물론이고 다른 동물 또한 태어날 때 아기 baby로 태어나지 않는 이가 있을까? 한데 왜 굳이 예수님은 맨날맨날 생일날만 되면 아기 예수라 할까?그럼 예수님이 노자님처럼 늙은이로 태어났어야 했을까?그냥 예수 탄생이라 하면 될 것을 왜 굳이 아기 예수라 하는지 나는 도통 그 내력 까닭을 동의하기 힘들다.예수님도 아기 예수님 청년 예수님이 따로 있어서 이리 부르겠다면 할 말이 없다만, 그러고 보면 부처님 탄생을 아기 부처님 탄생이라 부르는 일이 있는지 모르겠으며 공자님 탄생을 아기 공자님 탄생이라 부르는 일이 있는지 모르겠다.하긴 뭐 생각해보면 조금이라도 신이성神異性을 강조하기 위한 레토릭 아닌가 하.. 2024. 12. 19.
리부트: 유럽의 미라와 인류학 유럽의 미라와 인류학 관련서 집필을 내년에 탈고하고자 한다. 이 블로그 김단장님과 오래전 부터 벼르던 이야기로 이제 탈고할 때가 되었다. 내년 중에는 마무리 하고자 한다. 유럽 이야기로 시작하지만, 내용이 어디로 튈지 모르는지라 다른 지역 미라와도 연계가 생길 수 있다. 구체적 내용은 미라로부터 보는 당시의 사회상과 관련된 이야기거리가 되지 않을까. 이전에 써둔 분량을 여기 다시 올려둔다. 나머지 이야기를 새해부터 다시 쓰기 시작할 것이고,내용은 취합하여 내년 중에는 대중서로 출간해보고자 한다. 2024. 12. 19.
입도 전까진 이름조차 모른 카타니아Catania 시칠리아, 영어권에서는 시실리라 부르는 이 지중해 대따시 섬 존재를 모를 수는 없어, 지금 새삼 검색해 보니 면적 2만5천832㎢요 인구는 2024년 기준 478만5천338명이라 하니, 인구 기준 서울 절반이요 제주도 1천846㎢에 견주면 면적은 대략 15배 이상이 크다. 크레타 섬에서 그런 점을 느꼈지만 이곳 역시 섬이 하도 커서 내가 섬에 있다는 그런 느낌을 받지 못한다. 시칠리아가 이전에도 말했지만 우리 세대에는 마피아와 등가치환됐으니, 요샌 그 사정이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이곳에서 머문 지난 열흘 총소리를 들은 적은 없으니 많이 변하긴 했으리라 본다.내가 혹닉하는 영화 덴젤 워싱턴 주연 이퀄라이즈 시리즈 중 3번이 이태리 마피아 소탕전을 소재로 삼거니와 그 양대 근거지가 나폴리와 더불어 시칠리아다... 2024. 12. 19.
타이베이 국립고궁박물원 찍먹 감상기 (2) 우과천청雨過天靑 도자기하면 중국이요 중국하면 도자기이던 시절이 있었다. 오죽하면 도자기를 영어로 china라 했겠는가. 옛 드라마 대사를 빌리자면, "도자기는 중국의 자존심이다." 그런 만큼 여기 고궁박물원 소장품 상당수도 도자기요, 할당된 전시공간도 아주 널찍하다. 전시 개관 패널에 한국어가 들어갔다. 워낙 한국인이 많이 오니 그에 맞춘 모양인데, 급하게 하느라 치명적인 오타가 생겨서 고친지 얼마 안 되었다고 한다. 하여간 중국 선사시대의 채색도기, 흑도 같은 것으로부터 도자기 전시가 시작한다.  앞서도 말했지만 전시 기법 자체는 우리네 국립박물관과 크게 다를 것은 없었다. 다만 전시공간을 전체적으로 밝게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짚고 싶다. 우리는 공간을 어둑하게 하고 유물에 조명을 비추어 강조한다. 유물의 손상을 최소.. 2024. 12. 19.
[근간] Forensic Anthropology and Human Identification On the Cases of South Korea This book addresses two main topics. The first is forensic anthropology, which originally focused on criminal investigations and the anthropological examination of human remains. Over time, its application has expanded to include various projects, such as the recovery and identification of war casualties, among others. The second topic explored in this book is personal identification, a field de.. 2024. 12. 18.
타지살이 두 달 만에 찾아온 무료함 이처럼 긴 해외 체류 경험이 없이 한달살기를 두어 번 해 본 게 전부여서 석달은 어떨까 몹시도 내가 궁금하기도 했다. 더구나 동행조차 없는 홀로여행이니(하기야 누가 석달을 나와 있겠는가) 그 흐름이 궁금했다.석달은 예정된 마당에 다녀보니 절반 정도, 그러니깐 한달 반 정도는 진짜 열심히 싸돌아다녔다.한편으로 신이 나기도 했고 물론 동행이 없으니 밤이 그렇게 적적하고 외로운지 새삼 실감하기도 했다. 그 고비를 넘으니 무료가 왔다. 싸돌아다니느라 지친 것도 무시하지 못하고, 이제 보는 것도 새로운 것도 없어지는 그런 고비가 왔다. 그래서 나가 떨어졌다. 넉다운하는 날이 많아서 오늘처럼 아무 하는 일 없이 숙소에서 하루 종일 뒹글적뒹굴적 하며 이런저런 잡글이나 만지고 있다.왜 체력 고갈이 심하지 않겠는가?한 .. 2024. 12. 18.
용수-용춘이 다른 사람인 결정적인 근거 언제까지 이걸로 논쟁을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논쟁 거리도 되지 아니하는 뻔한 팩트 앞에 뭐가 그리 다들 두려운가?논쟁 거리도 되지 않은 것을 두고 힘 다 뺀다. 게임 끝났다. 이건 화랑세기랑 눈꼽만큼도 관계없다. 삼국사기 신라 태종무열왕 즉위년 조에 김춘추 계보를 기술하면서 그의 아버지를 일러"진지왕의 아들인 이찬伊飡 용춘龍春[혹은 용수龍樹라고도 한다.]" 이라 했다. 용수는 누구이며 용춘은 또 누구인가? 도대체 무슨 사연이 있기에 삼국사기는 김춘추의 아버지를 “용춘[혹은 용수라고도 한다.](龍春[一云龍樹])”이라 했을까? 용수와 용춘은 같은 인물일까? 아니면 다른 인물일까? 같은 인물이라면 표기법 차이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만약 다른 사람이라면 이 구절은 뜻이 완전히 달라진다. 그것을 판별할 결정.. 2024. 12. 18.
갑질 의혹 국립세계문자박물관장 결국 사임 직원들한테 각종 부당한 업무를 지시했다는 의혹에 휘말린 김성헌 초대 국립세계문자박물관장이 오늘 18일자로 퇴임했다. 이에 따라 이 박물관은 사무총장이 관장을 대행하는 체제로 들어섰다. 후임 관장은 탄핵 정국과 맞물려 인선이 들어가지 않을까 하는 관측이 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리가 어떻게 결정나느냐에 따라 갈라질 공산이 크다는 뜻이다. 단국대 현직 교수로 커피 교수로 유명한 김 관장은 지난해 11월 17일 정부(문화체육관광부)가 인천 송도 신도에서 건립 개관한 국립세계문자박물관장에 임명되어 1년 남짓 일했지만, 각종 갑질의혹에 휘말리는 업무스타일로 뒷말이 무성했다.그러다가 지난달 초 jtbc 보도를 통해 직원들한테 원두 갈아라고 하고 커피콩을 먹어라했는가 하면 합창단을 만들어 직원.. 2024. 12. 18.
중국 신석기 일본 조몬을 파는 연구자가 나와야 지리적 인접성이나 한반도와의 관계와 같은 점을 두루 고려할 때 한국고고학계에서 드러나는 현상으로 내가 도무지 이해하기 힘든 흐름 중 하나가 중국 신석기 전공자, 일본 조몬시대 전공자가 단 한 명도 눈에 안 띈다는 사실이다. 혹 있는데 내가 빠뜨렸을 수도 있지만, 그렇다면 미안하지만, 있다 해도 가뭄에 나는 콩 같기는 매양 한가지다.도대체 왜 이럴까? 나는 이에서도 우리 학계 문제점 하나를 보는데, 저 시대 전공자가 나오고, 저걸로 먹고 사는 사람이 나와야 한다고 본다.앞서 신동훈 교수께서 비슷한 맥락의 지적을 하셨는데, 왜 저들은 우리 역사문화 곳곳을 헤집고 다니는데, 우리는 왜 저들을 파고 들지 않을까?이런 물음마다 매양 듣는 답변은 비슷해서 그걸로는 먹고 살 수가 없어서라는 현실론이 득세한다는 걸 모.. 2024. 12. 18.
이불 속 난방은 헤어드라이기가 제격 유럽 쪽은 특히 난방이 우리가 요구하는 수준과 현격히 달라 아랫목 지짐주의 위주 한국인과는 잘 맞지 않는다.그래서 전기장판이나 전기담요를 들고 다닌다.나 역시 전기담요를 가져와 초반에 쓰다가 아테네에 두고 오는 바람에 후회한다.이 경우 대타가 있다.헤어드라이기다.이걸 적절히 이용하면 그리 좋다.한데 이때도 난관에 봉착하기도 하는데 저 드라이기가 빌트인일 경우다.이땐 포기한다.지금 나는 자면서도 틈나는 대로 헤어드라이로 이불 속을 데핀다.아예 국내서 소형 드라이기를 가져와도 된다.여성들은 그러는 경우가 특히 많더라. 2024. 12. 18.
이제 남은 과제는 벌충 혹자, 아니 많은 사람이 그러리라. 저리 싸돌아다니는 데 돈은 어디서 나냐고?어디긴 어디야? 내 통장이지.이는 곧 적지 않은 출혈이 있다는 뜻이며이는 곧 조만간 귀국과 더불어 그 반까이를 넘어 만땅으로 채워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간다는 뜻이기도 하다.돈?어떤 놈이 벌기보다 쓰기가 어렵다 했는지 모르지만, 쓰기 참 쉽다.내가 이번 일을 결행하게 된 힘은 비통이었다. 그간 집사람 몰래(이미 들통 났다 보기는 하지만) 꼬불친 비통이었다.그 막대한 자금을 집사람더러 부담하라 했다면, 아마도 나는 한달 만에 국내 송환됐으리라.그렇다고 집사람이 부담하지 않은 것은 아니어서, 필요할 때마다 지출은 해줬으니 그 액수도 상당할 것이다.떠나면서 나는 실은 할 일이 있었다. 돌아가면 새로 시작할 일이 있었다.하지만 그 사이.. 2024. 1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