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017

아직도 납득할 수 없는 풍납토성 시유도기 이게 아마 연합뉴스를 통해 발행한 사진 한 장면으로 기억하는데 지금 여러 키워드 묶음해서 검색해 보니 아래 기사가 걸린다. 백제판 달항아리 시유도기 복원 한창 송고시간2009-03-03 07:00 2009년이면 저 유명한 2000년 풍납토성 사태가 한 단계 진정하고, 그 이후 조금은(하지만 여전히 소란스러웠다) 안정된 상황에서 발굴이 재개되어 그 조사단인 한신대박물관이 풍납토성 경당지구를 재발굴하게 되면서 수습한 유물들을 정리하는 모습을 현장 취재를 겸해 박물관을 찾아가 보고 들은 것을 정리했을 것이다. 저 인물 속 주인공이 권오씨다. 서울대 국사학과로 들어갔다가 역사로는 먹고 사는데 지장 있겠다 싶어 고고학이랑 양다리 걸치기 해서 동아대랑 한신대 거쳐 두 가지 다 해 먹다가 다 늙은 지금은 뒤늦게 모교.. 2024. 8. 12.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 (30) 이영훈론(3) 내친 김에 천마총도 까발리자 황남대총 특별전에서 독특했던 점은 누가 뭐라 해도 질보다는 양을 앞세운 전시였다는 점이다. 이영훈은 그 개막에 즈음해 기자들에게 “5세기에 신라인들이 만든 황남대총을 21세기의 우리가 다시 만들어 본다는 생각으로 준비했다”고 했다.유물등록대장에 오른 출토 유물 5만8천여 점 중에서도 전시 가능한 유물 5만2천여 점을 모두 전시하는 파격을 시도한 것도 이런 문제의식에서 비롯한다. 그런 까닭에 그의 말마따나 “전시기법에 신경을 쓰지는 않았으며 황남대총을 통해 마립간 시대 신라인들이 무덤, 특히 왕릉을 어떻게 꾸몄으며, 어떤 유물을 어디에다가 어떻게 부장했는지를 보여주고자”했다. “어떻게 보면 가장 단순한 전시지만 신라 왕릉을 이해하기에는 이만한 전시가 없다고 본다”는 자신감도 피력했다. 이를 위해 전시는 마.. 2024. 8. 12.
한국 인문학을 떠도는 강목綱目이라는 유령 소위 강목체綱目體 사서라는 것이 있다. 원래 원전은 사마광의 자치통감. 자치통감은 그 전질을 읽어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정치적 명분론의 해석이 그렇게 강하게 느껴지지 않는 책이다. 이에 만족하지 못한 성리학자들이 통감을 명분론에 따라 재해석한 책이 바로 자치통감 강목이다.  우리는 이 명분론에 입각한 강목체 해석을 역사의 본령이라 착각하는 경우가 아주 아주 많다. 필자 또래 대학시절 많이 읽었을 E. H.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 하고많은 역사서 중에 왜 이 책을 들어 그 당시 신입생의 의식화 서적 목록 가장 앞에 두었는지 모르겠지만, 이 책이야 말로 서양판 강목체 역사서의 사상적 흐름을 썼던 셈이겠다. 생각해 보면, 역사학 연구가 강목체 사서를 쓰는 것인가? 지금도 한국은 명분론에 집착한 연구가 아주 많.. 2024. 8. 12.
영국 폭동의 와중에 참석한 국제학회 영국에서 개최된 학회 한 곳에 다녀왔다. 간단히 써 보면 사람과 동물을 하나의 시각안에 넣고 과거의 건강과 질병사를 규명하자는 것으로, 이를 ONE PALEOPATHOLOGY라 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두 가지 파트로 나뉘어 진행되었는데 하나는 관련 교수들이 모여 국제워크샵이라, 참석자는 전원 초빙으로만 꾸렸다. 미국과 영국 등의 대학교 관련 교수들이 참여한 이번 워크샵에서 논한 내용은 금명간 꽤 영향력 있는 잡지에 공동명의로 출간될 것 같다.  한마디로, 사람의 질병사는 동물을 시야에 넣지 않고는 제대로 규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주제로 연구비 지원을 대폭 확대받을 수 있도록 같이 노력하자는 것으로, 이 워크샵에 참여한 사람들이 현재 관련 연구의 지도적 위치를 누리고들 있기 때문에이러한 시.. 2024. 8. 12.
2천년을 함께하는 페루 소금광산 페루의 성스러운 계곡 Sacred Valley에 위치한 마라스 소금 광산Maras salt mines은 2,000년 넘게 소금을 수확하는 고대 유적이다. 이들 광산은 산비탈을 가로지르는 5,000개 이상 작은 계단식 소금 논으로 구성된다. 소금은 자연 지하 하천이 제공하는 미네랄 풍부한 물을 논으로 채우고는 그 물이 증발하면서 만든 결정으로 생산한다. 마라스 소금 광산 역사는 잉카 제국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소금 생산지로 알려진 장소 중 하나다. 잉카인들은 광산을 장악하고 소금을 무역과 보존을 위한 핵심 자원으로 사용했다. 놀랍게도, 마라스에서 소금을 수확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보존되어 오늘날에도 지역민이 사용한다. 이 소금 광산들은 중요한 역사적 장소일 뿐만 아니라 현대 세계에.. 2024. 8. 12.
목이 긴 여인 네페르티티가 세상에 나온 날 1912년 독일 조사단이 그 유명한 네페르티티Nefertiti 흉상을 발견해 꺼내는 모습을 포착한 사진이다. 이 발굴은 앞서 자세히 다룬 적 있다. 그것이 궁금한 분들은 아래 첨부 기사를 클릭해주심 되겠고간단히 저 두상은 아마르나Amarna라는 곳에 있는 투트모시스Tuthmosis 조각 작업장에서 발견됐으니 지금은 독일 베를린 노이에스 박물관 Neues Museum 에 정좌한다. 네페르티티는 파라오 아케나텐Akhenaten 마누라다. 이집트는 당연히 돌려달라지만 돌려주겠는가?  저 사진이 중요한 이유는 크기를 가늠하기 때문.저를 보면 저 흉상은 실물 크기를 최대한 반영했음을 본다.  *** related articles ***  파라오 마누라 네페르티티 (1) 독일로 간 빌미 네페르티티 Nefertiti.. 2024. 8. 11.
베르니니 침대를 자는 사방지 이 작품이 좀 특이한 대목이 있다. 보다시피 엎드린 여자인 듯한 누드 사람이 누가 봐도 시몬스 물침대 같은 데 엎드린 자세인데저 누드 사람이랑 침대가 제작시기가 다르다. 저 누드형 사람은 불룩한 가슴이 살짝 비치지만 옆으로 돌아서 보면 가슴은 C컵인 여자지만 놀랍게도 아랫도리엔 고추가 있다. 이런 사방지를 헤르마프로디테Hermaphrodite 혹은 헤르마프로티투스Hermaphroditus라 하거니와 그에 대해서는 우리가 자세히 다룬 적 있다.   저 헤르마프로디테는 보통 저와 같은 엎드려 자빠져 자는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저 분도 예외가 아니다. 저런 조각은 본래 그리스 원작이 있던 것을 로마시대(서기 2세기 무렵)에 대리석으로 복제한 것이다.한데 저 침대는 그 유명한 조각가 지안 로렌조 베르니니 Gia.. 2024. 8. 11.
요상한 로만 글라스 이 유리 좀 독특해서 골랐다. 다만 출토지가 명확한 그런 정식 발굴 유물이 아니라 이른바 전세품으로 크리스티 경매에 나왔다는 점에서 혹 진위가 의심스러울 수도 있음은 감안해야 한다. 이전에 나왔으니 지금은 혹 주인이 바뀌어 다른 데 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크리스티가 소개하는 이 품목 설명서는 다음과 같다. GLASS AMPHORISKOS WITH BLUE HANDLES, c AD 300 - 500​ A Roman flask, or amphoriskos, with a pyriform body on a hollow tooled base ring. The flask has a long cylindrical neck connected to thick everted rim. Two ribbon trails.. 2024. 8. 11.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 (30) 이영훈론(2) 중앙을 향한 황남대총 쿠데타 남북으로 잇대어 나란히 누운 경주 황남대총. 길이 80m, 봉분 높이 각각 23~24m인 이 무덤은 크기에서 단연 국내 최고다. 더구나 경주 평지에 땅을 대략으로 다진 다음 이 거대한 봉분을 흙과 돌로 쌓아올렸으니, 그 공력은 크기보다 더 컸다.아마도 4~5세기 신라라는 왕국을 통치한 어느 왕과 그 왕비를 묻었을 이 무덤은 1천600년 전 봉인된 다음 두 번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첫 번째로 이 무덤을 풀어헤친 이 김정기요, 그렇게 다시 봉인한 무덤 빗장을 연 이 이영훈이다. 2010년 12월, 국립경주박물관장 이영훈은 김정기가 1970년대에 발굴해 남겨준 황남대총 출토 유물 5만 점을 깡그리 공개한다. 이는 혁명이요, 쿠데타였다. 무엇에 대한 혁명이며 무엇에 대한 쿠데타인가?박물관이란 자고로 이런 데.. 2024. 8. 11.
술탄의 상궁이 만든 인도 계단우물 뭐 깊게 고민할 필요 없다. 이미 생소를 박멸했으니깐 말이다. 뭐겠는가? 인도에서 특정한 시기에 집중해서 나타나는 이른바 스텝웰stepwell, 계단우물 혹은 계단식 우물이지 뭐겠는가? 우물이라는 고유 기능에다가 신전 기능을 가미했다는 말 앞서 했으니, 그걸 감안하면 된다. 이 우물은 다다 하리르 바브 Dada Harir Vav라고도 하는 바이 하리르 바브Bai Harir Vav라는 곳을 인도 구자라트Gujarat 주 아메다바드Ahmedabad에서 15킬로미터 떨어진 아스와라Aswara 라는 데 있다. 그 위치를 지도에서 확인 좀 해 보자. Dada Harir Stepwellwww.google.com 인도 대륙으로 보면 서쪽 끄터머리에 가깝다. 저 우물 건축믈은 술탄 마흐무드 베가다 Mahmud Bega.. 2024. 8. 11.
은거는 말뿐, 권력에의 의지로 뭉친 고려말 隱氏들 이름이야 부모님이 지어주신 것이니 어쩔 수 없다 해도, 어른이 되어 얻는 다른 이름인 자字나 혹은 필명 정도에 해당하는 호號는 본인 의지가 깊이 관여하는 까닭에 이것도 시대 흐름이 있어 고려 말에는 은거한다는 의미의 은隱이라는 이름을 쓴 사람이 많다. 그 고려 말 유가의 종장이라는 이색李穡은 목은牧隱이라 했으니, 전원에서 목동처럼 놀겠다 뭐 이런 의미를 담았다 할 만하거니와, 실은 목牧을 쓴 이유는 본명 색穡 때문이라, 穡은 농사를 말한다. 그 문하에서 나온 정몽주鄭夢周는 본명이 좀 묘해서 언뜻 꿈에서 주공을 보았다거나 혹은 주공을 꿈꾼다는 의미 정도로 풀 수 있거니와 어릴 적 본명은 몽란夢蘭·몽룡夢龍이라 했으니 아무래도 태몽과 관련 있을 법하다. 그는 字가 달가達可였고 포은圃隱은 호다. 저 포圃라는 글.. 2024. 8. 11.
소암 선생이 목은의 시를 쓰다 소암素菴 현중화玄中和 선생(1907~1997)이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시를 쓰다어제 영명사 지나다가잠깐 부벽루 올랐다네성은 비고 한 조각 달만돌은 늙고 구름은 천 년기린마 가고 오지 않는데천손은 어디서 노니는지돌계단에 기대 긴 한숨 쉬니산은 푸르고 강에 배 흐르네昨過永明寺 暫登浮碧樓 城空月一片 石老雲千秋 麟馬去不返 天孫何處遊 長嘯倚風磴 山靑江舟流(일부 원시와 다른 글자가 있으나 글씨 쓰신 대로 옮겼다)서귀포 소암기념관에서 2024. 8. 11.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 (30) 이영훈론(1)조폭형 보스의 배신 행보 이명박이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그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문화계를 술렁이게 한 일 하나를 만든다.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차관급에서 1급으로 하향하고 국립박물관은 일체 문화재청에 흡수 통합시킨다는 것이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를 들썩이게 만들었다. 작은집에 먹히게 되었다고 난리가 났다. 국립박물관이 대체 무엇이기에?이 당시 문화부 전체 예산이 얼마였는지는 기억에 없다. 다만 1조 단위를 돌파했던 것만은 분명하다.이 문화부가 거느린 산하 기관에 국립박물관이 있었다. 예산 규모 역시 자세한 기억은 없지만 1천억원인가 1천500억원 안팎에 지나지 않았다. 예산으로만 보면 박물관이 차지하는 비중은 형편없었다. 문화부 산하 기관이 어디 한두 군데인가?그럼에도 왜 문화부에서는 내일이면 장관에서 물러나는 김종민 주재로 대책.. 2024. 8. 11.
다음 生은 초원 목초지에서 난 올해 안에 직장에서 주는 이십년차 휴가를 가야한다. 꼴랑 열이틀.십년차 휴가로 며칠이 주어졌는지 기억에 없으나 당시 여행지로 집사람이 택한 곳이 뉴질랜드 호주 패키지 여행이었다.지금은 코끼리 만한 아들놈이 코딱지 만할 때였다.이곳을 집사람이 택한 이유는 여러 번 말했듯이 신대륙이었고 그렇기에 문화재가 없다는 판단 때문이었다.날마다 현장 쏘다니는 남편한테 질려서 택한 곳이 이곳이었다.뉴질랜드는 보니 땅떵이가 남북한 합친 거보다 조금 크나 무척이나 인상적인 풍광이 드넓은 초원이었다.이번에 잉글랜드를 돌아보니 이곳 역시 마찬가지였다.난 어릴 적 소와 함께 살았다. 여름이면 날마다 소를 끌고 산으로 다녔으며 봄이면 소먹일 풀 찾아 헤맸다.가을이면 소먹일 꼴을 미리 준비하느라 정신이 없었다.한데 뉴질랜드를 보.. 2024. 8. 11.
적석목곽분 속 거대 목구조물은 빈전이라는 차순철 주장은 맞다! 신라고고학도 차순철[현 서라벌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단장]이 2005년 파격적인 주장 하나를 들고 나왔으니, 황남대총 사례를 중심으로 저 거대한 봉분 안에서 드러난 미터스터리한 목구조물이 다름 아닌 저에 묻힌 사람이 죽어 저 무덤에 최종으로 묻히기까지 그 시신을 보관 안치하던 빈전殯殿이라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빈전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 빈소다. 죽어 무덤 문이 닫히기 전 그 시신을 임시로 안치하는 공간으로 여기서 상주는 조문객을 맞으니 이는 지금도 그대로 한국사회에서 이어진다. 부고를 전할 적에 빈소는 어디라고 하는 통지, 그 통지문에 드러나는 장소, 흔히 이를 요즘은 장례식장이라 하거니와, 이 장례식장이 빈소殯所이며, 그 기간 각종 의례를 하는 행위 자체를 殯이라 한다. 이에서 소렴이니 대렴이니 하.. 2024. 8. 11.
몽생미셸Mont Saint-Michel, 갯벌을 솟아오른 노르망디 고딕 걸작 프랑스 노르망디 이 코뮌인 몽생미셸Mont Saint-Michel은 바다에서 솟아오른 중세 건축으로 유명하다.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저 수도원은 고딕 디자인의 걸작으로 꼽힌다. 주변 환경은 조수에 따라 요새화한 섬과 고립된 바위 사이에서 시시각각 변한다.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 오른 프랑스 랜드마크 중 하나다.저곳을 더 찾아 보면 기가 차는 장면이 한둘이 아닌데 무엇보다 그것이 들어선 지점이 갯벌 지구라는 사실이다.   우리로 치면 서남해한 갯벌 한복판에다가 저런 시설을 만든 데 견줄 수 있거니와 저길 어찌 만들었으며, 무엇보다 갯벌에서 상대로 자유로운 지점까지는 뻘과 바닷물을 견딜 만한 교량형 다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가 보면 더 장관일 듯하기도 하거니와, 언젠가는 찾아봄 직.. 2024. 8. 11.
멘가 고인돌 Dolmen of Menga, 5천500년 전 신석기시대 거석 무덤 이 멩가 고인돌 Dolmen of Menga은 스페인 안테케라Antequera에 위치한 거석 무덤으로 유럽에서 가장 크고 잘 보존된 고인돌 중 하나다. 기원전 3700-3200년경 신석기시대 유산으로 그 역사는 5000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구조물은 큰 석판slabs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긴 복도가 있는 방을 형성한다. 전체 봉분은 지름 50m가량이며 그 무덤방은 통로를 포함 대략 직사각형으로 길이 25m, 너비 5m, 높이 3.5m다. 덮개돌인 캡스톤capstone은 약 180톤으로 추정되며, 선사 시대 구조물에서 사용된 가장 큰 거석 중 하나다. 기능은 그것을 건설한 신석기 공동체의 집단 매장지로 가능성이 높다. 방 안에서 도자기와 도구 등 무덤 물품과 함께 사람 유해가 발견됐다. 이런 유.. 2024. 8. 10.
역사상 최장신 인류는? 키 기준으로 가장 큰 동물이 예상대로 기린이라는데, 뿔 끝까지 약 4.8 ~ 5.5m까지 자란다 한다.기린이 위로 컸다면, 옆으로 퍼지는 동물 대명사인 코끼리는 평균 키가 2.7m 정도라 한다.사람은 어떨까? 어디까지 자랄까? 장신이라 하면 대개 2미터를 기준으로 그보다 많이 자란다 해도 2m30cm 정도일 텐데 역사상 최장신은 누굴까?로버트 왜들로[혹은 와들로] Robert Pershing Wadlow 라는 미 남자로 1918년 2월 22일 태어나서 1940년 7월 15일에 사망했으니, 불과 22세 약관에 훅 갔다.그는 기록된 역사상 가장 키가 큰 미국인이며, 역사상 기록된 가장 큰 인류다. 세인트 루이스 근처 작은 도시 알톤Alton[앨튼?]에서 태어나고 자란 그의 키는 무려 2.72m였다. 딱 코끼.. 2024. 8. 10.
자이언트 세쿼이아를 베던 100년전 캘리포니아 벌목공들 세쿼이아 국립공원 · 미국 California★★★★★ · 국립공원www.google.com 내가 가 보지 못한 미국 캘리포니아 세쿼이아 국립공원Sequoia National Park이라는 데다. 이 미국 국립공원 역사는 우리가, 특히 문화재 하는 사람들이 유심히 들여다봐야 하는데, 그 심각성을 제대로 아는 이 몇 되지 않는다.왜인가?  문화재는 요새 우리 정부가 아주 요상하게 바꾸어 문제지만, 자연유산을 포함한다. 우리가 말하는 문화재는 heritage다. 이 헤러티지는 cultural과 natural을 다 포함한다. 세계유산협약은 그 주도한 사람들이 실은 미국 국립공원 관계자들이다. 이는 미국이 지닌 숙명 같은 측면도 없지는 않을 것이다. 기껏 역사라 해 봐야 250년밖에 되지 않고, 더구나 그 이전.. 2024. 8. 10.
[독설고고학] 고생은 남이 알아주고 남이 기록해 줘야 한다 고고학도들이 쓰는 글 중에 이른바 잡설이라 해서 고고학 관련 풍경이나 개인사를 다루는 경우가 더러, 아니 아주 자주 있다.앞선 독설고고학 포스팅과 연계해서 말하건대 이런 짓 꼴불견이다. 지들이 지들 이리 고생한다고 하는 짓만큼 불쌍한 짓 없다. 그런 일은 기자나 작가나 하는 사람들이 보아서 증언해 주는 것이며, 그래야 빛이 난다. 내가, 혹은 우리가 이만큼 고생한다? 왜 이딴 글을 독자가 알아야 하는가? 그리 고생하니 알아봐 달라는 읍소인가? 아니면 다른 무슨 협박인가? 고생은 남이 봐서 남길 만하다 해서 기록하는 것이며 우리는 그것을 열정이라 부른다.그렇지 아니한 내부에서는 고함은 내가 이만큼 고생하니 제발 알아봐 달라는 징징거림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 그런 증언이랍시며 해서 남긴 인간들 족적 추적하면.. 2024. 8. 10.
4천년 전의 주택 평면도 레이아웃 이 점토판이 무엇으로 보이는가? 언뜻 무슨 평면도 아닌가 하는데, 실제 그렇다. 그렇다면 어느 시대 주택 평면도일까? 그 연대는 놀랍게도 지금으로부터 4천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저짝 수메르 문명, 그러니깐 메소포타이아 문명 시대 유물이다. 단군 할배 나시던 그 무렵이다. 저짝에는 우르 3세[Ur III] 시대라는 시대 구분이 있다. 그 시대 유물로 본다. 달리 우르 제3왕조라고도 하는 이 왕조는 기원전 22세기에서 21세기 무렵 우르Ur 라는 도시에 기반을 둔 수메르 지배 왕조이자, 역사가들이 초기 제국이라고 생각하는 단명한 영토 정치 국가를 지칭한다. 현재 독일 베를린 소재 근동박물관[Vorderasiatches Museum]에 보관되어 있는 움마Umma[엄마?] 출토 이 점토판은 중앙 안뜰이 특.. 2024. 8.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