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30

블랙핑크 10억뷰 뮤직비디오 돌파가 제기하는 궁금증 블랙핑크 '뚜두뚜두', K팝 그룹 첫 유튜브 10억뷰 기록 썼다송고시간 | 2019-11-11 20:13 유튜브가 독패하는 시대, 가요계 인기도 이 친구가 제공하는 영상음악을 몇 사람이 몇 번이나 눌렀는지로 측정되는 시대라, 4인조 다국적 걸밴드 블랙핑크BLACKPINK가 발표한 뮤직비디오 '뚜두뚜두DDU-DU DDU-DU'가 10억 뷰 view를 11일 돌파했다 한다. 이 밴드가 우선 요새 이런저런 일로 곤혹스럽기 짝이 없는 YG 소속이라는 사실을 주목할 만 하거니와, 불난 YG 집에서 그래도 블랙핑크는 초우량주식이다. 이런 블랭핑크는 멤버 구성을 보면 지수 라는 친구와 제니 라는 친구 둘이 대한민국 국적이요, 로제 라 일컫는 로잔느 박 Roseanne Park, 곧, 박채영이 뉴질랜드 태생 한국인이며.. 2019. 11. 11.
Chinese Egrets flew 1,215 km for 1 night from Korea to Taiwan 노랑부리백로, 1박2일 1천215㎞ 날아 대만 갔다송고시간 | 2019-11-11 09:47국립문화재연구소, 위치추적기로 두 마리 월동지 이동 경로 확인"평균 시속 50여㎞…한 마리는 대만 거쳐 필리핀으로" Chinese Egrets flew 1,215 km for 2 days and 1 night form Korea to Taiwan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onfirms two wintering routes by location tracker"Average 50 kilometers per hour… a bird goes through Taiwan to the Philippines" SEOUL, Nov. 11 (Yonhap) -- Two m.. 2019. 11. 11.
장가가는 김건모...조금이라도 튀어볼라고 장가가는 김건모, 내년 2월 서울서 전국투어 대단원송고시간 | 2019-11-11 09:22 뉴스도 결국 장사다. 모든 언론이 공공성 공익성을 내세우지만, 그런 모든 언론사가 손가락을 빨면서 굴러갈 수는 없다. 결국 뉴스를 팔아야 먹고 사는데, 이전엔 이 장사가 시청률 판매부수가 기준이었다면, 요새는 트래픽 뷰 traffic view 로 모든 것이 결정된다. 간단히 말해 어떤 기사를 누가 얼마나 많이 클릭하느냐로 상품성이 결판난다. 뭐 거창한 얘기 하려는 거 아니다. 그래서 제목 달기에 고민을 할 수밖에 없고, 그 제목이 독자의 관심을 끌어야 하며, 이런 절박성에서 이른바 낚시성 제목이라는 비아냥이 등장한다. 낚시성 제목이란 간단히 말해 자극적이며 선정적인 제목이다. 누가 누구랑 연애를 하네 마네 하는데.. 2019. 11. 11.
장풍을 끌어들인 《로메리고 주식회사》 수림문학상 수상작 '로메리고 주식회사' 출간송고시간 | 2019-11-11 08:00최영 장편소설…'기이한 이야기'로 현대사회 투영 수림문화재단이 우리 공장 연합뉴스와 공동 제정 시행하는 수림문학상이 올해로 7번째를 맞았다. 이번 수상작으로는 《로메리고 주식회사》가 선정됐으니, 수상 소식과 시상식은 이미 여러 경로를 통해 전했으니, 이번에는 그의 수상작이 진짜 책으로 나왔음을 전하고자 한다. 출판사는 광화문글방인데, 우리 공장 출판사 이름이다. 수상작가는 최영(43). 외모는 언뜻 율 브린너 과다. 아참...율 브린너 하면 모르는 분이 많을 테니, 암튼 이마가 훤한 40대 남성 신진 작가다. 수림문학상 심사위원장이 윤후명 선생이신데, 심사를 끝내고는 본인한테 전화로 선생이 통보하자마자, 작가가 울음을 터.. 2019. 11. 11.
곶감 분바르고 시래기 말라비트는 최촉催促 몇년전이었다. 오늘처럼 그해 이맘쯤엔 연일 비가 쏟아부었다. 그때도 지금이나 마찬가지로 곶감을 만드는 시절이었다. 모든 곶감에 곰팡이가 슬었다. 시래기도 풀풀 썩어갔으니 덜마른 이불 장마철에 덮는 기분이었다. 하늘이 허여한 때와 조건이 있다. 이때는 서리가 포곡히 내리고 대지는 건조해야 하며 새벽 냇가엔 물안개 피었다가 해가 뜨면 언제 그랬냐는 듯 말짱해야 한다. 겨울 최촉催促하는 이 비가 장마가 아니며 은행잎 무게 계워 스스로 낙하할 정도만의 그런 비였음 한다. 예가 아일랜드는 아니지 아니한가? 2019. 11. 11.
Another Autumn... Is passing by Like woman's love 2019. 11. 11.
비 폭격 은행단풍 날 버리고 떠난 사람한테 물었다. 잘 사냐? 추락하는 모든 것은 구슬프기 마련이다. 2019. 11. 10.
엘레나 페란테 vs. 조남주, 영상미디어가 더 부채질하는 베스트셀링 '은둔의 작가' 伊 엘레나 페란테 5년만에 신간 출간(종합)송고시간 | 2019-11-08 18:13현지 평단서 좋은 반응…한국서도 내년 번역 출간될 듯 《어른들의 거짓된 삶 La Vita Bugiarda degli Adulti》이라는 신작을 들고 나온 이 작가를 나는 모른다. 아직 접한 적이 없는 까닭이다. 위키피디아 영어판을 검색하니 엘레나 페란테 Elena Ferrante 라 하는데 이 역시도 수도님 pseudonym, 곧 필명이라 하며, 본명이 보이지 아니한다. 분야는 Novelist라 하고, Nationality는 Italian, 장르 Genre는 Literary fiction, Notable works로 Neapolitan Novels 를 꼽거니와, 이것이 곧 저 기사에서 보이는 '나폴리 4부.. 2019. 11. 10.
1세대 은막 트로이카 윤정희, 알츠하이머 투병 배우 윤정희, 알츠하이머 투병…딸 얼굴도 구분 못해송고시간 | 2019-11-10 13:0810년 전 치매 시작…이창동 감독 '시'에서 치매환자 역할 맡기도 본문에서도 언급했듯이 흔히들 윤정희와 남정임과 문희를 당대 트로이카 여배우로 거론하거니와, 이들을 이어 정윤희 유지인 장미희가 이끄는 2세대 트로이카 여배우 시대가 개막한다. 저 1세대 트로이카는 실은 나로서도 그닥 친숙하지는 아니하다. 그만큼 연배 차이가 적지 아니해서, 옛날 텔레비전에서 틀어주는 옛날 영화에서 가끔 마주친 정도였으니 말이다. 저들 1세대 트로이카 중에서도 윤정희만큼은 비교적 요즘 세대까지 그나마 친숙성이 더할 것으로 본다. 1945년생인 남정임은 1992년 9월 2일에 타계했으며, 1947년생 문희는 한국일보 창건주 장기영 아들인.. 2019. 11. 10.
담쟁이도, 단풍도 US Government Property? No Trespassing 이랬는데.. 트레스패싱이면 MP한테 부재피거나 총 맞을 터인데 담쟁이는 아랑곳 없다. 이태원에 뜨는 달은 미국달인가? 그야 알 수 없으나 US Government Property 담벼락 trespassing한 담쟁이랑 그것이 빚은 단풍은 묻거니와 US Government Property인가? 2019. 11. 10.
이혼 경험 쫌 있는 변호사의 이혼 잘하기 노하우 '이혼 두번' 변호사가 펼치는 이혼 이야기송고시간 | 2019-11-10 08:00김향훈 변호사 '당신의 이혼을 응원합니다' 출간"20년 지나면 결혼계약 갱신 여부 선택하도록 해야" 주장도 결혼 두 번에 이혼 두 번. 좀 잘가는 듯한 변호사인데, 이 친구가 도발적인 이혼 이야기를 들고 나왔다. 얼마전 정기인사에서 문화부 출판 담당으로 합류한 선배가 이 책을 서평이 올렸기에, 읽으면서 나 혼자 키득키득했으니, 이혼하는 사람들이야 그 과정, 그리고 그에 따른 후유증이 적지 아니한 것은 알지만, 암튼 좀 재미가 있어서였다. 저자에 의하면 주변에 5번 이상 이혼에 대한 의견을 묻고 같은 이야기로 6개월 이상 주변 사람들을 괴롭힌다면 이혼하라고 한다. 이혼할 생각이 심각하거덜랑 주변 사람 괴롭히지 말고 부부 상담.. 2019. 11. 10.
소처럼 일만 하면 되는 빅뱅, 하지만 상흔은 적지 않고 빅뱅 모두 복귀…태양·대성 전역 "좋은 모습으로 보답"송고시간 | 2019-11-10 09:44팬 1천400여명 몰려…태양, 향후 활동에 "많은 지혜 필요, 열심히 고민" 빅뱅BIGBANG....천문학에서 따온 이름일 터인데, 이를 대중에 파고들게 한 일등공신은 스티븐 호킹 박사가 아닌가 한다. 5인조 보이밴드가 저 이름을 밴드 이름으로 정할 적에는 어떤 생각으로 저리했는지 내가 알 수는 없지만, 그것이 상징하는 무슨 가요계 혁명 혹은 혁신을 나름 시도하지 않았을까 상상해 본다. 나 같은 중늙은이들한테는 빅뱅이건 초신성이건 뭐건, 저런 젊은 친구들이 들고나온 음악이 썩 달가울 리는 없고, 더 냉혹히 말하자면 관심이 없다. 뭐랄까? 버릇없는 젊은이들? 내가 그 정도 꼰대는 아니라 생각하지만, 뭔지 모를 양.. 2019. 11. 10.
Flagpole Supports at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원주 법천사지 당간지주 原州法泉寺址幢竿支柱Flagpole supports on Beopcheonsa site, Wonju, Gangwondo Province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0호소재지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Gangwon-do Cultural Property Material No. 201 현지 안내판 설명을 존중해서 설명한다.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나 뜰에 세우는 깃[당간幢竿]을 지탱하기 위해 세운 두 개 돌기둥이며, 깃대에는 사찰의 의식이나 행사가 있을 때, 혹은 부처 및 보살의 공덕을 기릴 때 깃발을 단다. 이 당간지주는 절터 남쪽에 위치하며, 높이가 3.9m로 법천사 규모를 짐작하게 해 준다. (당간지주가 크다 해서 해당 절 또한 크다고 이해하는 방식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 아무런 장식.. 2019. 11. 10.
풍운아 박홍 신부 前 서강대 총장 박홍 신부 선종 "평화의 안식 누리길"(종합2보)송고시간 | 2019-11-09 13:45신장 투석·당뇨 합병증 오랜 투병생활…11일 발인·장례미사1994년 "주사파 배후에 北 김정일" 발언으로 파문 참말로 각종 논란을 낳은 시대의 걸물 박홍 신부가 9일 영면에 들었다. 향년 78세이니, 단명했다 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장수했다고도 할 수 없는 엉거주춤한 세상살이였다. 그의 투병생활에 대해서는 일전에 아래 소식으로 저번 7월 18일 전했거니와 주사파 발언 박홍 신부 투병 참으로 파란 많은 행적을 남긴 풍운아였다. 서강대 총장 재직시설과 이후 언동이 많은 기대치를 배반한다 해서 참말로 욕도 많이 먹은 성직자였다. 특히 '주사파발언'은 각종 논란을 낳았으니, 이때문에 그 자신이 치른 곤욕은.. 2019. 11. 9.
절정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단풍 띠 넘다가 불알 찡김보호막 걷어치라캐도 2019. 11. 9.
Ginkgo Tree at Bangyeri Village /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原州磻溪里銀杏 Ginkgo tree in Bangye-ri 33,Wonju, Gangwondo Province 천연기념물 제167호소재지 :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반계리Natural Monument No. 167 이 나무는 높이가 34.5m, 가슴높이 줄기 둘레가 16.9m, 밑동 둘레가 14.5m에 이르며, 가지는 동서로 37.5m, 남북으로 31m 정도로 넓게 퍼져 있다. 정확한 나이는 알 수 없으나 대략 800년 정도로 추정된다. 이 나무는 예전에 이 마을에 많이 살았던 성주이씨 가문의 한 사람이 심었다고도 하며, 또 아주 오랜 옛날에 어떤 대사가 이 곳을 지나가다 목이 말라 물을 마신 후 가지고 있던 지팡이를 꽂아 놓고 간 것이 자란 것이라고도 한다.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 속에 커다란 흰 뱀이 살고 있어서, .. 2019. 11. 9.
깨고락지 2019. 11. 9.
미라와 북극 (10) 신동훈 (서울의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학연구실) 프랭클린 원정대의 비극은 대장인 프랭클린의 죽음에 대한 디테일, 탐험선인 Terror와 Erebus에서 탈주한 선원의 운명은 아직도 오리무중이지만 이들이 어떤 이유로 조난했고 마지막 행적은 어떠했는지 1세기에 걸친 집요한 추적으로 이제는 거의 밝혀진 상태이다. 그리고 프랭클린 원정대는 남극 대륙원정 중 쓰러진 스콧 원정대와 마찬가지로 영국의 탐험정신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사람들 사이에 기억되고 있다. 프랭클린 동상 이들이 목숨을 걸고라도 집요하게 찾던 북서항로는 그 뒤 어떻게 되었을까? 이 북서항로를 마침내 돌파한 사람은 저 유명한 노르웨이의 아문젠이었다. 그는 남극 정복 이전에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한 탐험가 반열에 올라 있었는데 그의 북서항로 최초 돌파가 .. 2019. 11. 9.
리사 vs. 닉쿤, 동남아를 휩쓴 K-pop 한류 어제 저녁 OANA 서울총회 각국 통신사 대표단 환송이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열렸거니와, 이 총회가 언론 관련 행사라 해서 우리 공장에서는 그와 관련한 기사 처리를 문화부에서 했으니, 그런 인연이었는지 아닌지 확실치는 아니하나, 나 역시 그 자리에 동원되었다. 헤드 테이블을 제외하고는 빈 자리 아무데나 잡고 박수치고 저녁 먹는 자리였는데, 내가 앉은 테이블에는 아마 이번 대회를 통해 더 친해져서 그랬을 터인데, 동남아 분들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듣자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네팔 이런 데서 오신 분들이었다. 앞선 포스팅에서 잠깐 한 말이지만, 이래저래 얘기는 주고받아야겠고, 그렇다고 거창한 언론 환경까지 이런 자리에서 논할 수는 없으니, 그래도 먹먹한 분위기 깬답시고 K-pop 얘기를 꺼냈더니, 기다.. 2019. 11. 9.
제대로 자빠뜨려야 하는 <피사의 탑> 아직 내 찍새 연륜이 턱없이 짧아서이리라. 사진 혹은 시각이 주는 특유의 굴곡 현상 때문에 저 유명한 피사의 탑은 그 굴곡 현상이 외려 탑을 곧추 세우는 착시가 발생하곤 한다. 아래서 올려 찍으면 자빠진 탑이 빨딱 발기하는 모습을 연출한다. 이걸 어디서 어케 찍어야 자빠진 탑 모습이 제대로 잡히느냐 고민했다. 그나마 젤로 가찹다고 생각하는 것을 고른다. 성당 건물을 기준으로 그걸 최대한 수평과 수직 모두 실상에 가깝게 평면에 포착해야 그나마 탑 기울기가 부각하기 마련이어니와 그러기 위해선 뒤로 최대한 물러서야 하며 잔디밭을 많이 살려야 했다. 언제나 그렇듯이 다시 가면 더 잘 짝을 것만 같다. 계속 불만이다. Torre di Pisa that should be tilted properlyDue to th.. 2019. 11. 9.
OANA 보내며 일주일 같던 이틀이 마침내 끝났다. 국제대회 밥먹듯 하는 사람들이야 웃을지 모르고 더구나 나야 첫날 개막식 잠깐 모습 비추고 마지막날 환송식에 자리 채우는 역할 밖에 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이만으로도 피곤하다. 아시아태평양지역 각국 뉴스통신사 대표단 35개국인가 38개국이 모이는 오아나OANA는 언론계 외부에선 생소하기만 하겠지만 각국 내노라 하는 통신사는 다 참여하는 총회는 매머드급이다. 나름 나 개인으로서는 이 행사 보도 관련 주무 부서장으로 이에서 다룬 사안들을 정리하는 기사들을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그 경향이랄까 추세 이런 것들을 간접 점검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우리 혹은 우리 언론이 하는 고민 혹은 과제라 해서 유별날 수도 없고 후진적이지도 않다. 우리가 하는 사업 고민 로이터라고 예외인 것도 아니.. 2019. 1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