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434

왜 숙일까? 한민족 남자들만 이러한가? 다른 민족은? 한민족 남자 중 중년 이상만 이러한가? 이 비굴이 싫어 나는 고개를 꼿꼿이 들거나 아주 하늘을 꼬나본다. 그리 자신이 없단 말인가! 2019. 7. 4.
18세기 재테크 서적 해동화식전海東貨殖傳 대략 보름전쯤이었을까? 약속 때문에 인사동 거리를 두리번하는데 저짝에서 어디서 많이 뵌 분이 나타난다. 보니 대회 안 선생이라, 한창 팔팔하던 박사과정 시절인가 이 양반이 Y대 교양한문3인가 가방모찌 강사 생활을 하던 시절 그 과목을 수강한 인연이 있어, 냅다 예를 갖추고는 아니 선생님이 어인 일시십니까? 하니 이 근처에 모 선생님을 뵙기로 했는데 시간을 잘못 알고 30분이나 일찍 왔네 그러는지라, 그러면 잘되셨소 차 한잔 하시지오 해서 인근 찻집으로 들어 대추차 한잔 시켜놓고 홀짝홀짝 마시면서 던진 미끼가 요새 좋은 자료 찾으셨다는 말이 있습니다? 슬그머니 꺼냈더니, 기다렸다는 듯이 글쎄 하나 있긴 한데, 조선후기 자료인데 말이야, 돈 버는 방법을 정리한 자료를 찾아서 해제 중이야. 조만간 책으로도 나.. 2019. 7. 4.
필암서원 마룻바닥에 배깔고는 맘도 급하고, 시간도 촉급했던 장성행 이번 주말 정도 예정한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 등재를 앞두고 그 대상지 중 한 곳인 이곳 필암서원을 지나칠 순 없었다. 이곳 토호 행주기씨 호철 선생이랑 상경하는 길에 잠깐 들렀다. 세계유산이라한들 그것이 일취월장하는 것은 아니로대 그래도 그 직전 모습은 담아두고팠다 해둔다. 뭐 이렇다 하게 달라졌거나 달리 보이지는 아니한다. 너무 자주본 여파리라. 마룻바닥 널부러져 요모조모 기간 담아보지 못한 컷 포착하려 버둥버둥하지만 다 그게 그거라 환장할 노릇이다. 이럴 땐 흑백으로 돌려보는 게 최고라 그 모드 놓고 박아보는데 글쎄 어떤 차별도 보이지 않아 더 분통이 터진다. 할 수 없이 바닥 찰싹 붙어 눌러보는데 이 짓도 여러번 시도한 까닭에 그닥 흥이 나진 아니한다. 널부러져.. 2019. 7. 3.
발굴보고서 교정 일례 가마의 규모는 잔존 길이 746cm, 최대 너비 246cm이다. 소성실의 규모는 잔존길이 427cm, 최대너비 220cm이며, 소성실의 평면형태는 세장방형이다. 소성실 바닥에는 암키와가 일부 깔려 있어 기와를 적재하기 위한 시설로 추정된다. 연소실의 규모는 길이 210cm, 최대 너비 246cm,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최대 높이는 170cm이다. 연소실과 소성실의 사이의 단벽은 굴광면에 기와를 쌓고 점토를 발라 조성되었으며, 단벽의 높이는 70cm 이다. 아궁이는 46×40cm 크기의 할석과 점토를 이용하여 축조되었으며, 이맛돌은 유실되었다. 곤친다. 가마는 현재 남은 기준으로 길이 746cm, 최대 너비 246cm다. 기와를 굽는 공간인 소성실은 남은 기준 길이 427cm, 최대 너비 220cm이며, 평.. 2019. 7. 3.
Come to me to ease ur pain : Medicine Buddha Bhaiṣajyaguru or the Buddha of healing and medicine on the east face to the four-sided sculptures at Gulbulsa Temple Site in Gyeongju / 慶州掘佛寺址石造四面佛像中東面 藥師佛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중 동편 약사불 This Buddha is thought to be the work of the 8th century Unified Silla period. Among the Buddhas, Bhaiṣajyaguru is regarded as the Buddha who presides over the East. 2019. 7. 3.
휩쓸리는 민족성? 오늘인 2일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이날 기준으로 영화 '알라딘' 국내 매출이 715억3천319만849원을 기록했다 한다. 이는 중국 내 흥행 수익 3억6천746만4천 위안(한화 623억7천333만9천360원)을 뛰어넘는 것이라고 배급사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는 설명했다는 것이다. 수국..이 역시 쏠림의 대표적 문화현상이다. 여름꽃으로 좋다하니 지금 대한민국은 수국공화국이다. 한국이라는 시장, 혹은 그 면적 때문인지 우루루 어느 하나가 좋다하면 일순간 그 쪽으로 쏠리는 현상은 영화흥행기록을 보면 잘 드러난다.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여파를 빌려 흥행독주하던 기생충도 뒤늦게 치고든 알라딘에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물론 기생충도 천만 턱 밑까지 관객을 채웠으니 물릴대로 물린 흥행기록을 썼다. 알라딘 .. 2019. 7. 2.
경향신문은 아직도.. 오늘 조간 중 강렬한 내셔널리즘 성향을 표방하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 두 개만 골라 1면을 본다. 글 기사는 비단 두 신문만이 아니라 모조리 일본정부의 대 한국 수출금지 조치 발표를 머릿기사로 삼았거니와 그런 가운데서도 유독 경향만은 여전히 전전날 판문점 남북미정상회동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한 모습이다. 아주 뽕을 뽑을 듯한 자세다. 2019. 7. 2.
퇴임 이후 연구서 쏟아내는 민병훈 "십이지는 시공을 초월한 유라시아 지역 공통어"송고시간 | 2019-07-02 06:30중앙아시아사 연구자 민병훈 박사, '유라시아의 십이지 문화' 출간 참 희한한 형이다. 형은 재직시절에 끊임없이 책은 퇴직하고서 내겠다고 했다. 그때 이르기를 번역물과 창작물 다 합쳐 대략 10권 정도를 예상하는데, 재직 중에는 낼 시간도 없으니 퇴직하고서 작은 연구실 하나 내고는 열공해서 내겠다고 했다. 나 이런 사람 무지하게 많이 봤다. 나 그렇게 큰소리 뻥뻥쳤다가 공수표 날리는 사람 또한 무수히 봤다. 개중 어떤 이는 퇴임 무렵 그나마 하는 일이라고는 그간 이곳저곳 발표한 논문이나 수상록 엮어 내기도 했다. 물론 흩어진 본인 글을 모아 그것을 엮어낸다는 것도 의미가 없지는 않을 테고, 그것 역시 적지 않은 에너지와.. 2019. 7. 2.
매장문화재가 장의사였던 시절, 埋葬과 埋藏 사이 오늘 현재 전국에 걸쳐 100곳 이상을 헤아리는 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을 그 등장 초창기에는 매장문화재연구원이라 부르던 시절이 있었으니, 1994년 8월 5일, 그 시초를 알리며 출범한 기관 역시 영남매장문화재연구원이었다. 이 연구원은 결국 1999년 9월 9일, 이름을 영남문화재연구원으로 바꾸는데, 가장 중요한 차이라면 '매장'이라는 말을 뺀 것이다. 이 매장을 애초 '埋葬'이라 했는지, 혹은 '埋藏'이라 했는지 자신은 없지만, 그네들이 표방한 목적을 본다면 아마 후자에 가깝지 않을까 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매장'이라는 말이 사회에 통용하는 가치다. 고고학계를 벗어난 데서는 모두가 전자로 받아들인 까닭이다. 다시 말해 사람이나 동물과 같은 시체를 묻는 일을 하는 곳이라 인식하는 일이 많았다는 점이.. 2019. 7. 2.
제3차 동남아시아 고고학회 참관기 : 태국 방콕 (5) 신동훈 (서울의대 생물인류학 및 고병리학 연구실) 그렇다면 동남아시아는 어떨까. 동남아시아사와는 전혀 인연이 닿지 않는 필자 연구실이지만 이전 어느 국제학회 참가차 캄보디아 앙코르와트에 들렸다가 우리와는 완연히 다른 그 지역 옛 도시 풍광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국제학회 참석차 들린 앙코르와트에서 필자는 우리와는 전혀 다른 고대도시 풍광을 접했다 여담이지만 필자는 옛 도시에 관심을 가진 후 부터는 이런 지역을 방문할 기회를 얻으면 자동차 등 교통수단 대신 도보로 도시지역 전체를 돌아보는 습관을 갖게 되었다. 이렇게 무리하는 이유는 옛 사람들이 도시안에서 이동하는 거리와 들어가는 품을 직접 느껴 보기위해서이다. 아무래도 차나 툭툭 등을 타고 돌아다니면 과거의 이동 행정과는 다른 느낌을 받기 마련일터이므로... 2019. 7. 2.
제철 만난 족두리꽃 아리까리 요샌 들어도 돌아서면 까먹으니 글타고 무슨 꽃이름 어플에 얹어보기도 귀찮아 물어보니 족두리꽃이란다. 그랬었지 그때도 그런 이름을 듣고는 그래 그 폼새 족두리 같으니 재미난 꽃이다 했더랬다. 이 꽃 역시 내가 어릴적엔 본 적 없다가 최근들어 부쩍부쩍 조우하는 일이 많아지니 원산지 외국 아닌가 하며 급속도로 재배지를 확대하는 중이니 그 전파속도 제국주의 일본의 식민지 확대보다 빠르다. 맨드라미랑 군집 이뤄 색색이 피웠으니 그 화려한 자태 몹시도 애탐이라 애끊고 애끓는 내 맘과 흡사하다. 찾아보니 풍접風蝶, 곧 호랑나비 비슷하다 해서 풍접화風蝶花라 하고, 그 꽃이 거미줄 같은 모양으로 핀다 해서 영어로는 spider plant 혹은 spider flower이라 하는 모양이라 뭐 호랑나비 닮았는지 거미.. 2019. 7. 2.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도 놀란 우리 軍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는 말이 있다. 자라나 거북이가 눌러쓴 딱지를 보면 흡사 솥뚜껑을 방불하는 까닭이다. 그런가 하면 더위 먹은 소는 달만 보아도 헐떡인다는 말이 있다. 이게 주로 중국에서 쓰던 속담이 한반도로 넘어와 이리 번역되곤 하거니와 장강 이남은 아열대 기후라, 그쪽 오월 지방 소는 더위에 힘들어 하니이글거리는 태양만 보고도 힘이 죽죽 빠지는 소가 한밤중 달을 보고도 그게 태양 아닌가 해서 헐레벌떡한다는 뜻이다. 요새 우리 군軍이 말이 아니다. 연전에 노크귀순이라 해서 치욕을 경험했으니 DMZ 어느 전방초소에선가 북한군이 귀순해서 문을 노크하면서 "저 귀순했는데요?"라고 말할 때까지 까마득히 몰랐다 해서 얻어터지는가 싶더니 그 노크귀순이 최근 강원도 해변에서 또 있었으니, 북한.. 2019. 7. 2.
[인사] 문화재청(2019.7.1) [인사] 문화재청 ◇ 고위공무원 승진▲ 궁능유적본부장 나명하◇ 부이사관 승진▲ 기획재정담당관 이길배 ▲ 안전기준과장 도중필 ▲ 국제협력과장 이종희◇ 서기관 승진▲ 운영지원과 방현기 ▲ 정책총괄과 조동주 ▲ 천연기념물과 이달희◇ 과장급 전보▲ 정보화담당관 김성일 ▲ 활용정책과장 김종승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무과장 남상범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생과장 유건상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교육운영과장 강흔모 ▲ 국립고궁박물관 기획운영과장 박근용 ▲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장 노명구 ▲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장 정종근 ▲ 국립문화재연구소 안전방재연구실장 김성도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장 황인호 ▲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장 김지연 ▲ 궁능유적본부 궁능서비스기획과장 이재준 (서울=연합뉴스) 2019. 7. 2.
판문점 산통 깬 일본 판문점에 흥이 취한 한반도에 날벼락이다. 일본이 경제산업성 발표를 통해 한국으로의 수출관리 규정을 개정해 스마트폰 및 TV에 사용되는 반도체 등 제조 과정에 필요한 3개 품목의 수출 규제를 강화한다고 1일 발표한 것이다. 부러 그리 했는지 알 수 없으나 참으로 절묘한 시점이다. 더구나 이 발표를 왜 외무성이 아닌 산업성이 했는지도 의아하기만 하다. 판문점에 도취한 한국으로서는 정신이 번쩍드는 한 방이며 어퍼컷이다. 나는 이 조치가 향후 어떤 영향으로 나타날지는 모르겠다. 다만 하나 분명한 점은 그 영향은 실질일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판문점은 솔까 환취 말고는 우리한테 주어진 게 암 것도 없는 빈껍데기다. 물론 그 빈껍데기가 속이 알찬 가을녘 배추가 되는 밑거름이 되리라 믿고 싶겠지만 빈깡통일지도 아무도.. 2019. 7. 1.
glossary를 도해한 발굴보고서 요샌 내가 발굴보고서 보지 않은지 하도 오래라, 이런 시스템이 지금은 일반적 현상인데 내가 뒷북 칠 수도 있음을 혜량바란다. 전남도관광문화재단 문화재연구소에서 2019년 발간한 발굴보고서 《[학술총서 6] 신안 흑산도 무심사지Ⅱ》를 이 연구소 홈페이지로 들어가 다운로드하고는 무심히 책장을 넘기다가 그 서두에 이 보고서에서 사용하게 될 기와 관련 용어를 정리한 이런 도판을 보았으니 참 좋은 시도로 본다. 다른 보고서들에서도 이런 방식을 많이 채택하는지 최신 정보에 어두우나, 내가 한창 보고서를 긁적이던 무렵까지만 해도 이런 도해는 전연 없었다. 그 어떤 보고서건 그 보고서에서 사용할 용어집 정리와 설명은 기본 중의 기본인데, 그런 대목에서 우리 발굴보고서는 무척이나 불친절했다. 이 용어집을 glossary.. 2019. 7. 1.
탈해왕(脫解王) ☞ 석탈해(昔脫解) 2019. 7. 1.
탈해니사금(脫解尼師今) ☞ 석탈해(昔脫解) 2019. 7. 1.
석탈해昔脫解 삼국사기 권제1(신라본기 제1) 남해차차웅 : 5년(서기 8) 봄 정월에 왕이 탈해(脫解)가 어질다는 소문을 듣고 맏딸을 그에게 시집보냈다.7년(서기 10) 가을 7월에 탈해를 대보(大輔)로 삼아 군무(軍務)와 국정(國政)을 맡겼다.삼국사기 권제1(신라본기 제1) 유리니사금 : 유리 이사금(儒理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남해의 태자이다. 어머니는 운제부인이고 왕비는 일지(日知) 갈문왕(葛文王)의 딸이다., 앞서 남해가 죽자 유리가 마땅히 왕위에 올라야 했는데, 대보(大輔)인 탈해가 본래 덕망이 있었던 까닭에 왕위를 미루어 사양하였다. 탈해가 말하였다.임금의 자리는 용렬한 사람이 감당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내가 듣건대 성스럽고 지혜로운 사람은 이[齒]가 많다고 하니 떡을 깨물어서 시험해보자. 유리의 잇.. 2019. 7. 1.
탈해(脫解) ☞ 석탈해(昔脫解) 2019. 7. 1.
탈해니질금(脫解尼叱今) ☞ 석탈해(昔脫解) 2019. 7. 1.
탈해치질금(脫解齒叱今) 삼국유사 권제1 기이 1 제4대 탈해왕(脫解王) : 탈해치질금(脫解齒叱今, 토해니사금吐解尼師今이라고도 한다)은 남해왕(南解王) 때(고본古本에는 임인壬寅년이라고 했으나 이는 잘못이다. 가까운 일이라면 노례왕弩禮王 즉위 초년보다 뒤의 일일 것이니 양위讓位를 다투는 일이 없었을 것이다. 또 먼저 일이라면 혁거세왕赫居世王 때의 일일 것이다. 그러니 이 일은 임인壬寅년이 아닌 것임을 알겠다)에 가락국(駕洛國) 바다 가운데에 배 한 척이 와서 닿았다. ☞ 석탈해(昔脫解) 2019. 7.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