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7661 김억렴(金億廉) 신라 마지막 경순왕 김부의 큰아버지이며, 그의 딸이 고려 태조 왕건의 후비(后妃) 중 한 명인 신성왕후(神成王后)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김부대왕(金傅大王) : 처음에 왕이 국토를 바치고 항복해 오자 태조는 무척 기뻐하여 후한 예로 그를 대접하고, 사람을 시켜 말했다. “이제 왕이 내게 나라를 주시니 주시는 것이 매우 큽니다. 원컨대 왕의 종실(宗室)과 혼인을 해서 구생(舅甥)의 좋은 의(誼)를 길이 하고 싶습니다.” 왕이 대답했다. “우리 백부(伯父) 억렴(億廉·왕의 아버지 효종孝宗) 각간은 추봉된 신흥대왕의 아우다)에게 딸이 있는데 덕행과 용모가 모두 아름답습니다. 이 사람이 아니고는 내정(內政)을 다스릴 사람이 없습니다.” 태조가 그에게 장가드니 이가 신성왕후(神成王后) 김씨(金氏)다.. 2018. 4. 9. 신란공주(神鸞公主) 고려 태조 왕건의 맏딸로 귀순한 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 김부에게 시집간 낙랑공주가 결혼 이후 받은 칭호. 죽은 뒤에는 효목(孝穆)이라 일컬어졌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김부대왕(金傅大王) : 태조는 신라의 국서를 받자 태상(太相) 왕철(王鐵)을 보내서 맞게 했다. 왕은 여러 신하를 거느리고 우리 태조에게로 돌아가니, 향거보마(香車寶馬)가 30여 리에 뻗치고 길은 사람으로 꽉 차고, 구경꾼들이 담과 같이 늘어섰다. 태조가 교외에 나가서 영접하면서 위로하고 대궐 동쪽 한 구역(지금의 정승원)을 주고, 장녀 낙랑공주(樂浪公主)를 그의 아내로 삼았다. 왕이 자기 나라를 작별하고 남의 나라에 와서 살았다 해서 이를 난조(鸞鳥)에 견주어 공주 칭호를 신란공주(神鸞公主)라고 고쳤으며, 시호(諡號)를 효목.. 2018. 4. 9. 효목(孝穆) 고려 태조 왕건의 맏딸로 귀순한 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 김부에게 시집간 낙랑공주가 죽은 뒤에 받은 시호.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김부대왕(金傅大王) : 태조는 신라의 국서를 받자 태상(太相) 왕철(王鐵)을 보내서 맞게 했다. 왕은 여러 신하를 거느리고 우리 태조에게로 돌아가니, 향거보마(香車寶馬)가 30여 리에 뻗치고 길은 사람으로 꽉 차고, 구경꾼들이 담과 같이 늘어섰다. 태조가 교외에 나가서 영접하면서 위로하고 대궐 동쪽 한 구역(지금의 정승원)을 주고, 장녀 낙랑공주(樂浪公主)를 그의 아내로 삼았다. 왕이 자기 나라를 작별하고 남의 나라에 와서 살았다 해서 이를 난조(鸞鳥)에 견주어 공주 칭호를 신란공주(神鸞公主)라고 고쳤으며, 시호(諡號)를 효목(孝穆)이라 했다. 왕을 봉해 정승(正承).. 2018. 4. 9. 낙랑공주(樂浪公主) 고려 태조 왕건의 맏딸로 귀순한 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 김부에게 시집갔다. 이후 신란공주(神鸞公主)라 불렀으며, 죽어 받은 이름인 시호는 효목(孝穆)이다. 삼국유사 권제1 기이 1 낙랑국(樂浪國) : 이상 여러 글에 의하면 낙랑(樂浪)이 곧 평양성(平壤城)임이 마땅하다. 혹은 말하기를 낙랑의 중두산(中頭山) 밑이 말갈(靺鞨)과의 경계이고, 살수(薩水)는 지금의 대동강이라고 하지만 어느 말이 옳은 지 알 수 없다. 또한 백제 온조왕(溫祚王)의 말에는 "동쪽에 낙랑이 있고, 북쪽에 말갈이 있다"고 했다. 이는 아마도 옛날 한(漢)나라 때 낙랑군에 소속된 현(縣)일 것이다. 신라 사람들이 역시 이곳을 낙랑이라고 했기 때문에 지금 고려에서도 또한 여기에 따라 낙랑군부인(樂浪郡夫人)이라 불렀다. 또 태조(太祖)가.. 2018. 4. 9. 왕철(王鐵) 신라가 고려에 항복할 때 고려의 태상(太相)이었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김부대왕(金傅大王) : 태조는 신라의 국서를 받자 태상(太相) 왕철(王鐵)을 보내서 맞게 했다. 2018. 4. 9. 범공(梵空) 신라 마지막 경순왕의 막내아들로 신라가 고려에 항복할 때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바꾼 승려 이름. 법수사와 해인사에 주로 있었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김부대왕(金傅大王) : 청태(淸泰) 2년 을미(乙未·935) 10월에 사방 땅이 모두 남의 나라 소유가 되고 나라는 약하고 형세가 외로우니 스스로 지탱할 수가 없었으므로 여러 신하와 함께 국토를 들어 고려 태조에게 항복할 것을 의논했다. 그러나 여러 신하의 의논이 분분하여 끝나지 않는지라 왕태자(王太子)가 말했다. "나라의 존망은 반드시 하늘의 명에 있는 것이니 마땅히 충신·의사(義士)들과 함께 민심을 수습해 힘이 다한 뒤에야 그만둘 일이지 어찌 1,000년 사직을 경솔하게 남에게 내주겠습니까?" 왕이 말했다. "외롭고 위태롭기가 이와 같으니.. 2018. 4. 9. 김봉휴(金封休) 신라 마지막 경순왕이 나라를 들어 고려에 항복할 적에 항복 문서를 들고 간 신라 관료.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김부대왕(金傅大王) : 청태(淸泰) 2년 을미(乙未·935) 10월에 사방 땅이 모두 남의 나라 소유가 되고 나라는 약하고 형세가 외로우니 스스로 지탱할 수가 없었으므로 여러 신하와 함께 국토를 들어 고려 태조에게 항복할 것을 의논했다. 그러나 여러 신하의 의논이 분분하여 끝나지 않는지라 왕태자(王太子)가 말했다. "나라의 존망은 반드시 하늘의 명에 있는 것이니 마땅히 충신·의사(義士)들과 함께 민심을 수습해 힘이 다한 뒤에야 그만둘 일이지 어찌 1,000년 사직을 경솔하게 남에게 내주겠습니까?" 왕이 말했다. "외롭고 위태롭기가 이와 같으니 형세는 보전될 수 없다. 이미 강해질 수도.. 2018. 4. 9. 신회(神會)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김부대왕(金傅大王) : 신라가 이미 땅을 바쳐 나라가 없어지자 아간(阿干) 신회(神會)가 외직(外職)을 내놓고 돌아왔는데 도성(都城)이 황폐한 모습을 보고는 서리리(黍離離)의 탄식함이 있어 이에 노래를 지었으나 그 노래는 없어져서 알 수가 없다. 2018. 4. 9. 경애왕(景哀王) 신라 제55대 왕의 시호. 재위 924∼927년. 박씨이며 본명은 위응(魏膺). 아버지는 신덕왕이다. 허울만 남은 신라 말기 왕으로 왕건과 궁예의 치열한 패권 다툼에 견훤의 침략을 받아 결국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삼국사기 권 제12(신라본기 제12) 경애왕 : 경애왕(景哀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위응(魏膺)이고 경명왕 친동생이다. 원년(924) 9월에 태조에게 사신을 보내 예방(禮訪)했다. 겨울 10월에 몸소 신궁에서 제사지내고 크게 사면했다. 2년(925) 겨울 10월에 고울부(高鬱府) 장군 능문(能文)이 태조한테 투항했지만 위로하고 타일러 돌려 보내니, 그 성이 신라 왕도(王都)와 가까웠기 때문이다. 11월에 후백제 임금 견훤이 조카 진호(眞虎)를 고려에 볼모로 보냈다. 왕이 이를 듣고 사신을.. 2018. 4. 9. 경명왕(景明王) 신라 제54대 왕의 시호다. 재위 917∼924년. 박씨이며 본명은 승영(昇英). 제53대 신덕왕 아들이다. 그의 재위 기간은 신라는 이미 기울어질대로 기울어져 나라는 후백제와 고려로 삼분되었다. 죽어 황복사(黃福寺) 북쪽에 장사 지냈다. 삼국사기 권 제12(신라본기 제12) 경명왕 : 경명왕(景明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승영(昇英)이고 신덕왕의 태자다. 어머니는 의성왕후(義成王后)다. 원년(917) 8월에 왕의 동생 이찬 위응(魏膺)을 상대등으로 삼고, 대아찬 유렴(裕廉)을 시중으로 삼았다. 2년(918) 봄 2월에 일길찬 현승(玄昇)이 반역하다가 목베여 죽임을 당했다. 여름 6월에 궁예 휘하에 있던 사람들의 마음이 갑자기 변해 태조(太祖·왕건)를 추대하므로 궁예가 달아나다가 아랫사람에게 죽임을 .. 2018. 4. 9. 갈재를 넘으며[渡蘆嶺]-백광훈(白光勳) 갈재를 넘으며[渡蘆嶺] 백광훈(白光勳·1537-1582) 새벽 기러기 따라 관문넘어 고향가는데마구 쏘다닌 여정 말하자면 꿈결만 같소강남풍토와 흡사하여 반갑기 그지없고 인가는 어디든 대숲에 싸인 마을이라오 還隨曉雁度關門欲說經行似夢魂 却喜江南風土近人家處處竹林村 출전 : 백광훈伯光勳) 《옥봉시집(玉峯詩集)》3 도노령(渡蘆嶺) 2018. 4. 9. 오산곡(鰲山曲)-임제(林悌) 오산곡 장성(鰲山曲 長城) - 임제(林悌) 금오산 산자락 아래에는 흘러가는 황룡천버들가지 한들한들 집마다 밥 짓는 연기꽃 한 송이 꺾어 역로로 임께 보내렸더니갈재 겹겹 관문에 새 한 마리 얼쩡거리네 金鰲山下黃龍川緑柳依依千戶煙折花官道送君去荻嶺单關孤鳥邊 출전 : 임제(林悌·1549~1587) 《임백호집(林自湖集)》2 오산곡(鰲山曲) [해설]오산(鰲山)은 전라도 장성(長城)의 별호(別號)다. 장성현이 지원현과 병합되어 장성읍 성산리 성자산(聖子山) 아래로 치소(治所)를 옮기기 전까지 장성군 북이면 오산리에 치소가 있었다. 오산리 뒷산이 금오산으로 장성현 진산이었다. 1행과 2행은 봄날 장성현 모습을 정감 있게 그렸다. 3행과 4행은 임금님께 정성을 바치려 해도 갈재 험한 관문에 막혀 그 정성이 이르지 못하는 .. 2018. 4. 9. 천연기념물 점박이물범 삼척 문암해변서 발견 이거 한 마리 키우고 싶다.... 천연기념물 점박이물범 삼척 문암해변서 발견송고시간 | 2018/04/06 17:02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더보기인쇄확대축소삼척 문암해변서 발견된 점박이물범(삼척=연합뉴스) 6일 오전 11시 50분께 강원 삼척시 문암해변에서 천연기념물인 점박이물범 한 마리가 해변으로 밀려온 것을 주민 진모(76)씨가 발견, 동해해경에 신고했다. 해경은 물범의 상태를 확인하고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로 연락, 후속조치 할 예정이다. [동해해경 제공=연합뉴스] yoo21@yna.co.kr삼척서 발견된 점박이물범(삼척=연합뉴스) 유형재 기자 = 강원 삼척시 문암해변에서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II 급이자 천연기념물 제331호인 점박이물범이 발견됐다.6일 오전 11시 50분께 삼척시 문암해변.. 2018. 4. 9. 치술鵄述 신라 실성마립간 딸이자 박제상(김제상)의 아내로 슬하에 세 딸을 두었다. 죽어 치술신모鵄述神母로 추앙됐다. 삼국유사 제1권 기이紀異 제1 나물왕奈勿王과 김제상金堤上 : 처음에 제상(堤上)이 신라를 떠날 때 부인이 듣고 남편의 뒤를 쫓아갔으나 따르지 못했었다. 이에 망덕사(望德寺) 문 남쪽 모래사장[沙場] 위에 이르러 주저앉아 길게 부르짖었는데, 이런 일이 있었다 하여 그 사장을 장사(長沙)라 부른다. 친척 두 사람이 부인을 부축하여 돌아오려 하자 부인은 다리를 뻗은 채 앉아서 일어나지 않았다. 그래서 그곳을 벌지지(伐知旨)라고 이름한다. 이런 일이 있은 지 오래 된 뒤에 부인은 남편을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세 딸을 데리고 치술령(鵄述嶺)에 올라 왜국을 바라보고는 통곡하다가 죽고 말았다. 그래서 .. 2018. 4. 8. 백숭(白駥) ☞백융(白駥) 2018. 4. 8. 강구려(康仇麗) 왜국에 인질로 억류 중인 나물왕의 왕자 미해가 김제상(박제상)의 도움으로 왜국을 탈출할 때 신라까지 호송한 계림 사람. 삼국유사 제1권 기이(紀異) 제1 나물왕(奈勿王)과 김제상(金堤上) : 어느 날 새벽 마침 안개가 자욱하게 끼었는데 제상이 미해에게 말했다. "지금 빨리 떠나십시오." 미해가 "그러면 같이 떠나십시다" 했으나 제상이 말했다. "신이 만일 같이 떠난다면 왜인(倭人)들이 알고 뒤를 쫓을 것입니다. 원컨대 신은 여기에 남아 뒤쫓는 것을 막겠습니다." 미해가 다시 말했다. "지금 나는 그대를 부형(父兄)처럼 여기데 어찌 그대를 버려 두고 혼자서만 돌아간단 말이오." 제상이 말했다. "신은 공의 목숨을 구하는 것으로, 대왕의 마음을 위로해 드리면 그것으로 만족할 뿐입니다. 어찌 살기를 바라겠습니.. 2018. 4. 8. 김무알(金武謁) 신라 나물왕 아들 보해가 고구려에 인질로 파견될 때 함께 따라간 관료. 그곳에서 같이 생활했는지는 확실치 않다. 삼국유사 제1권 기이(紀異) 제1 나물왕(奈勿王)과 김제상(金堤上) : 눌지왕(訥祗王)이 즉위한 3년 기미(己未·419)에 고구려 장수왕의 사신이 와서 말했다. "우리 임금이 대왕의 아우 보해(寶海)가 지혜와 재주가 뛰어나다는 말을 듣고 서로 친하게 지내기를 원하여 특히 소신(小臣)을 보내어 간청하는 바입니다." 왕은 이 말을 듣고 매우 다행스럽게 여겼다. 이 일로 해서 화친하기로 마음을 정하고 아우 보해를 고구려로 가게 했다. 그리고 내신(內臣) 김무알(金武謁)을 보좌(補佐)로 함께 보냈더니 장수왕도 그들을 억류해 두고 돌려 보내지 않았다. 2018. 4. 8. 박사람(朴娑覽) 신라 나물왕 아들 미해가 왜국에 인질로 파견될 때 따라간 관료. 그곳에서 같이 생활했는지는 확실치 않다. 삼국유사 제1권 기이(紀異) 제1 내물왕(奈勿王)과 김제상(金堤上) : 제17대 나밀왕(那密王)이 즉위한 36년 경인(庚寅·390)에 왜왕(倭王)이 보낸 사신이 와서 말했다. "우리 임금이 대왕이 신성하다는 말을 듣고 신 등으로 하여금 백제가 지은 죄를 대왕에게 아뢰게 하는 것입니다. 원컨대 대왕께서는 왕자 한 분을 보내서 우리 임금에게 신의를 표하게 하십시오." 이에 왕이 셋째아들 미해(美海·미토희라고도 한다)를 왜국에 보냈다. 이때 미해는 열 살이었다. 말하는 것이나 행동이 아직 익숙하지 못했으므로 내신(內臣) 박사람(朴娑覽)을 부사(副使)로 삼아 딸려 보냈다. 왜왕은 이들을 30년 동안이나 억류.. 2018. 4. 8. 심●(深●) 신라 제24대 진흥왕(재위 540~576년) 이름이다. 깨진 글자는 아마도 '麥' 혹은 '麥夫)일 것이다. 삼국유사 권1 왕력 : 제24대 진흥왕은 이름이 삼맥종(彡麥宗)이니, 심●(深●)이라고도 한다. 김씨다. 아버지는 곧 법흥왕 동생 입종(立宗) 갈문왕이고, 어머니는 지소(只召)부인으로, 식도부인(息道夫人)이라고도 하니, 박씨로 모량리 영실(英失) 각간의 딸이다. (第二十四代眞興王名 麥宗 一作深●, 金氏, 父卽法興之弟立宗葛文王 母只召夫人 一作 息道夫人 朴氏 牟梁里英失角干之女) ☞진흥왕(眞興王) ☞삼맥종(彡麥宗) ☞심맥부(心麥夫) 2018. 4. 8. 모진(募秦) 신라 제23대 법흥왕(재위 514~540) 이름이다. 당대 금석문에서는 모즉지(牟卽智)라 등장하기도 한다. 원종(原宗)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제4 법흥왕 즉위년 : 법흥왕(法興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원종(原宗)이다. (《책부원구(冊府元龜)》에는 성은 모(募)이고 이름은 진(秦)이라 했다). 지증왕 맏아들로 어머니는 연제부인(延帝夫人)이고 왕비는 박씨 보도부인(保刀夫人)이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23대 법흥왕(法興王)은 이름이 원종(原宗)이다. 김씨다. 《책부원구(冊府元龜)》에 이르기를 성은 모(募)이며 이름은 진(秦)이라 했다. 아버지는 지정(智訂)이며 어머니는 영제부인(迎帝夫人)이다. 법흥(法興)은 시호다. 시호는 이에서 비롯된다. 갑오년에 즉위해 26년을 다스렸다... 2018. 4. 8. 재개관 국립춘천박물관 탐방 근자 두어 번 허탕을 쳤다. 재개관을 위한 전시실 리모델링 중이라 해서, 꽝꽝 닫힌 문을 뒤로하고 돌아설 수밖에 없었다. 그런 국립춘천박물관을 주말인 오늘 문득 찾아 나섰다. 점심을 겸한 아침상을 남영동 사저에서 마주할 때만 해도 뚜렷이 어디로 나서보겠다는 생각은 없었다. 막연히 오후엔 근교로 바람이나 쐬러 갔다와야겠단 생각만 스칠 뿐이었다. 마침 때늦은 꽃샘 추위가 한창 기승을 부리는 날이라 멀리 움직이기 싫었는지도 모른다. 밥상을 마주하는데, 집사람이 오늘은 어디 나가지 않느냐 해서, 대뜸 나온 말이 "춘천 잠깐 다녀올까 한다"였으니, 그 말에 다시 집사름이 대뜸 "그럼 기차표 끊어주까?" 하기에 "그리하라" 말한 것이 오늘 춘천행을 결행한 계기였다. 밥상 머리에서 휴대폰으로 기차 사정을 보던 집사람.. 2018. 4. 7. 이전 1 ··· 773 774 775 776 777 778 779 ··· 84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