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9417 제3차 동남아시아 고고학회 참관기 : 태국 방콕 (2) 신동훈 (서울의대 생물인류학 및 고병리학 연구실) 이번에 참석한 학회와 비슷한 성격의 학회로 IPPA (Indo-Pacific Prehistory Association) 라는 것이 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2009년부터 세 번에 걸쳐 참석한 바 있다. 2018년 베트남 후에에서 열렸던 IPPA의 스케줄표. 이 학회도 꽤 규모가 커서 총 40여개의 세션이 열렸다. 하나의 세션에 대략 4-5개의 발표가 묶이니 전체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이 학회도 나름 꽤 긴 전통을 자랑하는데, 전신이라 할 존재를 찾아보면 2차대전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안다. 실제로 이 학회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The antecedent of IPPA was originally founded in 1929. It was te.. 2019. 6. 22. 예멘 난민으로 보는 고대 민족이동과 주류의 교체 요새는 이 문제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모르겠다. 작년 이맘 때만 해도 제주도로 몰려든 예멘 난민 사태로 그 난민 처우를 둘러싼 논란이 극심했다고 기억한다. 이 사태를 둘러싼 논란 전개 양상을 보면, 여러 성찰을 요구한다고 나는 본다. 그런 성찰들과는 별개로 나는 내가 오래도록 궁금해한 의뭉스러움 중 하나를 풀 단서를 푼다고 본다. 무엇인가? 나는 오래도록 역사에 아주 자주 보이는 민족 이동이 어떻게 이뤄지는지가 무척이나 궁금했다. 이번 사태를 보니 고대 민족 이동의 여러 실마리를 풀 수 있다고 나는 본다. 예컨대 민족 이동은 출발지 주체의 관점에서 그것이 발생하는 원인을 생각해야 한다. 예멘에서는 왜 난민이 발생했던가? 둘째 어사일럼asylum 주체의 관점이다. 저들 난민을 대하는 토착사회, 재지在地사회의.. 2019. 6. 22. 수국水菊 Hydrangeas 물론 대체로 하는 이야기다. 보니 여름꽃이 봄꽃과 확연히 다른 점은 꽃이 오래간다는 사실이다. 사꾸라...각중에 왔다가 각중에 간다. 수국..느긋이 왔다가 서서히 죽어간다. 아직 죽지 않았다. 2019. 6. 22. Cheomseongdae, Gyeongju 瞻星臺 첨성대 Literally meaning a star-gazing tower, Cheomseongdae has been believed to be an astronomical observatory. Located at present-day Gyeongju, the capital of the Millennial Kingdom Silla, it was constructed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632-647) according to Samguk Yusa or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However, due to its structure, there are many claims that Cheomseongdae is .. 2019. 6. 21. Gyeongbokgung Palace 慶福宮 | 경복궁, SEOUL 2019. 6. 21. 이 땅의 도굴꾼들에게 고하는 통신(3) 다이너마이트는 필수 나는 일전에 일갈하기를 요즘 도굴꾼들에게 공부가 부족하며, 그리하여 혁혁한 전통을 자랑하는 한국도굴사 최악의 치욕들이 방방곡곡에서 빚어지고 있다고 했거니와, 그런 망신살이 조선시대 회곽묘灰槨墓 혹은 회격묘灰隔墓라는 무덤에도 미치고야 말았다. 2006.01.19 15:58:20서오릉 순창원 도굴 흔적 발견 (서울=연합뉴스) 김용래 기자 =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은 경기도 고양시 서오릉(사적 제198호) 경내 순창원順昌園서 전문도굴범의 소행으로 보이는 도굴 미수 현장을 발견하고 현장조사를 실시했다고 19일 밝혔다. 순창원은 조선 13대 명종明宗의 원자元子 순회세자順懷世子(1551~1563)와 공회빈恭懷嬪 윤씨의 합장묘로, 문화재청에 따르면 18일 오전 발견당시 도굴범이 파낸 것으로 추정되는 봉분 뒤편이 다져.. 2019. 6. 21. 이 땅의 도굴꾼들에게 고함 (2) 최신 정보 획득에 노력해야 2003년 4월 28일 14시 56분 11초에 우리 공장에서 송고한 기사다. 보다시피 작성자는 나다. 의성 관덕동 삼층석탑 도굴로 훼손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경북 의성군 소재 보물 제188호인 관덕동 삼층석탑이 도굴로 훼손된 것으로 28일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이 석탑 2-3층 부분이 해체되고, 탑을 구성하는 석재 일부가 땅바닥에 팽개쳐져 있으며 1층 옥개부가 약 3분의 1가량 밀려나 있는 것을 인근 마을 주민 박문환(73세)씨가 지난 26일 발견, 관할 의성군청에 신고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문화재청은 관할 경찰서와 의성군청 등 관계 기관과 피해실태 조사에 착수하는 한편 훼손 부분에 대해서는 관계 전문가의 별도 현지조사를 거쳐 조속히 조처를 취할 계획이다. 문화재청은 도굴꾼들이 도굴을 시.. 2019. 6. 21. 백년만에 끝장낸 지광국사 현묘탑의 유랑생활 백년 지광국사 현묘탑이 백년만에 본래 자리로 귀향한다. 승탑은 승비와 짝이라 짝을 잃어버린 승비만이 법천사지 귀퉁이에 지난 백년을 외롭게 지켰을 뿐이다. 이 탑이다. 한국승탑 중 그 차지하는 위치가 석굴암에 견줄 이 위대한 유산이 마침내 어처구니 없는 강제유리 유랑을 끝내고 고향 원주로 간다. 누가 막았는가? 혹자는 일본의 강압적인 식민통치를 탓하나 그것이 꼭 틀린 말은 아니나 맞는 말도 아니딘. 돌려주었으면 될 것을 해방이후 대한민국 정부가 막았다. 기구하기 짝이 없는 이 승탑 운명은 내 손으로 끝내고 싶었다. 내 눈에 흙 들어가기 전에 이 비극은 끝내고 싶었다. 그리하여 나는 이를 갈았다. 엎어버리자. 우리안의 식민주의 잔재를 쓸어버리자 했다. 내가 얼마만한 힘을 보탰는지는 알 수 없으나 현지로 돌려놔라 .. 2019. 6. 21. 대가야, 기자를 만나지 못해 매몰한 500년 고대왕국 어느 정도 역사적 실상에 부합하는지는 차치하기로 한다. 고고학 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해서 작성한 대가야 영역이라 해서 대가야 전문박물관을 표방하는 고령 대가야박물관에서 내건 지도다. 이것이 시간이 누층한 결과인지, 다시 말해 시기를 달리하는 대가야 흔적인지, 아니면 특정 시기 대가야 흔적인지는 내가 모르겠다. 나아가 저들 지역에 대가야 영향이 농후한 고고학적 성과가 있음은 분명하지만 그것이 정치역학의 관점에서 직접 지배 흔적을 말하는지, 혹은 문화의 영향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나에게 중요한 것은 저 강역의 사실성 여부와는 별도로 대가야라는 왕조가 한때 이 한반도에 존재했고, 그 존속기간은 물경 500년에 달하지만, 그들의 활동상을 전하는 기록이 전무에 가깝다는 섬뜩함이다. 대가야는 《삼국사기》 《삼.. 2019. 6. 21. 까불다 BTS ARMY 폭격 맞은 호주방송사 호주방송사, BTS 조롱·비하에 뭇매…"불쾌했다면 사과" 한 호주방송사가 토크쇼인지 뭔지에서 방탄소년단을 소재로 올려놓고 비아냥대다가 폭격을 맞았다. 관련 보도에 의하면, 이들이 입에 올린 말들은 인종차별성 모욕까지 포함한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있다. 나는 방탄소년단을 둘러싼 그 팬클럽 ARMY의 반응을 본 적은 없다. 그것은 무엇보다 BTS가 저런 식의 비아냥에 노출된 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일이 언젠가는 터질 줄은 알았으되, 정작으로 내가 궁금한 것은 BTS를 보호하고자 하는 팬클럽의 대응이었다. 그 대응 수준이 어느 정도일 줄은, 그런 일이 없었으니 가늠이 힘들었다. 한데, BTS가 그에 노출되고, 이른바 씹히자, 아미 회원들이 들고 일어났다. 그 공격이 어느 정도였는지는 알 수가 없지만, .. 2019. 6. 21. 이 땅의 도굴꾼들에게 告함 (1) 고달사지 부도의 경우 *** 2006.01.20 01:04:55 지금은 역사속으로 사라진 내 과거 블로그 포스팅이다. 경기 여주군 북대면에 고달사지高達寺址라는 옛 절터가 있다. 신라 경덕왕 23년(764)에 창건된 고찰로 고려시대에는 왕들이 특별히 보호하는 사찰로 번성했던 곳이나 언제 폐기되었는지는 명확치 않다. 현재 이곳에는 국보 4호인 고려시대 부도浮屠를 필두로 원종대사혜진탑비 귀부 및 이수(보물 6호), 원종대사혜진탑(보물 7호) 및 석불좌(보물 8호) 등의 국가지정 문화재가 있으며, 이때문에 절터 전체가 사적 제382호로 보호받는 중이다. 2002년 7월 21일, 문화재청은 요상한 소식을 각 언론사 문화재 담당기자들 앞으로 전했다. 이르되 이곳 고려시대 부도가 도굴꾼들에 의해 상륜부相輪部 일부가 훼손됐다는 요지였다. .. 2019. 6. 20. 조계종은 왜 이 시점에 문화재관람료를 들고 나왔을까? "보상" vs "폐지"…수십년 논란 빚은 사찰 문화재관람료(종합)송고시간 | 2019-06-20 14:42국립공원 내 사찰 23곳 포함 67곳서 징수…해결책 없이 헛바퀴만 어제 저녁이다. 우리 종교 담당이 내일자 엠바고를 달아 느닷없이 사찰 문화재관람료 관련 기사를 올리는 것이었다. 살피니 오늘 오전 10시에 기자회견을 열어 이와 관련한 조계종 입장을 발표한다는 것이었다. 이 소식을 접하면서 나는 뜨악했다. 왜 이 시점에서 조계종이 문화재관람료 문제를 들고나왔을까? 왜 뜨악이라 하는가?문화재관람료 문제가 어제오늘의 논란이 아니기는 하지만, 이 시점에 그것을 들고나와야 할 시급성은 전연 없다고 나는 보았기 때문이다. 저런 휘발성 높은 논란에 그에 관련되는 종단이 무슨 입장을 기자회견이라는 정식 자리를 마련.. 2019. 6. 20. 찢어지게 가난한 사람은 혁명을 못한다 Taeshik KimJune 20, 2015 at 11:31 PM · 찢어지게 가난하고 찢어지게 학벌 없는 사람들은 혁명을 못한다. 찢어지게 가난한 사람들을 위하는 척하고 찢어지게 학벌 없는 사람들의 수호자인양 가장해서 그들을 농노처럼 부리는 자들이 바로 혁명가다. 이런 혁명가들이 집권하고 나서 하나같이 철권통치 절대의 폭압군주가 되는 이유는 이 노예 근성을 알기 때문이다. 2019. 6. 20. 산림파괴가 도굴의 지름길 이 사진이 아마도 1938년 4월, 후지다 료사쿠藤田亮策가 부여 능산리陵産里 동고분군東古墳群을 발굴조사할 무렵에 촬영한 이 일대 유리건판일 것이다. 무엇이 도굴을 유발했는가? 그 해답의 일단을 본다. 산림파괴가 핵심이다. 산림파괴는 산을 사막으로 만든다. 그에 따라 지표가 깎인 데서 무덤이 그대로 드러난다. 그런 점에서 1971년까지도 무령왕릉이 발견되지 않은 것은 기적이라 불러야 한다. 이런 상황이 지금의 북한 개성이다. 북한은 산림 황폐화 수준이라 산에서는 고려시대 무덤들이 저딴 식으로 노출됐으니, 도굴이 아니될 수가 없다. 박정희시대 산림녹화 사업 여파로 온 반도가 밀림으로 변한 지금.... 얼마나 도굴이 힘들어졌는지 한번 생각해 봐라. 여름철이면 무덤은 흔적도 찾기 힘들다. 이 사진 역시 당시 능.. 2019. 6. 20. 도시문화사의 혁명 버스중앙차로제 당연시는 곧 습관이요 습관은 곧 일상이라. 인터넷 모바일 없던 시대 삐삐가 있었고 그 삐삐가 없던 시대엔 워키토키가 있었으며 전화가 없던 시대가 인류사에선 절대의 기간이었다. 버스중앙차로제 지금은 욕만 쳐먹는 이명박이 서울시장 재임시절 이룩한 위대한 성과다. 이 버스중앙차로제는 도시문화사 혁명이었다. 지금은 당연히 받아들이지만 말이다. 2019. 6. 20. Chestnuts in Full Blossum at Jeongan, Gongju Two years ago, I drove to the south and passed it. Famous for its chestnut forests, this place presents a blossoming chestnut blossom at this time every year. Stunned by the splendor of the flowers, I stopped my car to stare at it for a long time. 공주 정안이 옛날부터 밤나무로 유명한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2019. 6. 20. 오래된 할아버지 수첩 속 이야기-박물관 설립 여송은 온양민속박물관 연구원 할아버지~~~~ 할아버지~~~~ !! 어 오냐오냐, 다 구경했어요? 아니요 아직~! 할아버지, 그런데 이 할아버지는 누구에요? 설립자 구정龜亭 김원대金原大 (1921-2000) 응~~ 이 박물관을 만드신 분이란다. 구정 김원대 회장님이셔. 할아버지가 젊었을 때, 이 분이랑 박물관에서 같이 일했었지요. 박물관을 지었다구요?? 우와! 그럼 엄청엄청 돈이 많으셨겠네요?? 허허허, 그렇지 돈이 많았으니깐 이렇게 크고 좋은 박물관을 지을 수 있었겠지? 우리 강아지는 만약에 돈이 많으면 이런 박물관을 지으려나? 음~~아니요! 저는 '닌텐도 뉴 3DS XL' 백 개 살래요! 하하하, 뭔지 모르겠지만 우리 강아지 그게 갖고싶구나? 그치~~ 할아버지도 아마 사고 싶은 것, 하고 싶은 것에 돈.. 2019. 6. 20. 제도로서의 문화재는 1915년 부여 능산리고분군에서 도쿄제국대학 조교수 구로이타 가쓰미가 시작했다 능산리 고분을 이야기할 때, 1915년 7월, 구로이타 카쓰미黑板勝美(1874~1946) 조사 자료는 거의 인용되지 않았다. 그의 조사성과는 이듬해 도쿄제국대학東京帝國大學에 제출한 복명서復命書에 보인다. 이 복명서는 1974년 그의 탄생 100주년 기념사업 일환으로 비로소 공개되었다. 이 복명서 존재를 국내 연구자는 대체로 안다. 한데 이 복명서를 언급하면서 구로이타 자신이 작성한 각종 실측도면은 거의 인용되지 않는 점이 기이할 뿐이다. 이번에 졸저를 내면서 그의 실측도면은 내가 모조리 실었다. 이 실측도면 중 이 능산리 고분군에 이르는 백제시대 참도參道가 있다는 언급이 보이는데, 그의 판단이 얼마나 정확한지는 몰라도 불행 중 다행으로 그가 그린 참도 부분은 파괴되지 않았으니 그 확인을 위한 트렌치 조사.. 2019. 6. 20. 한주의 꺾기도 수요집회 지금 맡은 일이 실은 한주한주가 고역이다. 회사에 쿡 쳐박혀 있어야 하는 일이 여간 고역이 아닌 까닭이다. 틈나는 대로 운동은 한다지만 나오는 배를 따라잡을 수가 없는 지경이다. 그만큼 편집국 부장은 육체적으로도 고역이다. 현장이랍시며 맨날 싸돌아다니던 사람한테는 그 고통이 배가한다. 그런 한주마다 딱 그 어중간인 매주 수요일이면 수송동 공장이 시끌시끌하다. 지금은 재건축을 위해 옆 건물로 잠시 이사간 주한일본대사관이 지척이라 어김없이 이날이면 수요집회가 열리는 까닭이다. 그 확성기 웅성임은 나한테는 한주가 고비를 넘는다는 복음이다. 수요집회를 고비로 비로소 주말이 저짝 너머로 빼곡히 정수리를 보이기 시작한다. 이 수요집회를 보면서 아! 이번주도 저무는구나 하는 시침을 나는 본다. 오늘 낮에 수요집회가 .. 2019. 6. 19. 김중업이라 해서, 안국빌딩이라 해서 우리 공장 코앞 안국동오거리는 요새 시끄럽다. 저 길쭉이 바로 뒤편 옛 풍문여고 자리는 서울시립공예박물관으로 탈바꿈한다 해서 굉음이 울리고 저 홀쭉이 빼빼로 안국빌딩은 그에 맞춤함인지 리모델링인지 뭘 한다 야단법석인 모냥이다. 얼마전 그와 관련한 소식을 어느 언론보도 통해 접한 적 있거니와 그땐 무심히 지나쳤더랬다. 무슨 의도인지, 글쎄 그간 김수근만 너무 팔아먹은 여파에 대한 반성 혹은 반동인지 모르나 김중업이 각중에 부상한다. 안국빌딩이 그의 설계라 해서 저리한 모양인듯, 김중업과 김수근은 한국 건축 양대 기둥이라 하지만 글쎄 나로선 도대체 저들 두 사람 무엇으로써 이것이 김중업 건축이요 김수근 건축이랄 수 있는지 도통을 모르겠다. 내가 심미안이 없어 그런지 모르나 도대체가 특질이 없다. 김중업은 무.. 2019. 6. 19. Bukchon Hanok Village, Central Seoul 北村韓屋村 북촌 한옥마을 2019. 6. 19. 이전 1 ··· 775 776 777 778 779 780 781 ··· 92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