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156

카르타고 깔아 뭉갠 로마의 흔적(2) by 박영우 택시비를 우리 카카오택시 같은 어플인 볼트로 예상해 보니 미화 10달러가 넘는다. 호텔서 좀 걸었지만 0.25달러 주고 기차 타고 갔다. 도착한 역 이름도 그 유명한 한니발. 안토니우스 목욕탕. 로마 유적이다. 카르타고를 패배시킨 로마가 만들었다. 자세한 설명은 어제처럼 댓글에 링크 건다. https://m.youtube.com/watch?fbclid=IwAR0OxCoXly0HRo03Q6Ys2z8Lx9k5fcdOQ7qdrwEyhB_743hMzv_ZTJPrf68&v=tF1yIO0OfT8&feature=youtu.be 튀니지 여행 중인 영우 팍 사진과 글이다. 2023. 8. 22.
카르타고에 남은 로마의 원형경기장(1) by 박영우 일찍 호텔을 나서 200여km 떨어진 엘젬에 갔다. 이번에 튀니지로 나를 이끌었던 대부분이 이 콜로세움에 있었다. 이 나라 사람들이 주로 타는 미니버스 터미널에 가서 표를 끊고 2시간여를 달리면 엘젬이다. 도시 입구에서도 저 원형경기장이 훤히 보였다. 날씨는 더웠지만 관중석 그늘에 한참 앉아 있었다. 이 경기장에 대한 설명 하나, https://m.youtube.com/watch?fbclid=IwAR38CHQlUKYVTF4ckJneUGecR9vzEKURoTBYzClMyXkj6UeiEHPWXOtNfoM&v=fW4SP0ukd2w&feature=youtu.be 그리고 에티오피아 암울한 시절 밤이면 숙소에 누워 튀니지를 눈여겨 보게 했던, 2016년 렌트카로 여행한 한상기 기자님의 영상 하나(오늘 느꼈는데 도로.. 2023. 8. 22.
아무도 기록하지 않은 곤충학자 신유항 선생의 뒤늦은 타계 소식 2023년 5월 8일, 양평곤충박물관 명예관장 신유항 선생이 타계했다. 향년 94세. 곤충학 개척자이자 저 박물관 탄생의 원훈대신이라는 행적을 보아 그의 업적을 되새기는 부고 기사가 있어야 함에도 그 어디에서도 그 소식이 발견되지 않아 그제 이강웅 양평군청 문화유산팀장한테 지난 5월 돌아가셌다는 말을 접하고 그 정확한 사망일자는 곤충 덕후인 아들놈 대동하고 오늘 이 박물관 들린 김에 그 창구에 물어 확인하고 탑재한다. 이 박물관엔 그의 기본 정보를 정리한 코너가 있으니 다만 경황이 없어서인지 타계를 적지 아니했다. 앞과 같은 간단한 약력이 있다. 이 코너가 선생을 위한 헌사 섹션이며 그의 수집자료 기증서약서와 서약식 사진이 있으며 그가 저술 혹은 번역한 책과 채집도구 그리고 일부 표본이 전시 중이거니와 .. 2023. 8. 20.
관람객을 붙잡는 1481년 한양 채색작화 서울역사박물관 상설전시실 코너는 조선시대로 시작한다. 고려시대 남경 코너가 없는 점이 몹시도 아쉽지만 조선 건국 과정에서 간단히 언급하고 지나간다. 그 이전 시대, 그러니깐 통일신라 삼국시대와 그 이전은 같은 서울시 공립박물관인 올림픽공원 안 한성백제박물관 몫이라 혹 이런 대목이 궁금하다면 그쪽으로 가야 한다. 그 조선실 코너 맨앞에서 관람객을 맞이하는 이 채색판화는 관람객 반응이 재미있어 이쪽에 머물며 그 반응을 지켜 보는 일도 쏠쏠한 재미를 주는데 간단히 말해 다들 탄성을 지른다. 따라서 서울역사박물관 최고 걸작 전시품은 바로 이거다 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생각해 보면 강렬한 색채로, 어쩌면 청록산수 기법을 원용해서 조선전기 한양을 판화 방식으로, 그것도 제법 큰 규모로 구상화하려 했으며 그것.. 2023. 8. 20.
계획도시 한양 Hanyang as Planned City 계획도시 한양 한양은 10만 명의 주민이 거주할 수 있도록 건설된 계획도시였습니다. 왕실과 전혀 연고가 없는 수도였던 한양은 처음부터 모든 기반 시설을 계획하여 만들어야 했습니다. 이때 고려한 것이 유교적 전통과 풍수지리였습니다. 유교적 전통에서 도읍을 건설할 때 중시된 것은 왕이 거주하는 궁궐, 종묘·사직과 같은 제사 시설, 관청 그리고 백성들이 상품을 거래하는 시장입니다. 유교 경전인 『주례周禮』 「고공기考工記」에는 ‘좌조우사左祖右社 면조후시面朝後市’라는 중국 고대의 도읍 건설 원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한양의 도시공간은 『주례』의 원칙과 함께 고려시대에 유행했던 풍수지리 사상이 함께 적용되어 건설되었습니다. 경복궁은 국도풍수國都風水에서 한양 명당의 지맥이 흐르는 백악산 아래에 건설되었고, 종묘와 사.. 2023. 8. 19.
천주교 양근성지 양근楊根이란 지명은 고구려 시대에 근거를 둔 지명입니다. 양근이란 버드나무 뿌리를 의미합니다. 양평 시내에는 양근이란 지명과 관련된 양근대교와 10여 개 양근리가 있습니다. 현재 양평이란 지명은 1908년 9월 양근군과 지평군이 합병하는 과정에서 불여진 것입니다. 양근성지는 신유박해 이전 천주교 도입기에 천진암 강학회를 주도한 녹암 권철신 암브로시오와 한국 천주교 창립 주역인 권일신 F. 하비에르 순교자가 태어난 곳입니다. 권철신 암브로시오와 권일신 F. 하비에르 순교자의 유택지는 양평군립 도서관과 양평읍사무소가 있는 갈산 주변입니다. 양근성지는 우리나라 최초의 신자인 이승훈 베드로가 1784년 북경에서 그랑몽 신부님에게 세례를 받은 후 고국으로 돌아와 서울 수표교 근처의 이벽의 집에서 이벽 세례자 요한.. 2023. 8.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