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154

Three storied Stone Stupa at Shinwol-dong, Yeongcheon 경북 영천 신월동 삼층석탑이다. 꽂이 지는 이맘쯤 언제인가 이곳을 찾았더랬다. 떨어진 꽃잎 우려 낸 물에 잠겼으니 탑 수중산화 공양이라 해야 할까? 2019. 4. 22.
복사꽃에 넋을 잃고 시궁창 사꾸라 전송하며 비듬 같이 털어낸 꽃잎 흩날리다 시궁창 빠진 봄을 수원화성에서 전송 장송한다. 이제사 망발한 팔달산 기슭 복사꽃은 며칠이나 버티리오? 돌단풍 응달에서 지랄같은 소복차림 늦었다 한탄하며 이제사 만발한 계곡 사쿠라 아래 살피니 청춘 남녀 밀집모자 걸치고는 번또 깐다. 황조가 한번 불러주곤 웃으며 저들을 전송한다. 그래 좀 부럽긴 하더라. 커플룩 밀집모자 부럽기 짝이 없고 그 해맑음과 청춘 역시 침샘이 시샘마냥 솟는다. 쓰리 데케이드 거슬러 오른 그해 봄엔 나 역시 그러한 때가 있었노라 자위한다. 산발한 버드나무 백댄서 삼은 봄이 물컹물컹 질컹질컹 솜이불 베어나는 비눗물 같다. 노니는 두 마리 오리한테 말을 건넸더니 너흰 부부인가 친구인가 이성인가 동성인가 청춘인가 노년인가 하는 말이 None of your .. 2019. 4. 21.
The Huanbei Shang city-site(洹北商城, 원북상성) The Palace Compound of the Huanbei City-site of the Shang Dynasty, Anyang City, Henan, China Taken on Oct. 30th, 2008. The Huanbei Shang city-site 洹北商城 (원북상성) dating back to the Middle Shang period, was discovered in 1999. It is the largest walled Shang city in current archaeological map. The Huanbei site is located north of the Huan River 洹河 in the northern suburb of modern city Anyang 安阳, Hena.. 2019. 4. 20.
Colored Bodhisattva, an angel descended from heaven Standing Statue of Colored-sculptured Clay Bodhisattva the Northern Song dynasty (北宋) Excavated from the White Elephant Pagoda, Wenzhou, Zhejiang Province, China Housed at the Zhejiang Museum Painted clay statue of a standing BodhisattvaNorthern Song dynasty (960–1127)Height overall 64 cmUnearthed at the White Elephant Pagoda in Wenzhou in 1965One of the museum’s Top Ten Treasures 중국 절강성 온주 백상탑 .. 2019. 4. 18.
Maitreya, Daejosa temple, Buyeo Statue of Standing Maitreya, Daejosa temple, Buyeo,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Goryeo Dynasty Period (918~1392 AD) But the bodhisattva might originally be Avalokitesvara Bodhisattva. 충남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扶餘 大鳥寺 石造彌勒菩薩立像 애초에는 관음보살이었을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고려시대 유물로 본다. 2019. 4. 18.
미다시와 사진, 노트르담을 둘러싼 2차 전투 오늘 아침 일간지 1면 메인 사진은 정해졌다.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일 수 밖에 없다. 첫째 사건이 참사다. 둘채 소재가 화재다. 셋째 피해자가 유명하다. 신문도 장사라 이 경우 관건은 미다시를 어케 뽑고 메인사진은 무얼 쓰느냐에 있을 뿐이다. 화재는 불길이 치솟아 오르는 장면이어야 그것이 주는 효과가 임프레시브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그 무수한 불길 중에서도 어떤 장면을 포착했느냐가 문제로 대두한다. 예상대로 서구 성당을 상징하는 첨탑이 쓰러지는 장면을 썼다. 좀 난삽한 느낌이 없지 않으니, PDF판으로 하나씩 보자. 예서 또 하나 관건은 미다시다. 소위 제목이다. 신문도 장사라, 미다시는 강렬해야 한다. "856년 노르르담이 울고 있다""프랑스의 영혼이 불탔다""인류문화의 첨탑이 무너졌다""스러진 8.. 2019. 4.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