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75

[독설고고학] 천편일률하는 선사시대 전시코너 물론 국립박물관이라 해서 예외가 아니다. 종합박물관을 획책하는 국립박물관 숙명이라 할 만해서 그 상설전시실 전반부는 똑같은 꼴이 벌어진다. 다시 말해 곧바로 구석기로 쳐들어가서 구석기를 거쳐 신석기를 지나 청동기시대 그리고 역사시대로 들어서는 이 설정 천편일률한다. 물론 지역별 vairation은 있기 마련이라, 그거라 해 봐야 해당 지역에 어떤 구석기 신석기 유적이 발견되고 어떤 유물이 나왔는지 그걸 안내판 혹은 실물 유물로 디립다 보여주는데 실상 박물관이 대중과 유리하는 제1 원흉이 바로 이것이다. 나는 그것이 구석기신석기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박물관을 질려한다 생각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국사교과서랑 하등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내가 학교에서 배운 그 내용이랑 단 한 치도 차이 없는 꼬라지.. 2024. 8. 31.
박물관 미술관 쪽수만 넘쳐나는 경기도의 이상한 독립기념관 추진 방침 김동연, 이종찬 만나 "경기도립 독립기념관 건립 추진하겠다"(종합) 송고시간 2024-08-29 18:01 "무장투쟁 외 예술·언론·교육 독립운동 선양"…천안과 차별화할 듯 다른 데서 간단히 썼지만 이 소식을 접하고선 나는 몹시도 씁쓸하기 짝이 없다. 경기도 산하 박물관 미술관들이 처한 처참성이 오버랩하기 때문이었다. 지사님이 저리 저 문제에 나서 새로운 독립기념관을 세우실 때인가? 그 막대한 재원은 어디에서 어케 마련하며, 나아가 그에서 필연으로 동반하는 기존 경기도 산하 박물관 미술관들은 가뜩이나 좁아진 허리띠 더 졸라매다 이젠 질식사하고 말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도가 설립한 경기문화재단을 통해 경기도박물관 경기도미술관 백남준아트센터 실학박물관 전곡선사박물관 경기도어린이박물관 경기북부어린이박.. 2024. 8. 31.
문화원 재단으로 나가 떨어진 천덕구러기 박물관 실상 이건 지자체가 설립 주체인 공립박물관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국립박물관에서도 노골로 나타나기 시작한 운영행태라 나아가 이 설립 주체 문제에서 대학박물관은 근간이 다 실은 학원 재단 소속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사립박물관 중에서도 일부 재단 운영 주체인 데가 있어 같은 재단 소속이라 해서 일률로 논할 수는 없다. 간판은 국립이라 하고, 실제 그 설립 주체는 국가지만, 별도 재단 설립을 통해 그 운영을 하는 데는 따로 점검이 필요할 것이므로 이 문제는 차후 논의 주제로 넘기기로 하고 저것이 문제로 특히 심각히 대두하는 데가 지자체가 설립 주체인 공립박물관들이다. 저들이 공립이라고 분류할 수 있는 근거는 첫째 설립 주체가 지자체이고, 둘째 그 운영이라는 측면에서 경상경비와 사업경비 대부분이 지자체 재원.. 2024. 8. 31.
콩나물 시루를 의심한다 이 콩나물 시루 말이다. 저런 양태가 언제 나타나는가?콩을 저런 식으로 실내 인공 증식해 먹는 취사 방식은 언제 나타나는가?문화권별 분포 양태는 어떠한가?콩이 한반도에 등장한 것은 언제인가?저 콩나물은 내가 아무리 봐도 비닐하우스 재배 그 혁명인데 도대체 언제 나타는가?혹 신석기시대에 나타난 것은 아닌가?그것이 불러온 음식 혁명 인류사 혁명은 무엇인가?그 양태를 고고학에서 드러낼 수 있는가?이를 위해서는 시루가 언제쯤 한반도 문화권에 보이기 시작하는지, 그 양태는 어떠한지 깡그리 재조사해야 하지 않겠는가?듣자니 청동기시대에 실물이 처음으로 보인 것으로 아는데 세상 어떤 고고학 유물이 나는 처음이다고 해서 등장하는가?그것 하한선을 말할 뿐이다.  *** related article *** 시루는 잡곡 소립.. 2024. 8. 31.
[독설고고학] 야생 채집해서 얻는 건 찬거리에 지나지 않는다 요새는 거의 보는 일이 없지마는 한때 혹닉하고 시청한 프로그램이 MBN 나는 자연인이다는 생존체엄기다. 이 프로그램을 두고 이런저런 말이 많지마는 고고학 인류학 민속학 등지 종사자는 반드시 봐야 한다고 나는 믿는다. 그에서 감발하는 바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주로 산촌 어촌 절해고도 같은 데로 은거하며 이른바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이야기라, 그 이야기들을 보면 우리가 아는 상식이라 할 만한 것들을 까부시기도 하는데 개중 대표가 사냥 채집이다. 이 사냥채집을 고고학에서는 선사시대 인류가 살아가는 방식의 대표로 거론하는 양대 산맥이라 저 프로그램을 보면 그것이 얼마나 개소리인 줄 실감하게 되거니와 사냥은 따로 나중에 논하기로 하고, 또 앞서 말한 야생 채집과 관련해서도 얼마나 개소리인지 매우 싱겁게 .. 2024. 8. 31.
[독설고고학] 남발하는 야생 채집, 그 황당함에 대하여 촬영 by 신소희  특히 선사시대 농경을 설명할 때 고고학은 야생채집이라는 말을 남발한다. 물론 그 의미를 모르는 바 아니어니와, 본격 농경이 시작하기 전에 야생 채집하며 인류가 생활했다 하는데 이처럼 웃기는 말 없다. 야생 채집 한 번도 안 해 본 놈들이 꼭 저딴 소리 남발한다. 무슨 야생채집을 해?그건 간식거리지 그걸로 무슨 주식을 마련한단 말인가?야생채집? 저 꼴 한 번 봐라.  야생채집과 새떼 문제는 이만큼 밀접하며 이만큼 중요하다. 저 모습 한 번 보고서 야생채집이 가당키나 한 소리인지 점검하기 바란다. 야생채집은 원천에서 성립하지 않는다.야생채집? 고사리 꺾는 일이라면 몰라도 잡곡을 저리 얻는다 함은 불가능하다.  *** related articles ***  [독설고고학] 실패했다는 항복선언.. 2024. 8.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