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8962

임둔 봉니의 역설 아마도 90년대 후반일 것이다.중국 고고학자들이 지금의 요서지방에서 임둔 봉니를 발굴했다.이를 복기대가 백산학보에 공개했다.내 보기엔 이 봉니 발굴은 여러 모로 의미가 있다.한데 이 봉니에 대해 국내 주류 강단 사학계는 콧방귀도 안꼈다.그러면서 이리 말했다.봉니는 받은 쪽에서 출토되므로 그것이 발견된 지점이 임둔의 위치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이거 어디서 많이 듣던 말이다.바로 위당 정인보가 낙랑 평양설을 입증하는 주된 근거 중 하나로 제시된 평양 출토 봉니를 반박하면서 한 말이다. 위당은 바로 저와 같은 논리로 봉니가 평양 낙랑설을 말해주는 것이 아니라 외려 그 반대 증거로 내세웠던 것이다.위당이 저런 논리로 낙랑 재평양설을 반박할 때는 말도 안 된다 펄펄 뛰던 놈들이 막상 요서에서 임둔 봉니가 나오니,.. 2025. 3. 5.
종국으로 치닫는 반달모양돌칼 반달모양돌칼은 종착점 도달 직전이다.그 전에 우리는 잠시 중국으로 외도했다가 외치 집에도 잠시 들를 것이다.아..신라도 갈 것이다.다시 말하지만 고고학도 백 놈이 다 그리 말한다 해도 내가 납득하지 못하면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내가 미쳤다고 남들 따라지를 한단 말인가?세상 모든 혁명은 엉뚱에서 비롯한다.엉뚱 발랄해야 한다.나는 그 엉뚱 발랄을 가고자 한다. 이 여행이 끝나는 지점엔 모든 의문이 봄눈 녹듯 사라질 것이다. 2025. 3. 5.
2002년 타전한 '임둔臨屯' 봉니 출토 소식 중국 요서에서 '임둔(臨屯)' 봉니 출토한사군(漢四郡) 위치 재검토 필요(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기원전 108년 한漢나라가 위만조선을 무너뜨리고 그곳에 설치했다는 낙랑.임둔.현도.진번의 이른바 한사군漢四郡 가운데 '臨屯(임둔)'이라는 글자가 적힌 봉니封泥 유물이 중국 요서 지역에서 출토됐다. 이는 한사군이 설치됐던 장소, 즉 위만조선의 통치강역이 평양을 중심으로 한한반도 북부 및 만주 요동지역 일부이며 이 중에서도 임둔군은 한반도 북부에 자리잡았다는 학계 통설을 전면 재검토하게 하고 있다. 중국 지린대吉林大에서 중국 요서지역 청동기시대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복기대 단국대박물관 연구원은 최근 발간된 학술지 백산학보 61집에 기고한 논문 '임둔태수장臨屯太守章 봉니를 통해 본 한사군의 위치'에서 문.. 2025. 3. 5.
미라가 된 오스트리아 대공, 결국 세계대전 총구를 당기다 이 장면을 아래와 같이 소개한다. Archduke Franz Ferdinand of Austria posing as a mummy in Cairo, Egypt, 1894. 이 장면을 어찌 봐야 하는가?나는 미라가 대중문화에 파고드는 한 과정, 그 드라미틱한 순간으로 간주한다. 미라에 대한 관심은 오래되었지만, 19세기 이래 새로운 흐름으로 부상하니 그것이 바로 대중소비문화와 결합을 급속도로 강화한다는 것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미라 혹은 그에 버금하는 존재를 소재로 삼은 대중문화물이 넘쳐난다.특히 영화가 이 분야를 주도하는데, 끊임없이 미라를 소환한 이 흐름이 앞으로는 또 어떤 방향으로 튈지 모르겠다.그 대중문화가 소환한 미라는 1. 공포 2. 애틋 이 두 가지로 대별하거니와 고대 이집트를 소환하는 미라.. 2025. 3. 5.
개관 20주년을 신고하는 허준박물관 아무리 꼬딱지 만한 행사라도 내 친구 김충배 손에 들어가면 언제나 올림픽이나 월드컵으로 둔갑하니 참말로 요란스럽다.늘 이야기하지마는 광역자치체도 아닌 기초지차체 운영 공립박물관 사정이야 뻔하지 않겠는가?그런 데서도 저리 뭔가를 하나 만들고자 버둥치는 모습을 열정 아닌 무슨 말로 설명하겠는가?왜 그리 요란스레 사느냐 하면 언제나 춘배 대답은 같아서 간단히 추리면 그것이 국록을 먹는 자의 도리라 한다.그래 맞다.공공성 공익성을 빼면 그게 공직자 혹은 준공직자이겠는가?저런 일 하라 월급 받는 건데 저런 일 되도록 잘 포장해서 내놓아야지 않겠는가?허준박물관이 개관 20주년을 기념해 仁이라는 추상명사를 해체한 특별전을 준비한다.저에 초점하되 전시는 구상화해야 하니 저 키워드로 전통시대 의학 종사자들을 조명하자는 .. 2025. 3. 5.
[마왕퇴와 그 이웃-32] 만병통치약 마왕퇴에 대해 쓴 책들을 보면 당시 중국 대중은 조용한가 싶다가도 어느날 갑자기 몰려들어 쑥밭을 만들어 놓고 떠나가는 존재로 나온다. 이 당시가 문화혁명 절정기였던 탓이 가장 크겠다.  마왕퇴 무덤은 가장 안 쪽에 목곽이 놓이고 그 밖에 숯을 채우고다시 그 바깥쪽을 고령토로 다져 밀봉한 다음 위에 흙을 다져 쌓아 올려 만들었다. 이 무덤을 발굴했을 때 목곽 주변에 쌓아 둔 막대한 양의 숯이 나왔는데, 너무 많은 양이 나와 이 숯은 박물관 창고에도 넣지 못하고 마당에 자리를 깔고 그 위에 쌓아 두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 숯을 슬금슬금 사람들이 광주리를 들고와 퍼가는 것이 아닌가!왜 그런지 이유를 들어보니 마왕퇴 무덤에서 나온 이 숯이 사람들 병을 낫게 해준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는 것이다. 이 숯을 가지고.. 2025. 3. 5.
[마왕퇴와 그 이웃-31] 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 마왕퇴는 복잡한 역사적 사실이다. 한 가지 측면에서 바라보면 전체를 제대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측면이 뒤얽혀 있다. 여산 진면목은 산 밖에서나 볼 수 있는 것인지 모른다. 마왕퇴를 발굴하던 그 시점 자체에 대해서는 문화혁명을 빼 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  당시의 상황을 보면 이 사건은 처음부터 정치적인 성격으로 비화할 확률이 높았다. 그냥 문화유적과 유물은 그렇게만 봐 주면 될 것을 이에 정치적인 색깔을 덧씌워 이 무덤은 반동영주계급의 소산이요, 마왕퇴 미라는 호의호식한 여편네 정도로 폄하되어 원래 같으면 홍위병 습격으로 몽땅 태워질 판이었다. 하지만 그 와중에도 마왕퇴 발굴이 그렇게 막장으로 가지 않고 결국 세계를 놀라게 한 성과를 내며 종지부를 찍은 것은어쨌건 그 미친 세상의 와중에도 제대로.. 2025. 3. 5.
세상 이야기가 훨씬 중요했던 미라 스토리 필자가 조선시대 미라 연구에 대해 작업한지 20년 동안 이에 대한 과학적 조사결과는 지금까지 충분히 학계에 보고했다고 생각한다.이러한 의과학적 부분에 대한 이야기는 필자의 입장에서 사실 더 이상 할 이야기가 없다. 지금까지 출판된 논문들, 그리고 근간 출판되어 나올 단행본이면 모두 커버되리라 생각한다. 다만 미라에 대한 작업을 해오면서 항상 절감했던 것은 미라는 썩어 없어지지 않고 남아 있는 옛 사람의 시신이라는 관점에서만 우리 의학자들은 바라보는데그러한 관점은 사실 미라에 얽힌 많은 스토리 중 극히 일부분만을 설명해 줄 뿐이라는 생각을 했다. 사실 미라에 관해서는 이 고고학적 발견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피장자 개인사, 그리고 그가 살아 생전 활동했던 사회, 지역, 그리고 당시의 세계에 대한 이해가.. 2025. 3. 5.
바람, 땅을 바꾸고 사람을 바꾼 힘 2022년 오늘, 그러니깐 3월 5일 강원도 동해와 경북 울진 산불 때 연기 방향을 인공위성이 포착한 것이다.이걸 보면 이때 바람이 정확히 북서풍이 불었음을 안다.적어도 이 바람으로는 불길이 북쪽으로 가는 일은 없다.하지만 바람은 언제건 바뀐다.  바람은 어디로 부느냐가 이만큼 중요해서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 때도 저와 똑같은 양상이 벌어졌다. 그때도 북서풍이 불어 그 남동쪽에 위치한 폼페이가 작살났다. 그 반대편은? 멀쩡했다. 바람은 저 거센 쇄석류도 날려버린다.역사문화를 논할 적에 바람이 대표하는 기후기상 조건도 매우 육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단순히 계절풍을 고려해 해로 정도만 따지는 것이 아니라 전반으로, 실로 광범위하게 고려해야 한다. 바람은 땅을 바꾸고 사람을 바꾼다. 아래 벤투스카이를.. 2025. 3. 5.
구멍 하나를 뚫은 중국 신석기 돌칼 우리는 반달모양돌칼이라 하지만, 근간에서 같다 할 수밖에 없는 같은 신석기시대 돌칼이 중국에서도 보인다. 왼쪽은 우리처럼 구멍을 두 개 뿅 뚫었으나 오른 편처럼 구멍 하나를 뿅 뚫은 것도 있다. 모양도 약간은 달라서 우리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것과는 달리 이쪽은 역시 중국 식칼 같다. 역시 날은 요즘 낫처럼 한 쪽 면만 비스듬히 깎았다. 근간이 무엇을 베기 위한 것이라는 데는 이론이 있을 수 없다. 물론 곡물을 벨 수도 있다. 칼이란 무엇을 자르기 위한 용도이니 필요에 따라 이것저것 다 쓴다. 아무리 돌이라 해도 손바닥으로 문지르는 쪽은 맨질맨질해야 한다. 저 중국 칼도 물론 사진이라는 한계는 있지만 안 보인다. 문제는 그 사용 방법. 저기에 끈을 찡가서 그걸 엄지손가락에 찡가서 썼다 한.. 2025. 3. 5.
나무 손잡이 찡가서 쓴 유럽 신석기 돌칼 A well-preserved Neolithic knife, the blade was made of flint and fastened with birch tar in a handle made of wood. From the pile dwelling settlement at Wangen-Hinterhorn, Lake Constance, dating 3800-3500 BC.  잘 보존된 신석기 시대 돌칼이다. 돌은 플린트flint이며 나무 손잡이를 찡갔다.지 찡감을 공고히 하고자 자작나무 타르로 본드칠을 했다.기원전 3800-3500년 무렵 콘스탄스 호수 왕엔-힌터혼 기둥박은 집터에서 출토됐다. 한데 저 나무 찡굼 손잡이 한 쪽 끝에 구멍이 뚫려있다.저 구멍은 도대체 무엇을 위한 용도인가? 대체 뭔가?저 의.. 2025. 3. 5.
자작나무 타르로 손잡이 본드칠한 신석기 돌칼 기원전 2900년 내지 2800년 전, 그러니깐 지금으로부터 대략 5천년 전 후기 신석시시대 돌칼인데 나무 자루가 달렸다. 양쪽 면을 합성한 것이다. 독일 남서부 콘스탄츠 호수 Lake Constance 근처 알렌스바흐Allensbach에서 발견되었다.분석 결과 돌은 이탈리아 북부 몬테 발도Monte Baldo에서 채취했다.엘더우드elderwood라는 딱총나무 속으로 만든 손잡이에는 자작나무 타르birch tar로 돌날을 본드처럼 붙였다. 유럽 쪽 석기를 보면 저처럼 자작나무 타르를 붙인 유물이 더러 보인다. 저 유물이 현재 어디 있는지는 모르겠다. 2025. 3. 5.
대 몽골전 꺾기도 사망하신 남송 부부 미라 《探索·发现》 20230114 茶园山南宋古墓之谜(上)https://tv.cctv.com/2023/01/14/VIDEz3orXS4BUJSIzzspQ4V0230114.shtml 《探索·发现》 20230114 茶园山南宋古墓之谜(上)本期节目主要内容:1986年8月1日,福州火车站附近茶园山工地施工现场,一座古墓横空出世,一男一女两具保存完好的古尸就藏匿在这座小小的山包里面。考古表明这是一座南宋时代的墓葬。七tv.cctv.com    1986년 8월, 복건성 복주福州 다원산 초등학교茶园山小学에서 운동장을 건설하던 중 700여 년 전 남송南宋 시대 부부를 함께 묻은 무덤 하나가 우연히 발견된다. 부부는 하나의 봉분 아래 각각 관을 달리해서 안치됐는데 나중에 밝혀졌지만 남자 쪽 관이 유난히 무거웠다.이를 조사하던 사람들이 살짝 치켜든.. 2025. 3. 4.
수레는 있는데 말은 없는 이상한 초나라 거마갱 중국 호북성에서 또 다시 전국 시대 초나라 중기 무렵 귀족 거마갱车马坑이 발견됐다 하거니와, 대체 이 친구들은 언제까지 이런 걸로 장사해 먹는가? 파도파도 끝이 없다. 일단 땅은 넓고 봐야 한다. 암튼 이르기를 최근 호북성 당양当阳이라는 데 있는 안파 묘지晏坡墓地라는 데를 호북성문물고고연구원湖北省文物考古研究院에서 발굴한 듯 이에서 초나라 거마갱이 드러났다 하거니와이 거마갱은 말은 동쪽, 수레는 서쪽에 배열하는 방식이며 3대 수레와 2개마리 말을 매장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다.저 첨부 사진이 뚜렷이 보이듯이 수레는 3대인데, 말은 꼴랑 두 마리만 보인다. 말 두 마리가 석 대 수레를 끌었다는 말인가? 보통은 수레당 말 몇 마리를 놓아야 하는데, 아까워서 두 마리만 희생했을까? 아니면 무덤 만드는 과정에서 부.. 2025. 3. 4.
산서성 태원 한나라 벽돌묘에서 이상한 납 당로当卢 이런 중국 고고학계 발굴 소식이 있는데 저 당로当卢가 대체 무엇인지 언뜻 와 닿지 않는다.암튼 근자 태원시 문물고고연구원이 2022년 7월부터 11월까지 산시성 제2인민병원 신축 건물 부지에 포함된 태원시 소점구小店区 정촌 묘지郑村墓地를 발굴한 결과 왕망시대 혹은 동한 시대 초기에 만든 것으로 보이는 M2를 포함한 유적들을 팠다 하거니와 이곳은 주산舟山 능선 앞 충적대지로 각 시기 무덤 23기를 확인했으니 M2는 개중 유일한 전실묘砖室墓 벽돌무덤으로 드러났다. 이 무덤은 경사 묘도斜坡墓道를 갖췄으며 남북 장축이라 먼저 흙을 파내서 구덩이를 만든 다음 벽돌로 묘도 말고도 묘문, 전실[앞방] 그리고 후실[뒷방 안방]로 구성된다. 시신은 당연히 안방에 안치했다. 껴묻거리는 15점이며 개중에는 도기 10점이 .. 2025. 3. 4.
[마왕퇴와 그 이웃-30] 남방 초나라의 자연 환경 앞서 서한시대 군현의 인구밀도에 대한 지도를 위와 같이 포스팅 한 바 있거니와 이 지도에서 눈에 띄는 바는 역시 전국시대 초나라가 위치한 남방의 인구밀도가 극히 희박하다는 것이다. 도대체 당시 남방의 상황은 어떠했던 것일까? 이 정황을 짐작케 해주는 역사 기록이 있다. 당시 양자강 유역은 거대한 사파리 셀렝게티 공원이나 다름 없었다. 양자강 중류에는 운중대택이라는 곳이 있었는데, 여기는 당시 남방 귀족들이 자주 사냥을 나갔던 모양으로 그 모습이 춘추전국시대 기록에 많이 남아 있다. 《墨子·公輸》: 「楚나라에는 雲夢大澤이 있으니 犀, 兕, 麋, 鹿이 가득하다」《戰國策·楚策一》: 「楚王이 雲夢大澤에서 사냥을 하였는데 말 네 필을 묶은 수레 千乘에 깃발은 하늘을 덮었고 들불이 일어나 구름무지개 같은데 兕와 .. 2025. 3. 4.
[마왕퇴와 그 이웃-29] 장사長沙 한묘漢墓의 특이한 점 최근 포스팅하는 김 단장님 글을 보니 이전에 게시한 아래 글은 조금 숙고가 필요해졌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필자의 생각을 정리할겸 약간 고쳐 다시 포스팅한다 [필자 주]. ***마왕퇴 미라가 나온 무덤은 한대의 무덤으로 이른바 "목곽묘"다. 우리나라도 낙랑 고분과 관련하여 한대 목곽묘에 대해서는 전공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연구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 이 과정에서 대동강 유역 목곽묘는 중원과는 그 양상에 있어 차이가 있다던가, 전축묘 대신 소위 귀틀무덤이라는 목곽이 더 오랫동안 최정상급 지배층 묘제로 사용되었다던가, 하는 소위 대동강 목곽묘의 "베리에이션"도 많이 지적된 것으로 들었다. 마왕퇴 한묘도 베리에이션의 측면에서 볼 부분이 있지 않을까 싶다. 이 마왕퇴 한묘도 넓게 봐서야 한대 목곽묘에 당.. 2025. 3. 4.
[무령왕릉] 냉침대를 좋아한 왕과 왕비 어제 새삼 김규동 관장한테 전화로 물어봤다."그렇담 말이오 익산 쌍릉에서도 웬간한 모습으로 관짝이 나왔는데 거긴 바닥 있습디까?내 기억이 확실치 않습니다.""있다마다요. 무령왕릉은 왕도 그렇고 왕비도 모조리 바닥이 없어요."더는 물을 필요도 없다.금송으로 만든 관짝 남은 양태 보면 아주이주 잘 남아서 바닥만 쏙 다 썩어 문드러졌을 가능성 제로다. 그 남은 관짝 상태가 얼마나 좋은가 하면 조유전 선생 증언이 유감없이 증명한다."처음 문을 열고 들어가서 관재를 밟았더니 끄떡 없었다."그랬다.무령왕과 그 왕비는 관짝에 바닥이 없었다.맨땅에 두 분 다 등때기를 대셨다.두 분이 냉침대를 좋아하셨나 보다. *** previous article ***  무령왕릉 발견 50주년의 폭탄 선언 "관짝에 바닥이 없다!"ht.. 2025. 3. 4.
저리 잘라서는 다음해 농사를 못 짓는다! 흔히 반달모양돌칼 반월형석도 쓰임새로 제시하는 이 그림 그만 하려 했더니 도저히 열받쳐서 안 되겠다. 저딴 식으로 나락을 뜯으면 이듬해 나락 농사를 못 짓는다. 나락 농사를 지으려면 거름도 해야 하고, 그러려면 갈아엎어야 하는데 그래 저 시절에는 그런 농경법이 없다 치자.나락을 저리 수확한다?그럼 다음해 농사 어찌 짓는단 말인가?불을 싸질러?그리 불싸질러서 붙을 거 같은가?천만에 붙다가 만다. 다시금 말하지만 저와 같은 반월형석도 쓰임새 재구성은 어림반푼어치도 없다. 2025. 3. 4.
고고학도들한테 반달형돌칼을 당부한다! 향후 집터 같은 데서 반달모양돌칼 나오는 장면 목도하는 고고학도들은 그 콧등에 무엇인가를 찡군 흔적 예컨대 나무를 찡군 흔적이 없는지 잘 봐 주었으면 한다. 그냥 돌칼 나왔다고 냉큼 사진 촬영하고 수습해서 씻을 생각 말고 그 주변 흙도 잘 봐주길 부탁한다. 내가 이 얘기를 왜 자꾸 하는지 아는가?첫째 유럽 선사고고학을 보니 저와 비슷한 석기류를 나무에 찡가서 사용했고(물론 거기서는 자작나무 기름으로 본드칠을 했더라만) 둘째, 무엇보다 동시대 한반도 선사 저짝 고고학에서 다른 기물 중에 아주 극히 일부이기는 하나 나무를 찡군 흔적이 보이기 때문이다. 그건 그렇고 저 사용법 다 좋은 데 날 방향 바꿔라!어디 낫질 한 번 안 해 본 놈들이 날 방향을 저리 해서 사용한단 말인가?이건 내가 왜 잘 아는지 아는가?.. 2025. 3. 4.
반달모양돌칼을 다시 묻는다! 현재 알려진 반월형석도, 반달모양돌칼 사용법이 어림반푼어치도 없다는 내 주장(혹은 반론이라 해두자)에 아니나 다를까 내 또 다른 친구 한용이랑 내 동생 광츠리리가 "그냥 영디기를 믿어라""근거 없지는 않다"는 식으로 반론을 가하거니와 내가 왜 그런 생각을 못했겠는가?국박 선사실에 전시 중인 저 돌칼들 봐라   진짜로 앞과 같이 사용했다면 저 콧등이 닳아 있어야 한다. 한데 단 하나도 그런 마모된 흔적이 없다!그러고 저런 사용법이 맞다고 믿는 사람들은 저걸 제대로 사용해 보지 않은 사람들이다. 저거 만들어 두어 번 나락 베어 보고 그래 잘 드는구나 하고 만 사람들이다. 저걸로 생업을 한다 하고 계속 사용해 봐라 손 껍띠 다 까진다.  저 구멍은 말할 것도 없이 끄나풀을 찡군 흔적이지만 저리 찡가서 저리 사.. 2025. 3.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