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56

[박물관 현안] (2) 국립과 공립은 출발 자체가 다르다 국립이 국립을 억압하고, 국립이 공립을 탄압하며, 공립이 공립을 말살하는 시스템은 혁파해야 (1) 1. 국립을 억압하는 국립 에 이어지는 두 번째 이야기다. 곧 국립박물관이 공립박물관을 억압 말살하는 구조를 이야기할 차례다. 이 문제는 그만큼 심각해서 일단 세 번 정도로 논제를 나누어 접근하고자 하는데, 이야기 전개에 따라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위선 이 문제를 먼저 짚고자 한다.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약칭 박물관미술관법 혹은 박미법)이 범주화하는 네 개 박물관 유형 중에서도 국가가 직접 세우고 운영하는(물론 이것도 변형이 일어나 국가가 직접 세웠으면서도 민간에 위탁하는 이상한 구조가 보편화한다. 이 문제도 추후 점검한다.) 국립박물관과 지방자치단체가 세우고 운영하는(이것도 앞과 마찬가지 .. 2024. 3. 5.
발굴 두 달 뒤에 나온 무령왕릉 조사 중간보고(71년 9월) 출전 : 박물관신문 제15호 (1971년 09월) 무녕왕릉 조사 중간보고 (종합 조사단 작성) 고고 및 기초조사반 보고 1, 출토 유물의 분류와 목록작성 발굴과정(發掘過程)에 있어서 출토상태에 따라 구분하여 채집한 유물의 수량은 막대하였다. 이것을 품목별로 카아드를 작성하고 정리하여 분류한 결과 그 수량은 별표 목록과 같이 88종으로서 총 2천5백61점에 달하였다. 부장품(副葬品)의 대다수는 장신구류(裝身具類)에 속하며 52종 2천4백96점을 차지하고 있다. 이 장신구류는 또한 대부분이 금·은의 귀금속으로 만들어졌으며 그 중에서 금제품은 30종 2천2백21점의 다수를 차지한다. 은과 함께 금을 부분적으로 사용한 유물의 수도 포함시키면 그 수와 종류는 훨씬 증가된다. 이 왕릉의 부장품을 제작하기 위하여 소.. 2024. 3. 5.
[독설고고학] 의료사태로 반추하는 한국고고학 작금 대한민국은 의대 증원 문제로 난리버거지다. 직전에는 과학계 전반이 문제였다. 올해 정부예산에서 R&D 지원을 줄였다 해서 또 한 바탕 난리버거지였다. 저와 같은 사태를 볼 때마다, 이른바 문과생 출신인 나는 부러워죽겠다. 물론 가끔씩 문과생도 저와 같은 일이 있기는 했다. 주로 역사학 쪽에서 개사기 행각을 벌였으니, 이웃나라들에서 이른바 역사왜곡만 터졌다 하면, 그 책임이 우리네 역사교육에 있다 해서, 개사기를 치면서 이르기를 이런 사태는 우리가 역사교육을 제대로 안 해서라는 개사기기 횡행하곤 했다. 그런 일이 아주 드물게 있지마는, 급이 다르다. 무엇이 부러운가? 와! 저짝은 그 내실 혹은 내막이야 무엇이건 확실히 그것이 없으면 안 된다는 확고한 인식이 사회 전반에 팽배하다. 그런 까닭에 정부도 .. 2024. 3. 5.
백년전 박영철이 한시로 읊은 소사운하蘇士運河 수에즈운하 '전천후 친일파' 다산多山 박영철朴榮喆(1879-1939)은 그 화려한(?) 이력만큼이나 한학 지식인으로서의 자기 정체성도 제법 강했다. 그래서인지 그가 겪은 일을 즐겨 한시로 읊었다. 그는 생전에 제법 규모있는 시집을 엮기도 하였다. 라 이름붙인 그 시집을 뒤적이다가 재밌는 부분을 찾았다. 아마 유럽 여행을 갔던 모양인데, 러시아를 거쳐 독일, 영국, 프랑스, 스위스, 이태리, 거기에 이집트 지나 인도와 홍콩으로 이어지는 여정이었나 보다. 가는 곳마다 한두 수씩 한시를 지었는데 제목부터 흥미롭다. , , , ...그중 , 곧 수에즈운하라 이름붙인 시를 풀어보니 다음과 같다. 수에즈 운하 뚫지 않았던들 하늘끝 희망봉 돌아야 했으리 지중해 물 홍해로 이어지니 예절부 공은 수 양제와 같네 蘇士運河若不通 迂回.. 2024. 3. 5.
[당시] 대비백두옹代悲白頭翁: 유희이劉希夷 洛陽城東桃李花 飛來飛去落誰家? 洛陽女兒好顏色 坐見落花長嘆息。 今年花落顏色改 明年花開復誰在? 已見松柏摧為薪 更聞桑田變成海。 古人無復洛城東 今人還對落花風。 年年歲歲花相似 歲歲年年人不同。 寄言全盛紅顏子 應憐半死白頭翁。 此翁白頭真可憐 伊昔紅顏美少年。 公子王孫芳樹下 清歌妙舞落花前。 光祿池台文錦繡 將軍樓閣畫神仙。 一朝卧病無相識 三春行樂在誰邊? 宛轉蛾眉能幾時 須臾鶴髮亂如絲。 但看古來歌舞地 惟有黃昏鳥雀悲。 이 시는 年年歲歲花相似 歲歲年年人不同 이 구절 때문에 유명해진 시인데, 시 전체를 읽어보면 알겠지만 비단 저 구절만 절창이 아니다. 늙어갈 수록 시인의 눈에는 봄이 더 눈부시다. 2024. 3. 4.
[독설고고학] 고고학은 인기가 없다! 고고학이 냉혹하게 인정해야 하는 대목이 바로 이것이다. 바로 이에서 괴리가 일어난다. 일반대중도 고고학에 열광할 것이라는 믿음, 하지만 이는 개소리라, 아무도 고고학을 찾지 않는다. 왜? 절실하지 않기 때문이다. 고고학을 몰라도 내가 살아가는 데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고고학주의자들을 만나 이야기 나눠보면, 스스로 열광한다. 그러면서 이르기를 한 번 빠지면 헤어날 줄 모르리라 확신한다. 하지만 개소리다. 고고학? 인기 없다. 어느 정도 없는가? 눈꼽 만큼도 없다. 아무도 고고학을 찾지 않는다. 고고학이 인기 있을 것이라는 믿음, 그에 열광할 것이라는 생각은 언어도단이며, 현실에 대한 치지도외다. 고고학이 인기가 없음을 인식하는 것과 하지 못하는 것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반딧불과 .. 2024. 3. 4.
서태후, AI가 되살린 권력의 화신 본방인지 재방인지는 모르겠으나 마침 어느 tv 프로그램에서 서태후西太后를 소재로 다루는지라 그의 사진 혹은 그림이라 해서 돌아다니는 것들을 ai로 증폭해 봤다. 2024. 3. 4.
보음부이寶音夫而 폼페이를 읊은 박영철의 한시 박영철(朴榮喆, 1879-1939) 十萬人居都會地, 십만 명 살았던 도회지에 噴灰埋沒二千年. 화산재 뿜어 2천년 동안 잠겼네. 掘來物物多精巧, 발굴하니 문물 모두 정교한데 古代文明始可傳. 고대 문명 비로소 전해졌다네. ≪구주음초歐洲吟草≫(1928) *** 중문학도 조성환 선생이 소개한 것인데 전재한다. 저 폼페이는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손기정이 올림픽을 끝내고 귀환하면서 쓴 기행문도 있다. 이로 보아 이미 식민지시대에 가 볼 만한 데로 꼽혔음을 본다. 2024. 3. 4.
현대의 장례 부의품목이 왜 중요한가? 경북 경산 하양읍 부호1리 하양허씨 집안에서 경산시립박물관에 기증한 광복 이후 현대기 부의기賦儀記다. 장례에 즈음해 누가 어떤 물품 혹은 돈을 냈는지를 기록한 문서다. 이 문서가 왜 중요한가? 이 패턴이 실상 역사를 통괄하는 까닭이다. 마왕퇴 한묘漢墓 출토 이른바 목패木牌라 하는 것이 바로 저와 같은 부의품 물목이며 익산 미륵사 석탑 출토 공양품에도 이 부의품목이 보인다. 금덩이리 같은 데를 보면 누가 시주한 것인지가 드러난다. 내가 매양 무덤고고학 불교공양고고학을 논할 때 저 부의품을 주시하라 그리 목청을 높이는 까닭이 있다. 부곽? 그거 부의품목이라고 그리 강조한다. 고고학이 과거를 대상으로 삼는다? 고고학은 현대학이요 당대학이며 미래학이다. 과거의 진실을 찾아? 오만이다. 현대의 탐구요 미래의 탐구.. 2024. 3. 4.
의학이, 생명과학이 인문학과 합일할 수 있을까 그런 부분이 가능 하다면 필자에게 남은 15년 남짓의 정신적 생산활동을 이런 쪽에 기울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2024. 3. 4.
조선침략에 집안을 날려 먹은 히데요시 히데요시가 말년에 조선을 쳐들어가지 않았다면 일본사 향배는 알 수 없다. 히데요시가 조선을 침략할 때 이에야스를 끼우지 않은 것은 히데요시의 이에야스 정벌 때 이에야스에게 치명적 일격을 당했기 때문이다. 그 일격이 참으로 매서운 것으로 히데요시는 어찌어찌하여 이 전쟁을 승리로 마무리 하기는 했는데 그 이후 죽을 때까지 이에야스 눈치를 봤다. 그 자신 관백으로 올라가 있을 때도 이에야스를 포섭하기 위해 심지어는 자신의 어머니까지 인질을 보내고 친동생을 이혼시켜 이에야스의 정실 부인으로 보낼 정도였고, 조선침략 때도 결국 히데요시는 이에야스를 믿지 못해 이에야스 없이 조선정벌을 감행했다. 히데요시로서는, 조선정벌을 성공했거나, 그게 아니면 조선을 쳐들어가지 않거나 둘 중의 하나만 했더라도 아마 집안은 계속 .. 2024. 3. 3.
서울을 보는 또 하나의 프레임 한 가지를 간과했다. 몇 주에 걸쳐 올린 내 글에는 뭔가 모호한 점이 있었다는 것을. 나는 ‘서울 사람이 누구일까’라고 화두를 던지며, 서울 사람이 누구인지를 생각해 봐야 서울의 특수성을 잘 볼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썼다. 그러나 글을 올리고 난 이후, K 단장님께 받은 카톡과 글에 달린 댓글들을 보면서 깨달았다. 내가 명확하게 나누지 못한 부분이 있다고 말이다. 그것은 ‘사람들이 서울 사람으로 생각하는 기준’과 ‘실제 서울에 살고 있으나 심리적으로 소속감을 느끼는지 여부’를 구분하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서울 사람을 생각해 봐야 한다고 했지만, 이 둘을 어떻게 보아야할지도 고민하지 않았다. 서울을 바라보는 방법 전에도 쓴 내용이지만, 서울을 보려면 서울을 구성하는 요소 중, 사람을 봐야 한다는 생각에는.. 2024. 3. 3.
원응국사(圓應國師)가 다녀간 용인 향수사(香水寺) 2008년~2009년 사이 삼성에버랜드 유원지 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에버랜드 부지 내 사업을 위해 전대리, 유운리 일대에 대한 조사였는데, 구제발굴조사이기도 했다. 시행처가 대기업이라서 그랬는지 조사 보고서가 2011년 간행되었지만, 조사 내용이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 조사된 유적 중 관심있는 곳은 바로 ‘향수사지香水寺址’다. 위치를 보면, 처인구 포곡읍 유운리 431번지 일원으로, 삼성화재 모빌리티뮤지엄(자동차박물관) 남쪽에 해당하는데, 지금은 에버랜드 스피드웨이 도로가 조성되었다. 향수산 줄기가 남동쪽으로 흘러내린 시루봉 말단 능선 사이에 형성된 좁은 곡부 상단부에 위치한다. 조망권은 남동쪽으로 열렸으며, 전면에는 경안천으로 유입되는 유운천이 바로 인접하여 흐른다. 발굴조사 결과.. 2024. 3. 3.
국뽕의 적장자 고려거란전쟁 이 이야기는 누차 이야기했다. 드라마 제작진이 말하고자 하는 바와 시청자가 원하는 바는 종국으로 갈수록 극명하게 갈라진다. 자꾸만 파열음이 빚어지는 듯한 느낌을 주는 까닭은 이때문이다. 억지라는 느낌을 주는 까닭도 이 때문이다. 드라마 제작진은 영명한 군주, 황제폐하 만세,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 애국심 간단히 말해 나치즘 파시즘을 열렬히 찬양하며 발수갈채를 유도하려 한다. 현종은 총통이며 두체다. 히틀러요 무솔리니다. 그런 점에서 이 드라마는 국제시장 명랑 인천상륙작계보를 잇는 국뽕의 적통이며 그 반대를 표방하나 실상 더 폭력적인 내셔널리즘의 위대한 성전 1987과 1980과는 적대적으로 야합한다. 하지만 대중은 이미 저에는 신물이 났다. 지난 백년을 울거먹은 진부한 애국심은 관심 없다. 억지로 쥐어짜.. 2024. 3. 3.
불행한 코로나 세대의 대학생을 보며 내 아들놈은 대학 입학하자마자 코로나가 터져 계속 온라인 수업만 받고선 1학년을 마치고선 군대를 갔다. 그러니 같은 과 동급생이 누군지도 모른다. 군 생활인들 제대로 했겠는가? 휴가 나온댔다 확진자 발생했다 해서 혹은 다시 확진 폭증 추세라 해서 취소 연기를 밥먹듯이 했으니 말이다. 더구나 이 나라가 오죽 더 극성이었는가 말이다. 내 아들이기 전에 이 땅을 사는 젊은이로서 참말로 안쓰런 세대라 할 만하다. 그런 놈이 계우 군필하고서는 다시 1년을 쉬고는 이번 학기 2학년 1학기로 복학하고선 내일 그 역사적인 첫 대면 강의를 접하는 모양이다. 어느 지방 국립대에 계우 적을 걸어놓기는 하고 마침 그 캠퍼스가 김천 집이랑 가까운 데라 기숙사 생활을 해야기에 바리바리한 짐을 싣고선 어제 일단 김천에 들러 하루를.. 2024. 3. 3.
고대 베트남의 기와와 벽돌 앙코르와트 시대의 베트남 건축자재들이다. 이 지역이 앙코르 제국에 편입되지 않은 걸로 아는데 상호 영향 관계는 밀접하다고 안다. 다행히 국내에도 이 시대 동남아 와전을 전공하는 친구가 있다. 하노이 베트남국립역사박물관 소장품이다. 2016년 소개작들을 이곳으로 이첩한다. 2024. 3. 3.
경칩驚蟄 : 2024년 3월 5일 모레가 경칩이다. 驚(경) : 놀라다. 蟄(칩) : 벌레. 한국에서는 흔히 개구리라고 풀지만, 겨울에 땅 속에 웅크리고 있던 모든 벌레를 말한다. 경칩은 원래 '계칩啓蟄'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중국 한나라 때 경제景帝 이름이 계啓여서, 이를 피휘하기 위해 경驚을 쓴 것이 그대로 정착되었다고 한다. 이제와서까지 한나라 황제 이름 피휘를 지킬 필요가 있는가? 이제 다시 원래 명칭 계칩啓蟄으로 썼으면 하는 바람이다. 글씨 새기기도 啓가 驚보다 훨씬 수월하다. 일본에서는 진작부터 계칩이라고 한다고 한다. 민속백과사전에 따르면, 예로부터 계칩에는 고로쇠물을 마시고 개구리알을 먹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위생적으로나 환경적으로나 문제가 많으니, 이제는 아프면 개구리알 먹지 말고 운동하고 병원 가길 권장한다. 이상 .. 2024. 3. 3.
사람 약탈, 정복왕조가 사는 법 거란은 지금의 동아시아, 구체로는 지금의 중국 동북지역을 본거지로 삼는 유목 성향이 매우 강한 민족이다. 오랜기간 할거상태를 면치 못하던 이 諸 부족이 마침내 야율아보기라는 걸출한 지도자를 만나면서 통일왕조를 이룩하니, 통일왕조란 곧 유목생활 청산, 정주문화 돌입이라는 뜻이었다. 거란은 정복왕조 특징을 고스란히 드러내거니와, 왕조 초창기는 땅따먹기에 여념이 없어, 주변을 압도하는 군사력으로 제압하기 시작하면서 힘을 더욱 팽창한다. 문제는 이 정복은 어느 시점에는 중단해야 하며, 이때부터 비로소 내실 다지기에 들어가는데, 이 내실을 어떤 방식으로 다지느냐였다. 유목민족이라 하면 약탈을 생각하기 십상이지만, 그 약탈 대상이 무엇이냐는 그다지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그걸 중요하게 고려한다 하지만 내 보기엔.. 2024. 3. 3.
고려한테 발해는 순망치한脣亡齒寒,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야울아보기耶律阿保機에 의한 거란의 공식 건국은 916년이요, 발해는 그로부터 딱 10년 뒤인 926년에 거란에 멸망했다. 거란이 본격 정복국가로 등장하기 이전, 발해 전성시대를 흔히 아래와 같은 지도로 설명하곤 하는데 이 지도는 전반으로 보아 그 중심이야 이론의 여지가 없지마는, 서쪽 변경과 북쪽 변경은 지나치게 비대하게 그렸다. 실상이야 그렇다 치고, 저 신라가 고려로 대체된 다음이 문제인데, 왕건이 쿠데타로 궁예를 타도하고 고려를 건국한 시점은 거란 건국 딱 2년 뒤다. 절도사 시대가 서서히 막을 내려가는 징조임을 이에서도 뚜렷이 볼 수 있거니와, 고려는 거란이 건국하고, 발해가 멸망하는 918년 이래 926년까지 8년간은 거란과 직접 접촉할 일이 거의 없었다. 물론 그 사이에 사신이 오갔다는 흔적은.. 2024. 3. 3.
싸이나를 추억하며 눈이 오면 젤로 괴로운 족속이 조류다. 새들이 먹을 것을 찾기가 곤란해지는데 그래서 이런 날은 보통은 가시덤불로 찾아든다. 눈이 덜 쌓인 데고 벌레 따위 먹이가 될 만 한 데인 까닭이다. 이런 날은 그렇게 꿩을 비롯한 새가 날아들 만 한 저런 데다가 약을 놓아 새들을 유인했으니 콩이나 찔레 열매가 유인용으로 애용됐다. 콩은 송곳 같은 날카로운 도구로 속을 파낸 다음 싸이나를 집어넣는데 찔레열매야 송곳이 필요없어 그 속을 파내고선 같은 방식을 썼다. 싸이나는 독극물이라 그걸 먹은 새는 거개 그 자리서 즉사하게 된다. 내장은 파내서 버렸다. 타작하고 쌓아놓은 짚풀더미서도 대개 그리 했다. 지금은 그게 아니라도 고기가 넘치는 세상이다. 눈이 녹는다. 이틀사흘 괴롭힌 꽃샘 추위도 저리 물러나나 보다. 빛이 든다.. 2024. 3. 3.
막부로 질질 끌다 곧바로 귀주대첩으로 돌진하는 고려거란전쟁 김훈 최질 막부정권이 저 전쟁 여파에 탄생하긴 했지마는 이 드라마가 궁극으로 내세우고자 하는 귀주대첩과는 하등 원인 결과 관계에 있지 않다. 물론 이해는 가지 아니하진 않으니 이 드라마는 원작자가 하는 말도 그렇고 강감찬에 가린 감은 없지 아니하나 시종해서 실상 주인공으로 등판시킨 이는 현종 왕순이다. 고려 중흥의 발판을 마련한 위대한 군주로서의 위상정립이다. 이를 완성하고자 투톱을 내세웠으니 그 한 축이 실은 강감찬이다. 하지만 그 의도가 틀어지고 걍감찬 주축으로 흐른 까닭은 배우 역량에서 비롯한다. 역량에서 현종은 최수종이 덮어쓴 강감찬에 잽이 되지 아니한다. 현종 역을 맡은 친구가 어찌 최수종을 상대하겠는가? 드라마 전개가 막판에 이상하게 느껴지는 까닭은 바로 이 때문이다. 현종 중심으로 보면 막부.. 2024. 3.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