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001

월남, 중동, 독일 그리고 청일전쟁 식민지시대를 거치고 한국전쟁으로 그나마 남은 재산 다 말아 먹은 말 그대로 국제거지 신세였던 한국이 겪은 가장 큰 문제는 근대화를 시작하려해도 종자돈이 없다는 것이었다. 당연한 일이다. 당장 먹고 살것도 없어 밀가루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무슨 돈이 있겠는가. 한국과 일본의 근대화과정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 바로 이 부분이다. 일본이 근대화를 시작한 메이지유신 이후의 19세기 후반은 일본이 서구를 따라잡기에 힘이 부치기는 했지만 불가능한 정도는 아니었다. 일본은 한푼이라도 정부에서 아껴 필요한 부분을 하고, 별의 별 짓을 다 했지만 그래도 만년 적자에 가장 중요한 산업혁명은 19세기 후반까지도 시작 못하고 있었다. 돈이 있어야 시작할 것 아닌가? 이 고민을 일거에 해결한 것이 바로 청일전쟁이었다... 2023. 10. 22.
[DiscoverKorea] Frosted fantasy paradise On the morning of the 22nd, when the cold continues throughout the country, people are taking pictures of fantastic scenery created by frost at the so-called Secret Garden in Gapdun-ri, Nam-myeon, Inje-gun, Gangwon-do, South Korea. Photos by Yang Ji-woong [Yang Ji-woong, who took thess pictures, is a photo reporter at Yonhap News Agency's Gangwon News Headquarters] 2023. 10. 22.
[백수일기] (13) 자리를 채워 주는 역할 백수는 피곤하다. 언제나 피곤하다. 오란 데도 많고 내가 가야 할 데도 많다. 퇴직에 따른 컨벤션 효과도 있다. 글타고 돈 나오는 자리만 골라 갈 순 없잖은가? 이래저래 현역 때 신세진 사람이 오죽 많은가? 하나씩 갚아나가야 하며 어쩌면 와달랄 때 가는 것도 그 보답일 수는 있다. 내가 있어 빛나는 자리? 그런 자린 없다. 내가 있어 쪽수 하나 차고 그로써 자리가 옹골차게 보인다면 그걸로 내 할 일 다했다. 누군가는 자리 하나라도 채워주는 일이 고마울 때 그런 자리는 마다해선 안 된다. 내가 없어도 꽉 찬 자리, 그런 자리는 나는 되도록 피한다. 2023. 10. 22.
국립항공박물관 특별전 <중동행 비행기에 오른 사람들> 진짜 이 전시는 우리 부모님 세대, 또는 나보다 이른 선배 세대들이 와서 봐야 한다. 그리고 잘됐다 잘못했다 따질 수 있는 분들도 그 분들 밖에 없다.(잘잘못을 따지자는 얘기가 아니다.) 사우디 주베일항, 리비아 대수로공사. 모두 어릴 적 국민학교 사회 교과서 마지막 단원 내용이었다. 내가 국민학교 다닐 때 (수원에서) 한 반에 한두 명은 '미국 할머니'가 있었고 중동에 간 아버지를 둔 친구는 십수 명이었다.(현대 또는 동아건설) 이후로도 삼사십여 년을 어찌어찌 지나다 보니 중동 진출은 한국현대사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고 지금도 자원 확보 이외에도 국가 안보상 간과할 수 없는 지역으로 여겨지고 있다. 70년대 만해도 주요 취항 도시이던 테헤란이 (호메이니 혁명 이후) 80년대 들어 빠르게 취항 배제 도시로.. 2023. 10. 22.
도굴에 분개한 이마니시 류 금서룡 일제의 역사침략 나팔수로 온갖 욕을 얻어먹는 식민사학자 이마니시 류 금서룡 今西龍(1875-1931)라는 사람이 있다. 그런 그조차도, 가히 '대난굴시대'라 할 만한 일제강점기 초기 일본인의 도굴행위에는 학을 떼고 있었다. 지금도 그렇지만 그때도 조사보고서 류의 글은 건조하게 쓰는 것이 일반적인데, 1917년 그가 구미 선산 일대 고분을 조사하고 올린 보고서는 온갖 감정이 섞여서 나타난다. 그 중 한 꼭지를 보면...(옛날 일본어라 때려맞춰가며 읽어본 것이라 분명 잘못된 부분이 있을 것이다. 대략 이런 뜻이겠거니 하고 봐주시기 바라며, 제대로 된 번역을 기대한다) "이런 고분군 중에 대부분은 묘광이 이런 상태로 노출되어있는데, 봉토가 사라져 묘광이 노출되었음에도 사람들은 유물을 건드리거나 들어가지 않는 .. 2023. 10. 22.
위창과 우현, 두 거장의 만남 1. 한국미술사를 공부한다면서 위창 오세창(1864-1953)과 우현 고유섭(1905-1944) 두 분께 빚을 지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적어도 두 분의 글 제목을 연구사의 첫머리에 얹지 않기는 힘들 것이다. 위창은 전통적 서화골동 감식의 마지막 세대였고, 우현은 미술사라는 새로운 학문을 익힌 첫 세대였다. 하지만 이들은 역대 한국의 미술이 지나온 궤적과 미술가들의 삶을 당시의 그 누구보다도 열심히, 섬세하게 살피고 정리해냈다. 2. 이들은 40년 넘는 나이 차가 나지만, 같은 시대를 살았다. 그런 만큼 두 분이 만나고 교분을 나눌 수도 있지 않았을까? 과연 둘이 만났다면 어떤 얘기를 했을까? 둘은 서로를 어떻게 생각했을까? 상상은 꼬리를 잇지만 상상은 상상일 뿐이었다. 그런데 상상을 현실로 만들 근거가.. 2023. 10. 22.
뉴욕주 코닝 유리 박물관 (2) 앞에서 이야기 했듯이 코닝 박물관은, 유리예술, 유리의 역사, 유리의 과학 세 부분으로 나눠 전시한다. 유리 예술 부분에 이어 다음은 유리의 역사 부분을 다룬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유리의 발전사에 대해 아주 상세히 다루고 있다. 고고학도라면 한번 가 볼만 하다. 두 번째 코너인 유리의 역사는 한번 볼 만하다. 코닝사가 세계적 유리회사로 자부심이 강한 곳이라 유리의 역사 관련해서 모을 수 잇는 자료는 다 모아놨다. 복제품 같지는 않았고 대부분 진품 같기는 했다. 우리나라 유리는 없다. 신라 고분에서 나온 유리도 필자 기억으로는 전시된 것을 못 본 것 같다. 2023. 10. 22.
[백수일기] (12) 동성동본 서리 白씨 계열은 백수 되고서 친근함이 더하다. 동성동본인 까닭이다. 문중 행사 있으니 동참하라 춘배를 불러냈다. 예 재종숙 어른 있으니 인사나 드리라고 말이다. 배추도 본래는 白추였지만 고려 인종 시절 백차가 김녕군에 봉해짐으로써 훗날 음이 와전되어 본이 갈라졌다. 언젠가 일렀듯이 난 서리만한 위대한 예술가 본 적 없다. 피카소? 워홀? 그들이 어찌 이 서리에 비기겠는가? 도리깨 타작 앞둔 들깨도 수북히 백설탕 뒤집어 썼다. 무시는 백설 뿌린 푸른 도너츠다. 2023. 10. 22.
[백수일기] (11) 쇼생크 탈출 백수도 탄생 경로가 여러 가지라 개중 하나가 쇼생크 탈출형 나한테 직장은 감옥이었다. 그 감옥을 탈출했다. 한데 찍고 보니 벌 서는 모습이다. 다시 강조하는데 난 볼런태리 백수다. 다시 시도했음 2023. 10. 22.
[백수일기] (10) 전방서 먼저 만난 서리 저짝 전곡선사박물관 앞짝 만데이로 빛이 스며든다. 한탄 리버엔 물안개가 핀다. 자칫하단 얼어죽겠다. 전곡역으로 12월 지하철인지 뭔지가 개통한다는데 그것이 지나는 다리라는데 길다랗게 늘어졌다. 전방은 겨울도 빨라 무서리라 하기엔 모자란 듯 하나 서리꽃 잔뜩이라 백수는 겨울도 빠르더라. 이내 각중에 해가 드니 선사가 느닷없이 현대로 둔갑한다. 2023. 10. 22.
대가야박물관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기념 특별전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에 즈음해 등재 대상 중 한 곳인 지산동 고분군이 있는 고령군 부설 대가야박물관이 기획특별전 을 준비한다고. 개막식은 2023. 10. 26. 목 오후3시라는데 자세한 전시 소식은 추후 입수하는 대로 추보하기로 한다. 2023. 10. 22.
뉴욕주 코닝 유리박물관 (1) 뉴욕주 코닝 박물관을 연전 방문할 기회가 있어 관련 사진을 소개한다. 코닝박물관은 유리 전문 박물관이다. 여기가 가기가 조금 까다롭다. 뉴욕시에 있는 것이 아니고 뉴욕주 한복판에 있어 찾아가기는 쉽지 않다. 뉴욕시에서 두어 시간 차로 가야 도착할수 있는 거리이다. 위치는 아래에 있다. 코닝 유리박물관 · 1 Museum Way, Corning, NY 14830 미국★★★★★ · 박물관www.google.com 코닝 유리 박물관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첫째는 유리 예술 두번째는 유리의 역사 세번째는 유리의 과학이다. 첫번째 순서로 유리예술 부분을 공개한다. 부연설명 생략하고 사진으로만 달린다. 참고로 여기 전시된 작품들은 전부 유리다. 2023. 10. 21.
망하기도 전에 폐허가 된 경복궁 1909년 5월 11일, 에 "북궐배람기北闕拜覽記"라는 가사 한 편이 실린다. 누군가가 당시 경복궁을 한 바퀴 휘 돌고 나와 그 감회를 적은 모양인데, 그이가 보기에 대한제국은 아직 남아있었건만 궁궐의 모습은 실로 처량맞았다. ▲草堂春日遲遲한대 不勝困惱 누엇더니 뎌 陽春이 나를 불너 烟景處로 차자갈새 信步轉往하난 길에 北闕內의다라르니 四面殿閣櫛比中에 緣陰景色可觀이나 眼前物色感觸하야 騷人思懷難堪일셰 ▲光化문을 졉어드니 百官出入하던 곳에 辟졔聲은 寂寞하고 內外巡査徃來時에 軍刀소래 뿐이로다 御溝中에 뎌 楊柳난 空自靑靑 새로웟고 芳艸離離 너른 마당 玩覽者가 縱橫하니 感舊之懷 졀노 난다 ▲勤政殿을 드러가니 左右兩列品階石은 草田中에 뭇져 잇고 日月屏下龍塌上에 無人掃除塵埃로다 無心할셔 뎌 연쟉은 飛來飛去喃喃이오 外國.. 2023. 10. 21.
청주서 퍼 마시고 옥천서 급사한 조선 태종의 특사 1404년(태종 4) 7월 20일, 왕명으로 경상도에 출장 나간 김단이라는 분이 돌아오는 길에 갑자기 죽었다. 이는 에 나올 정도로 큰 사건이었다. 경상도 경차관慶尙道敬差官 김단金端이 옥주(沃州, 옥천)에 이르러 갑자기 죽으니, 임금이 듣고 불쌍이 여겨 내수(內竪, 환관)를 보내어 그 집에 조문弔問하고, 쌀과 콩 30석을 하사하였다. 김단의 아우 주서注書 김위민金爲民에게 명하여 역마驛馬를 타고 옥주沃州에 가서 장사지내게 하였다. 그런데 이분이 왜 죽었느냐? 그 다음 대목을 보면.... 김단이 청주淸州를 지나는데, 청주 수령이 소주燒酒를 권하여서, 김단이 과음過飮하였던 까닭이었다. 이때는 희석식 소주가 아니고 순 증류식 소주였다지만, 도대체 얼마나 들이부었길래 사람이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는 말일까? 혹 너.. 2023. 10. 21.
충주 칠금동 제철유적 충주 칠금동 제철유적은 백제가 철 생산을 위해 충주에 설치한 철 생산단지(공장). 충주는 주요한 국내 고대 철광석 산지로, 백제는 이곳에서 철을 생산해 국가발전 동력으로 삼은 것으로 드러난다. ​ ▶ 영상 바로가기 ☞ https://youtu.be/aSW1EWJ9vlk?si=BO9T7aR4tr4oKddI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칠금동유적 #제철유적 #칠금동제철유적 2023. 10. 21.
한국문화에 대한 의문 한국문화로 밥먹고 살지 않는 사람의 입장에서 써 본다면, 한국문화라는 것이 그렇게 죽자 살자 원형을 바꾸면 안될 정도로 고유한 것인지 옛날부터 상당히 의심스러웠다. 예를 들어 요즘 들어 많이들 재현하는 조선시대 의례-. 이것 태반이 조선시대 사대부들에 의해 복원된 이른바 "고례"로 한국에 원래 있었던 것들이 전혀 아니다. 친영례? 이건 한국에 없었던 것을 주자가례가 보급되면서 사대부들이 박약한 문헌 근거에 덕지덕지 살을 붙여 만든 것 아닌가? 지금 복원된 거의 모든 전통의례가 전부 다 그렇다. 사대부들의 무덤? 주자가례 복사판인데? 사대부들의 옷? 그냥 이건 건너뛰겠다. 아시는 분들 다 아시는 이야기라. 필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우리가 그렇게 죽자 살자 목숨걸고 지켜야 할만한 "고유문화"라는건 애초에 .. 2023. 10. 21.
문화재 활용? 닥치고 꽃 연천 댑싸리공원이다. 핑크뮬리제국을 붕괴한 댑싸리다. 군남댐 상류. 어차피 습지 늪지. 어찌할 것인가? 그대로 놔둬? 닥치고 꽃 심었다. 인근 삼곶리 돌무지무덤이다. 그 옛날 대략 이십년전쯤 경기문화재연구원 김성태가 발굴할 때 현장에 행차했으니 천지개벽이라. 암것도 볼것 없던 이곳이 이리 변했다. 뭘 고민한단 말인가? 닥치고 꽃이다. 비단 꼭 무덤을 활용하고자 이리 했겠는가? 시덥잖은 활용연구용역 집어던질 때다. 사람이 와야 활용을 하건 말건 아닌가? 외래식물? 그딴 웃기는 소리도 집어던져야 한다. 문화재위원? 문화재청? 웃기는 소리 집어쳐라. 저런 놈들 끼어들면 될 일도 안된다. 돌탱이들이 뭘 안단 말인가? 닥치고 꽃이다. 2023. 10. 21.
[백수일기] (9) 괴기 굽기 알바 일당 치기 알바다. 전곡선사축제 괴기 굽기 알바 일당 쳐준대서 왔다. 현금치기는 안 되고 계좌로 넣는댄다. 같은 백수지만 디멘션이 달라 난 볼런태리, 춘배는 강요적 백수다. 전곡선사축제에 맞추어 전곡선사박물관이 개최하는 고기 특별전에 맞추어 괴기를 굽어 먹는 체험학습 일환이랜다. 모자는 강요적 백수 것인데 있어 보여 빼샀다. 이 프로그램은 문화유산 마을이 낙찰받아 수행하는데 영디기 회심작이랜다. 오늘 내 고용주다. 2023. 10. 21.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강연을 할 때 진지한 이야기만 할 수 없으니 가벼운 농담을 섞어서 하게 되는데 이때 상대방이 내 이야기를 못 알아듣는 경우가 점점 많아진다. 예를 들어 영화에 대한 이야기는 요즘 강의 청중의 태반이 나와 경험을 같이 하지 않는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도 모르는 젊은이가 많지만, 생각해 보니 그 영화가 나온것이 1939년. 백년이 다 되어간다. 한 세기 전의 영화 이야기로 화제를 돌리고 있었던 것을 나만 모르고 있었던 셈이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는 것은 남부연맹만 사라진 것이 아니다. 구 세대도 그렇게 바람과 함께 사라진다. 2023. 10. 21.
우리가 제국주의 가해자는 아닌가? 그 나라가 제국주의 국가 혹은 제국주의적 국가였는가 아닌가는 그 나라 국가 박물관 컬렉션을 보면 안다. 묻는다. 한국은 제국주의 국가였는가? 말한다. 제국주의 국가였고 지금도 그런지도 모른다. 우리는 매양 제국주의의 피해만 받았노라고 한번도 의심하지 않는다. 멀리는 제국주의 일본의 피해자였다고 하고 이후엔 미 제국주의의 피해자라고 한다. 예서 북한이 빠졌거니와 이 논리에 따르면 북한은 엄연히 쏘련과 중국 제국주의의 막강한 피해자다. 이 대목 제발 빼지마라. 본론으로 돌아가 한국 제국주의는 이중성을 갖는다. 내부적으론 그것의 피해자이면서 외부적으론 우리도 당당한 제국주의 가해자다. 먼저 내부적으로 보면 한국이 일본과 미국 제국주의의 직접 피해자임은 의심할 나위가 없다. 특히 제국 일본에서 조선신민은 내지 .. 2023. 10. 21.
광동성 광주에서 출현한 남월국 수장 무덤, 하지만 유물은 빈약! 중국 광저우서 2천년前 남월국 시대 추정 대형 고분 발견 송고시간 2023-10-20 17:11 중국 남부서 해자 갖춘 고분 발견은 처음…학계 "고대 월나라 연구에 도움" https://www.yna.co.kr/view/AKR20231020134600009?section=culture/scholarship 중국 광저우서 2천년前 남월국 시대 추정 대형 고분 발견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홍제성 기자 = 중국 남부 광둥성 광저우에서 약 2천년 전 남월국(南越國)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고분이 발견됐다고 중국...www.yna.co.kr 광동성 광주广州 는 위만조선과 건국시기랑 멸망시기가 거의 겹치는 지금의 중국 남쪽과 베트남 북부를 백년간 지배한 남월국南鉞國 도읍이 있던 곳이라, 이 광주에서 남월.. 2023. 10.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