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571

150세라 일본에 뻥을 친 나홍유 고려 말에 나흥유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의 열전이 《고려사》권114에 남아 있는데, 이 사람이 기록상 최초의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온다. 그런데... . 우왕 초에, 〈나흥유가〉 판전객시사(判典客寺事)가 되어 일본과 화친하는 것을 청하는 글을 올리자 마침내 통신사(通信使)로 파견되었다. 신사년(1281) 일본에 원정한 이후 일본과 우리가 우호관계를 끊었는데 나흥유가 처음에 〈일본에〉 도착하니 〈나흥유를〉 첩자로 의심하여 가두었다. 양유(良柔)라는 자는 본래 우리나라의 승려였는데, 나흥유를 보고 풀어줄 것을 청하였다. 이때 나흥유는 나이가 겨우 60세였는데 속이며 말하기를, “내가 지금 150세요.” 라고 하니 왜인들이 모여들어 보더니 심지어 화상(畵像)을 그리고 찬(讚)을 지어 바치는 자까지 있었다. .. 2020. 10. 26.
축쇄가 문고는 아니다 책세상문고..문고의 부활을 알린 신호탄이지만 아쉬움 또한 실로 커서 특히 번역의 경우 축약이 너무나 많다. 이것이 문고는 아니다. 문고는 축쇄가 아니라 전질이며 분량에 따른 분책을 해야 한다. 지만지도 이 방식인데 아주 안좋다. (2013. 10. 25) *** 한국출판계가 한때는 문고본 전성시대였으니, 60~70년대가 특히 그러했다. 그런 문고본 시대가 저물며, 그것이 종적을 감추다시피 하다가 근자 몇몇 출판사가 문고 부활을 부르짖으며 실제 괄목할 만한 시리즈를 내기도 했으니 이는 분명 고무적 현상이다. 다만, 새로 부활한 문고본 시리즈가 종래의 문고본과는 전연 다른 길을 걷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니, 축약이 지나치게 많다는 점이 개중 하나다. 이건 종래의 문고본 시리즈 중에서도 범우문고에서 보이는 고질.. 2020. 10. 26.
상식과 통념 상식은 저항하고 통념은 부정에 노출되어야 한다. 의심하라. 난 정답, 상식, 통념 안 믿는다. 남들 다 똑같은 소리할 때 그때를 의심하라. (2014. 10. 25) 2020. 10. 26.
배불排佛, 그 상징으로서의 양梁 무제武帝 소연蕭衍 남조 梁 왕조 개창주 무제武帝 소연蕭衍은 불심이 무척이나 깊어 육식조차 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종묘제사에 필요한 고기조차 채소로 교체했다. 불교의 기본 정신이 보시에 있다고 믿은 그가 공양한 스님 백성이 한둘이 아니다. 이런 그도 적국 동위東魏에서 항복한 장수 후경侯景을 중용했다가 이것이 끝내 빌미가 되어 그가 일으킨 반란에 유폐되어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팔순 고령을 넘긴 양무제는 베저테리언인 까닭에 유폐기간 중 꿀물을 달라했지만, 후경은 이조차 거절했다. 50년을 넘게 재위하면서 남조 왕조의 전성시대를 연 일세의 제왕 양 무제는 이리해서 굶어 죽었다. 후세, 특히 불교를 공격하는 사람들은 양무제를 끊임없이 조롱했다. "부처가 그리 좋다더니 그런 부처가 왜 무제를 돕지 않았던가? 무제가 그리 공양한 사.. 2020. 10. 26.
1996년 애틀랜타의 이건희 요새 같은 세상에서는 긴 투병 끝에 오늘 타계한 이건희 같은 경제거물보다 방탄소년단 같은 대중스타 알현이 더 힘들다. 내가 죽기 전까지 방탄이를 먼발치라도 볼 일이 있을지 모르겠다. 그에 비하면 이건희 회장이야 몇 번을 보고 이런저런 질문도 던져보고 답변도 들어봤으니, 훨씬 신비성이 덜하다 하겠다. 이 이야기도 두어번 한 적 있지만, 한국을 떠나 세계무대에서도 거물이요, 그렇다고 언론에 자발로 등장하는 사람도 아닌 이건희를 내가 어찌 대면하겠는가? 나한테 비극은 나는 그를 알아도 그는 나를 모른다는 사실이다. 유명인이란 이런 거다. 내가 그를 아는데 그가 나를 모르는 사람이 절대적 다수일 때 이를 유명인이라 우리는 이름한다. 1996년 여름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하계올림픽대회가 열렸다. 당시 체육부 소속이.. 2020. 10. 25.
감이 안 보이는 상주 감나무밭 곶감으로 쓸 요량의 감은 이제 따기 시작한다. 곶감으로 세계를 제패하는 상주 어느 감나무밭이다. 감이 주렁주렁해야 하지만 좀체 감이 안보인다. 이구동성 올해 곶감은 흉작으로 예상한다. 그럴 수밖에 없잖은가? 감이 달려야 곶감을 만들건 나훈아가 되건 할 게 아닌가? 훈아 형이 올핸 좀 곤혹스럽지 않을까 한다. 그래서 홍시를 밀어버리고 테스형을 들고 나왔는지도 모르겠다. 언뜻 보아 올해 감은 예년 소출 절반은커녕 5분지1 내지 십분지일로 박살이 났다. 잦은 비와 태풍을 견뎌내지 못하고선 추풍낙엽 같이 쓰러진 것이다. 감은 해갈이의 대표주자라 내년 저와 같은 변수가 없다면 대풍작이리라. 저와 같은 감흉작은 저번 김천 우리 동네 사정으로 예고했거니와 전국이 이 모양이다. 비단 감뿐이랴? 배는 올핸 냉해가 극심해.. 2020. 10. 25.
함경도 땅: 백산말갈과 여진의 문제 함경도 땅의 역사는 좀 더 디테일하게 규명해야 할 이유가 있다.. 2020. 10. 25.
처음 시도해본 차박 페스타 녹나무로 샌드페이퍼로 도마를 만드는 체험이다. 엄마랑 열한살 아이가 함께간다. 경북도와 경북관광공사가 시도한 차박페스타 프로그램 중 하나다. 민간 자생적 여가문화 새로운 현상에 지자체 등이 간여하는 일이 바람직한가 하는 논란이 있을 수는 있지만, 또 코로나팬데믹이 초래한 비대면시대에 이런 행사가 권장할 만한가 하는 반론도 있을 수 있다고 본다. 이런 점들을 감안해서 조심스레 접근시도 했다고 자평한다. 이 행사는 연합뉴스 한류기획단이 경북도에 제안해 마련됐다. 애초 계획에 없던 사업이 입안 추진되는 바람에, 또 중간중간 코로나가 널뛰기하는 바람에 시기도 늦춰지는 곡절이 있었다. 장소는 물색 끝에 상주 경천대를 골랐다. 이번 행사를 통해 경북도 측이나 우리가 생각한 방향은 아래 첨부 기사에 잘 반영되어 있다.. 2020. 10. 25.
[해부학자의 당부] 용어문제 해부학자로서 감히 기자분들께 해부학 용어 몇가지만 공유 부탁드립니다. 허벅지뼈→넙다리뼈 또는 넓적다리부위 뼈, 정강이뼈→정강뼈. 아니면 다리부위 뼈, 팔부위 뼈, 몸통부위 뼈 등으로 쓰시면 좋을 듯 합니다. 인골은 가능하면 사람뼈라고 하면 좋겠습니다. 동물뼈를 수골이라고 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 이상은 순천향대 박대균 선생 당부다. 2020. 10. 25.
DONAMSEOWON Confucious Academy, Sangju | 상주 도남서원 | 尙州道南書院 Donam Seowon was built in 1606 (in the 39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 and denominated in 1676 (in the 2nd year of King Sukjong's reign). In 1797 (in the 21st year of King Jeongjo's reign), Dongjae (East Hall') and Seojae ('West Hall) were built, and then the whole compound was repaired several times. After it was dismantled in 1871 (in the 8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part of the lectu.. 2020. 10. 25.
낙동강 상주보에서 맞는 아침 담대한 발상이다. 단군이래 이런 생각은 없었다. 생각을 벗어던지고 그걸 실행에 옮겼으니 말이다. 이명박이 시도한 사대강사업은 대규모토목공사에 따른 전형의 길을 걷는다. 줄곧 말하듯이 이런 대토목공사가 당대에 칭송받은 적 단 한번도 없다. 이 사대강사업 역시 각종 이유를 댄 훼철毁撤 시도가 있고 실제 더러 훼철이 이뤄지기도 했으니 그네들이 내세운 무기는 언제나 녹조였다. 그리하여 때마다 물고기가 죽었네 물고기가 사라졌네 라는 소식이 덮는다. 단군이래 이런 발상은 없었다. 낙동강은 사대강사업을 통해 비로소 강이 되었다. 2020. 10. 25.
차박하며 시식한 한 알 800원짜리 샤인머스켓 상주 한우로 거나한 저녁하는 자리 어쩌다 내가 샤인머스켓 얘기 꺼내며 이건 김천이 제패했다 자랑하니 상주시장님 탁도 없는 소리라 일갈하며 하는 말씀 샤인머스켓은 상주가 제일 조금 있으니 후식으로 느닷없이 샤인머스켓 세 송이가 나온다. 중국 수출가 기준으로 이거 한 송이가 삼만삼천원이란다. 알고 보니 같은 동네 선배님으로 드러난 상주시 부시장님 보태기를 "이걸 우리가 계산해보이 한 알에 800원이린 마이 무여" 한다. 상주보 차박행사는 코로나팬데믹에 애초 계획한 규모보다 팍 줄이긴 했지만 경북도 상주시 경상북도관광공사가 유기적인 협조로 무난히 개막해 나 역시 기분이 좋다. 더구나 한 알 팔백원짜리 샤인머스켓까지 맛보니 이보다 좋을 수 있겠는가? 거리두기 지키는 안전한 차박…경북 차박 페스타 활짝 2020-.. 2020. 10. 24.
낙동강 상주보 차박 말은 듣기는 했지만 실감과는 거리가 먼 차박이란 걸 체감하러 낙동강 상주보로 행차했다. 장작불 보니 역시 고구마가 있어야겠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왕림했다. 맥주 맛을 모르는 게 한이다. 그래도 반잔은 마셔봤다. 2020. 10. 24.
철이 덜 든 반계리 은행나무 오늘 해뜰 무렵 모습이다. 마당 단풍만 붉고 요지부동 저라고 별 수야 있겠는가? 제풀에 지쳐 나가 떨어지기 마련 깻이파리엔 서리가 수북 기름기 두꺼운 은행잎도 견디기엔 무겁다. 아마 10대손쯤 될까 하는 새끼 나무는 뚝뚝 눈물 흘린다. 단풍을 키우는 이 팔할이 서리 볕이 들어 속으로 파고드니 속이 썩었다. 견딜 재간 없으리라 담주말이면 절정 아닐까 한다. 2020. 10. 24.
나주 정촌고분의 돌베개 봉분 하나에 매장주체시설 여러 곳을 마련하는 이른바 '벌집형 고분'인 나주 정촌고분에서는 9기에 달하는 매장시설이 발견된다. 그중 이번에 석실 3곳을 국립나주연구소가 팠다. 사진은 3호 석실 내부다. 현장을 둘러보니 3호 석실은 周溝가 위치하는 곳이다. 이는 말할 것도 없이 다른 매장주체시설에 견주어 후대에 조성됐다는 뜻이다. 입구가 남쪽이라고 기억하거니와, 그러니 장축은 남북이 아닌가 한다. 베개..돌로 만든 베개가 한쪽으로 치우쳤는데, 원래부터 저랬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아마도 후대에 한쪽으로 밀리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2014. 10. 24) *** 이 대목이 이후에 나온 공식 발굴보고서에선 어찌 처리되었는지 내가 확인을 못했다. 2020. 10. 24.
[엉터리 고고학용어] 분구墳丘 모든 무덤에 분구墳丘를 조성하지는 않는다. 이것도 시대에 따른 유행이 민감하기 짝이 없다. 분구란 무엇인가? 墳의 丘인가? 아니면 墳과 丘인가? 내가 아무리 봐도 한국고고학계에서 사용하는 뜻은 전자다. 이 경우 분구란 무덤의 언덕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墳丘는 액면 그대로 보면 후자다. 왜냐하면 墳과 丘는 무덤, 특히 개중에서도 봉분封墳이라 일컫는 표식이 있는 같은 무덤을 지칭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무덤 중에서도 봉분이 없는 것을 저리 표현하지는 않는다. 예서 각종 억설과 불일치가 발생한다. 墳丘란 무엇인가? 글자 그대로는 봉분封墳이다. 매장주체시설을 덮은 흙덩이, 곧 mound를 분구라 한다. 墳이건 丘건, 封이건 모조리 봉분을 말하기 때문이다. 함에도 한국고고학에서는 특정한 시대 특정한 무덤만을 지칭해.. 2020. 10. 24.
이 분은 강녕하신지 촬영시점이 2014년 10월 24일이니 꼭 6년 전 오늘이라 나주 반남면 대안리고분군 이라는 데다. 죽기 전에 저 분 머리에 들어간 모든 것을 쏙 빼놓아야 한다. 명문가 자제인데 애 둘 키우다가 이젠 저절로 크라고 풀어솧고는 룰루랄라다. 장성 독거노인 기호철 선생이다. 2020. 10. 24.
코로나 쑥대밭 코딱지 스위스 스위스, 신규 확진자 6천600명…또 최대치 경신 송고시간 2020-10-23 21:02 임은진 기자 스위스, 신규 확진자 6천600명…또 최대치 경신 | 연합뉴스 스위스, 신규 확진자 6천600명…또 최대치 경신, 임은진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10-23 21:02) www.yna.co.kr 스위스에 특파원을 둔 국내 언론사가 몇 곳인지 모르겠지만, 우리 공장 외에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안다. 이 코딱지만한 나라에다가 특파원을 둔 까닭은 이 나라 국력이 다른 데보다 유난히 세서, 혹은 그 영향력이 막강해서 그렇겠는가? 오직 국제기구가 많다는 이유 때문인데, 스포츠와 관련해서는 월드컵 축구대회를 주관하는 국제축구연맹 FIFA가 있는 곳이요, 기타 적지 않은 국제기구가 포진한다. 이번 코로나팬데믹.. 2020. 10. 24.
[나주 정촌고분 금동신발, 용 타고 떠난 저승여행] (1) 발굴착수 페이스북 내 계정에서 과거의 오늘을 뒤지니 6년 전 오늘, 그러니깐 2014년 10월 23일 나는 나주에 있었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가 나주 정촌고분이라 하는 삼국시대 고분 발굴성과를 공개하는 날이었기에 그 취재를 위해 현장을 출동한 것이다. 문화재 담당 기자들이 이렇게 현장을 행차한다는 것은 발굴성과가 녹록치 않은 까닭이다. 그에서 이제는 꽤 유명해진 용코 머리 금동신발 한 켤레가 출토했다. 그 얘기는 잠시 뒤에 다루기로 하고, 우선 이 정촌고분이 어떤 곳이며, 어째하여, 무슨 목적으로 발굴조사에 들어가게 되었는지를 살피고자 하니, 아래 기사는 그 편린을 엿보게 한다. 2013.11.27 09:17:01 한변 40m 삼국시대 영산강유역 최대급 고분 확인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나주 정촌고분 조사…벌집형 .. 2020. 10. 23.
이쁜 애가 갑질하면 표독이라 이름한다, 아이린의 경우 스타일리스트에 '갑질' 논란 아이린 "경솔한 언행 죄송" 송고시간 2020-10-22 21:53 김효정 기자 스타일리스트가 SNS에 폭로…소속사 "오늘 오후 직접 만나 사과" 스타일리스트에 '갑질' 논란 아이린 "경솔한 언행 죄송" | 연합뉴스 스타일리스트에 '갑질' 논란 아이린 "경솔한 언행 죄송", 김효정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10-22 21:53) www.yna.co.kr 내가 무삼수로 레드벨벳이나 아이린에 조예가 있겠는가? 여느 걸그룹이나 마찬가지로 다 그 친구가 그 친구 같아 누가누군지 구분할 수도 없고, 설혹 그러하다한들 돌아서면 헷갈려 버리니, 이게 다 현대의학 탓이라 해둘 뿐이다. 그럼에도 내가 아는 한에는 레드벨벳은 열라 유명하고, 개중에서도 억! 하며 한 명 유별난 이가 있.. 2020. 10. 23.
서울시 문화재 행정 서울시는 홍지문, 탕춘대 그 이름 그대로 문화재 정비하고 세계문화유산 등재한다고 나선 걸까? 일반 명칭과 공식명칭이 있다. 남대문은 일반명칭이고 공식명칭은 숭례문이다. 마찬가지로 탕춘대는 일반명칭이고 연융대가 공식명칭이며, 탕춘대성은 일반명칭이고 공식명칭은 연융대성이다. 더군다나 홍지문은 1970년대 박정희가 지은 이름이고, 한북문(漢北門)이 제 이름이다. 먼저 이런 것부터 차근차근 해야 하지 않겠는가? 그리고 도성 방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남한 산성과 달리 도성, 연융대성, 북한산성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방어 시스템인데 도성만 떼어서 논할 수 있을까? 일전에 올린 《좌해지도》에도 연융대로 되어 있고, 도성연융북한산합도가 그려지는 것은 그것이 하나로 유기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2020. 10. 23.
반응형